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낭독가 한희정 Apr 05. 2024

다채로음 낭독

낭독하는 사람들이야기 I

아마 2년 전쯤이었던 것 같다.


'다채로움 낭독'은 낭독 기초반부터 함께 해 온 선생님들의 모임이다. 나는 그들의 마지막 코스인 12주 전문가반에 뒤늦게 합류해 나의 마음을 빼앗아 책, <루리의 긴긴밤>으로 낭독회를 마치면서 지금까지 소통하며 지낸다.


지난여름 한국 방문 중에도 만나 식사도 하고 수다도 떨었고, 미국으로 돌아와서도 톡방에서 안부를 주고 받지만  혼자 뚝 떨어진 미국에 거주하는지라 왠지 거리감이 느껴질 때도 있었다. 그러나 이번 달 진행되었던 책 한 권, '그레구아르와 책방할아버지'로 거의 날마다 함께 릴레이 낭독을 하면서 좀 더 끈끈한 관계가 된 것 같다.


한국시간으로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나는 일요일부터 목요일까지, 이른 아침 6시에, 난 오후 5시에 30분씩 만나 낭독을 했다. 미국은 낮시간이라 어렵지 않게 함께할 수 있었고, 또 낮시간이라 가끔 일이 생겨 참여할 수 없었다. 그러나 5주 동안 낭독교과서의 하나이기도 한 책,  <그레구아르와 책방할아버지>를 다시 만날 수 있었다. 예전에 점자도서관 기증을 위해서 읽었지만, 그땐 나의 파트만 열심히 낭독을 할 수밖에 없던 시절이라 책 전체에 집중할 수 없어 아쉬움을 남겼다. 그러나 이번에 책 전체 낭독을 통해 선생님들의 낭독을 들으면서 새롭게 그레구아르와 피키에씨를 새롭게 만날 수 있었다.


짧다고만 생각한 30분이 3시간, 아니 더 이상의 귀한 시간으로 다가온 행복한 시간이었다. 30분의 낭독으로 책 한 권을 끝내고 보니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속담이 나의 이야기로 다가왔다. 작은 습관의 힘이 얼마나 큰지 또 한 번 깨닫는 시간이었다. 나아가서 30분 낭독 독서모임을 만들어볼까 하는 욕심도 앞섰지만 처리해야 할 일들이 많아 일단 추후 계획으로 넘겼다.




추억의 어설프기까지한 온라인 낭독회를 찾아 들으며 웃는다. (정민선생님과의 추억도 새롭다!)


성우님이 주신 드백들도 다시 읽어보니 새록새록 그 시간들이 떠오른다.

* 단락과 단락 사이의 포즈 변화

* 구성 잡아서 낭독해 보자

* 좋은 글은 누구나 해도 잘 흘러갈 수 있다.

* 작가가 전하고 있는 메시지를 구체적으로 연출하면서

* 큰 그림에서 좁혀가면서 진짜 하고 싶은 이야기로

* 때와 장소에 따라 유연성 있게 대화체 낭독하면 된다.

* 오로지 ‘말하기’ 원칙 하나는 반드시 가지고 가야

* 청자는 이미 감정 다 알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더 앞서나가거나 오히려 그 감정을 가지고 당겨야.

* 청자가 더 느낄 것이 더 많도록

* 텍스트는 이미 흐름을 가지고 있지만 우리가 어떤 식으로 낭독을 할지 계산이 있어야 한다

* 전체 텍스트에 대한 균형점 잡아가야 한다.

* 자기의 강점과 장점을 살려서 책 한 권 가지고 노는 주인공이 되면 된다. 나라는 존재를 버무려서 잘 짤 수 있도록

* 단어의 뉘앙스로, 관조의 힘으로, 감정으로 사람을 사로잡지 말고 한 호흡으로 밀고 나가자.

* 안 좋은 습관으로 초독을 하면 안 된다.

* 호흡은 생각과 시선

* 감정은 잡으려고 하면 잡히지 않는다. 텍스트를 오히려 있는 그대로 바라볼 때 훨씬 청자가 먹을 수 있는 것이 더 많아지는 낭독을 할 수 있다. 더 시선을 많이 느끼자.









매거진의 이전글 할머니를 다시 만났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