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하시는 하나님
자끄 엘룰의 <잊혀진 소망>을 읽고 있다.
아직 다 읽지는 않았지만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되어 있는데, 첫번째 부분은 “지금 하나님은 침묵하고 있다”는 명제를 설명하는 부분이고, 두 번째 부분은 “소망은 하나님의 침묵에 대한 반응이다”라는 것이다.
다른 무엇보다도 현대 사회에서 하나님은 침묵하고 있다는 진단이 충격적이었다. 물론 개인적인 수준에서 하나님과의 만남은 이루어지고 있지만, 최소한 공동체 단위에서의 하나님의 말씀은 끊어진 상태라는 것이다. 지금 구약 성경을 열심히 읽고 있는데, 최소한 구약 성경에서 나타나는 하나님의 말씀은, 공동체를 향한 말씀이 개인에게 ‘공동체의 모든 사람들이 인정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즉, 하나의 공동체가 그 구성원 중 누군가에게 임한 하나님의 말씀을 들을 때 ‘이 말씀은 하나님으로부터 온 말씀이다’라고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인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전적으로 성령의 역사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런 하나님의 말씀이 임하지 않을 때 나타나는 현상은… 말씀을 해석하려고 노력하는 것, 교회의 조직이 강화되는 것 등이라고 한다. 이런 현상들은 나쁜 현상은 아니지만, 그 자체가 하나님의 말씀이 없는 상태라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성경해석학이 발전하는 것도 결국은 ‘역동적인 성령의 도우심’이 없기 때문에 인간의 노력으로 주어진 텍스트 속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발견해 보고자 치열하게 노력하는 것이라는 말이다.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하는 성령의 역사가 없을 때, 즉 성령에 의해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교회의 모습을 잃었을 때, 우리는 결국 성령의 조직하심을 대신할 무언가를 만들고 그것을 의지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것은 나쁜 것이라기보다는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구약에서 끊임없이 나타나는 외침들이 ‘하나님의 침묵’에 대한 필사적인 항의요 안타까운 절규라는 사실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 준다. 사사 시대는 물론이고 이스라엘 왕정 시대에서도 동일하게 ‘범죄’ – ‘회개’ – ‘회복’의 사이클이 나타나는 것을 ‘인간의 본성이 원래 그렇지’라고 생각을 해 오고 있었는데, 사실은 하나님이 침묵하시는 시간이 말씀하시는 시간보다 훨씬 길기 때문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들과 ‘율법’을 세웠을 때, 그 엄청난 세부 사항들과 금기들, 그리고 그것을 어겼을 때 나타날 것이라고 선포된 징벌들… 그런 것들이 끊임없이 실제로 나타났다면 어땠을까? 아마도 하나님을 배신하는 일은 나타나지 않았을 것이다. 율법을 지키지 않은 죄로 사람들이 죽어나가는 모습을 보면서 일부러 그 율법을 어길 수는 없는 일이 아니겠는가. 사람들이 하나님을 잊게 되는 것은 하나님이 말씀하신 그 징벌(혹은 축복)이 곧바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아니, 그런 것들을 평생 거의 한 번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하나님이 스스로를 드러내시는 것 자체가 어쩌면 굉장히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구약의 말라기 선지자부터 신약의 세례 요한에 이르는 4백여년간의 침묵기를 생각해 본다. 그 시간 속을 살았던 사람들의 삶을 상상해 본다. 하나님의 말씀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 현실 속에서 실망하고 좌절할 수 밖에 없었을까? 아니, 그들 중의 소수는 역동적이고 주권적으로 나타나는 하나님의 임재를 대신할 무언가를 열심히 찾았을 것이다. 그것이 종교적인 엄숙주의이던지, 아니면 말씀 해석에 대한 열심이던지, 아니면 하나님의 임재에 대한 기대를 포기하는 것이었든지 간에 모습은 다를 수 있지만, 모든 반응들이 매우 당혹스럽고 치열했을 것이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나머지 대다수의 사람들은 ‘하나님의 침묵’이 의미하는 것을 생각해보지도 않은 채 자신의 일상을 조용히 살아가고 있었겠지.
예수님의 복음이 ‘하나님 나라’에 전적으로 맞추어져 있었음을 알고 있으면서, 그 나라가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이 땅의 현실과 얼마나 반대인지를 절실하게 깨닫고 있는 사람에게 ‘하나님의 침묵’은 얼마나 가혹한 것인가. 그 분의 말씀이 강력하게 임하셔서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가 임하는 것을 보고 싶은 열망으로 가득차 있는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침묵’은 얼마나 당혹스러운 일인가. 성령의 임재하심을 구하는 기도가 위선적으로 느껴질만큼 성령의 부재가 당연하게 여겨지는 상황은 또 얼마나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인가.
결국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란 아무 것도 없으며, 하나님이 지금 이 시간 이 곳에 임재해 주시기를 바라는 것 이외에 아무 것도 남아있지 않다는 사실을 뼈저리게 느끼는 것, 그것이 바로 소망이 아닐까. 그래서 소망이 있는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그저 조용히 끊임없이 기도하는 것 밖에 없다고 말할 수 밖에 없는 것이 아닐까.
‘성령 충만’에 대해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나는 이 ‘성령 충만’이라는 말을 ‘와야 할 하나님의 나라와 내가 살고 있는 나라가 너무나 달라서 참을 수 없는 상태’라고 말한 적이 있다.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아직도 이 정의가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 참을 수 없는 불일치 속에서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무력함을 온전하게 체험하고, 하나님의 이름을 위해 뜨겁게 하나님께 항의하고 도전하는 공동체 속에 스스로를 헌신하지 않는 한, 이 깨달음만으로 ‘성령 충만’하다고 말하는 것은 공허한 일이 되고 말 것이다.
욥에게서 느끼는, 그리고 전도서에서 느끼는 강한 허무주의의 느낌이 사실은 이 ‘성령 충만’의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이 놀랍지 않을 수 없다. 욥기를 읽으며 느꼈던 하나님의 불가해성이 사실은 하나님의 본질이며, 욥이 하나님께 퍼부은 존재론적 질문에 답을 전혀 얻지 못하고 오히려 이해할 수 없는 하나님의 질문 세례로 입을 다물게 된 이후에도 살아갈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그가 ‘하나님께 무언가를 들었다’는 사실, 하나님이 그에게 침묵하지 않으셨다는 사실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이해할 수 없는 고통과 시련을 겪으면서 목이 터져라 불러도 대답하지 않으시던 하나님이, 내용이야 어떻게 되었건 지금 이 시간 내게 무언가를 말씀을 하신다는 사실만큼 놀랍고 기쁜 일이 무엇이 있겠는가. 하나님은 그저 ‘스스로 드러내고자 하실 때 드러내시는’ 분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는 것은 하나님을 알게 되었다는 말인데 말이다.
2010년 3월 22일 https://lordmiss.com/journal/archives/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