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필립 Dec 15. 2024

신뢰란 무엇인가?



신뢰의 사전적 정의는 상대를 믿고 의지하는 마음을 의미한다. 이 단순한 정의는 우리가 일상에서 신뢰를 논할 때 겪는 복잡한 심리적, 철학적 관계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신뢰라는 개념을 깊이 들여다보면, 이는 단순히 누군가를 믿는 행위를 넘어, 우리의 선택, 관계, 그리고 삶의 본질과 밀접하게 연결된 문제임을 알 수 있다.


우선 신뢰의 구조를 살펴보자. 신뢰에는 반드시 두 가지 요소가 존재한다. 신뢰의 대상과 신뢰를 부여하는 주체, 즉 신뢰자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을 신뢰한다고 말할 때, 그 사람은 신뢰의 대상이며, 신뢰를 부여하는 나는 신뢰자다. 이 구조에서 중요한 점은, 신뢰의 대상은 그 자체로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신뢰 여부는 전적으로 신뢰자의 몫이다. 대상이 아무리 신뢰받을 만한 특성을 지니고 있더라도, 내가 신뢰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단지 나의 판단일 뿐이다. 반대로, 대상이 본질적으로 신뢰받을 수 없는 경우에도 내가 신뢰한다면, 그 책임 역시 나에게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정보와의 관계에서도 동일하다. 우리는 특정 정보를 신뢰하거나 신뢰하지 않는다. 하지만 정보를 신뢰한다는 것은 정보를 선택한 나의 판단이며, 그 책임은 오롯이 나에게 귀속된다. 기록된 정보 또한 마찬가지다. 기록물은 결국 사람이 작성한 것이다. 그렇다면, 기록물 자체에 대한 신뢰는 본질적으로 기록물의 작성자와 내가 맺은 신뢰 관계의 연장선에 불과하다. 이는 결국 신뢰란 인간이 개입된 모든 창조물에서 신뢰자의 책임이 중심이 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제 자연의 사례로 확장해 보자. 한때 사람들은 천동설을 진리로 신뢰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지동설이 밝혀지면서 사람들의 신뢰는 천동설에서 지동설로 옮겨갔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천동설이나 지동설 자체는 자연을 설명하는 인간의 해석일 뿐이라는 사실이다. 자연은 처음부터 변하지 않았다. 인간이 해석을 바꾸었을 뿐, 자연의 본질은 그대로였다. 만약 자연이 스스로 말할 수 있다면, 우리는 자연을 직접 신뢰할 것이다. 그러나 자연이 침묵하기에 우리는 자연을 설명하는 인간의 언어와 해석을 신뢰할 수밖에 없다.


소나무를 예로 들어보자. 인간은 소나무를 소나무라 부르고, 그것을 신뢰의 대상으로 삼는다. 그러나 소나무는 인간이 붙인 이름과 상관없이 그 자체로 존재한다. 인간이 그것을 무엇이라 부르든, 신뢰하든 말든, 소나무는 변하지 않는다. 신뢰의 본질은 여기에서 드러난다. 신뢰는 대상을 판단하는 나의 해석과 태도에서 비롯된다. 자연은 그 자체로 신뢰의 대상이지만, 인간이 그것을 이해하거나 명명하는 방식은 인간 중심적 신뢰의 문제를 드러낸다.


인간관계에서의 신뢰는 자연과는 또 다른 복잡성을 가진다. 인간은 의사소통과 행동을 통해 신뢰를 쌓고 깨뜨릴 수 있다. 신뢰는 깨지기 쉬운 유리와 같다. 한 번 금이 가면 회복하기 어렵고, 종종 영원히 무너질 수 있다. 하지만 여기서도 중요한 것은 신뢰의 주체가 누구인가 하는 점이다. 상대가 신뢰받을 만한 상황인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다. 신뢰 여부는 나의 선택이고, 나의 책임이다.


결론적으로, 신뢰는 본질적으로 주관적인 판단이며, 그것을 부여하거나 철회하는 모든 책임은 신뢰자에게 있다. 자연이든 인간이든, 우리는 신뢰를 통해 관계를 맺고 세상을 이해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신뢰의 무게와 책임은 결코 가볍지 않다. 신뢰란, 결국 우리의 선택과 책임을 마주하게 하는 거울과도 같은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