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사비나 Nov 12. 2024

아이가 기어코 들춰내는 나의 바닥

내가 품고 있던 가시들

둘째를 학교에 등교시키는데 선생님이 나를 부르셨다.

"네모가 제가 말할 때 자꾸 친구들과 떠들고 방해를 하는데 집에서 좀 교육시켜 줄 수 있나요?"

그 순간 첫째 세모의 ADHD라는 그림자가 드리우던 그날이 겹쳐졌다. 세모의 담임 선생님께 같은 말을 들었었다. "세모가 친구가 노는데 자꾸 방해를 하고 대집단 수업 때에도 방해를 많이 합니다." 이번에도 같다. 딱 한국나이로 5살 그 나이. '올 게 왔나? 믿었던 너마저.' 캐나다 학교가 더 자유로울 거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더 직접적으로 피드백을 주시며, 한 가지 더 이 모든 걸 영어로 소통해야 한다는 것. 쉽지 않다.


처음엔 선생님께 이렇게 말했다. "원래 잘하는 아이인데 그날만 그랬던 것 아닐까요?" 그러고 돌아서 학교를 나오는데 마음이 욱신댔다. '너도 알고 있잖아. 둘째도 ADHD일 수 있다는 거.' 집으로 돌아가는 길, 나는 인정했다. 내 아이가 어디서든 칭찬받고 싶길 원하는 그 같잖은 마음이었다.


학교에서 늘 칭찬만 받고 싶었다. 내 행동과 말, 성적 등 많은 것들을 통제하며 자랐다. 그런 내가 ADHD 아이를 만났으니 통제되지 않는 것에서 오는 엄청난 공포를 맛보고 있다. 왜 내 맘대로 안 되는 것들에 나는 화가 날까?



서울의 유명 학군지에서 자녀를 의대를 보낸 엄마가 운영하는 오픈채팅방에 들어간 적이 있다. 세모의 나이가 6살이었다. 그 방에는 5살부터 영어유치원을 다니는 아이, 7세에 열심히 레테(레벨테스트)를 보러 다니는 아이들의 이야기가 오갔다. 물론 그 채팅방에 정작 이야기의 대상이 되는 아이들은 없었다. 모두 엄마들. 의대를 보내고 싶어 유치원 때부터 관리해 주러 모인 사람들이었다. 나는 그 채팅방에 대략 7일 있었다. 그 7일 간 나는 잠을 자지 못했다. 새벽에도 오가는 채팅방 정보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였다. 아이들은 알까? 엄마들이 이렇게 자신의 20년 후의 미래를 위해 밤잠을 설쳐가며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그 채팅방에 있는 동안 난 세모에게 지루하기 짝이 없는 과학 인강을 보여줬다. 열심히 수학 문제집을 골랐다. 갖태어난 둘째를 업고 인강에 집중하지 않는 세모에게 다 보고 나서 저녁을 먹을 수 있다고 했다. 7일째 되는 날, 나는 그 방을 도망 나왔다. 세모의 ADHD 증상이 심해졌기 때문이다. 물론 그땐 ADHD인 줄도 몰랐다.


그 채팅방에 들어가 있는 동안 나는 나 자신의 허영심의 끝을 봤다. 거기에 있다는 것만으로 나는 정보왕, 내 아이는 의대 준비하는 유치원생이었다. 아무 목적의식도 없었다. 세모가 하루의 일상을 잘 지내고 있는지 들여다보기보다 채팅방에 빠져 있었다. 얼굴도 모르는 필체가 고른 아이들이 쓴 영어 일기를 보며 세모에게 실망했다. 무엇이 중요한지도 모르는 엄마였다. 사실 내가 비교한 건 세모와 다른 아이들이 아니라 얼굴도 모르는 엄마들과 엄마라는 나 자신이었다. 나 자신을 그곳에 밀어 넣어 스스로를 저울에 올려 누가 누가 잘하나 비교하고 있었다.



아이를 키우면서, 아니 ADHD 아이를 키우면서 나 자신의 가시들을 마주한다. 잘해야 인정받는다는 인정욕구라는 가시 하나, 내가 많은 것들을 통제할 수 있다는 오만함 가시 하나, 공부-대학-취업-결혼이 삶의 성공 공식이라고 여겼던 편견의 가시 하나.


아이들이 기어코 들춰내는 나의 바닥.

마주하면 아프지만 마주하고 나서야 뽑아낼 수 있다.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깊이 꽂혀있나

며칠이고 몇 달이고 들여다본다.

그래야만 아프지 않게 뽑을 수 있다.

아직도 열심히 바라보고 뽑는 중이다.


아이들 덕분에

나는 세상이 더 편해졌다.

아이들 덕분에

이렇게 나 자신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는 중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내가 '좋은 엄마'인 이유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