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화평론 이도 Jan 27. 2023

기억의 조각으로 이해하는 <애프터썬>

여전히 이해할 수 없지만 어렴풋이 느낄 수 있는

이건 내 마음에만 녹화해 둘게



아빠와 20여 년 전 갔던 튀르키예 여행. 둘만의 기억이 담긴 오래된 캠코더를 꺼내자 그해 여름이 물결처럼 출렁이기 시작한다.



영화의 두세 컷을 제외하고는 전부 회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어른이 된 소피로 이루어진 두세 컷 또한 과거의 아버지와 카펫, 캠코더 등으로 여전히 연결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영화의 거의 모든 장면이 소피의 관점에서 쓰인 것이고, 소피는 자신의 아빠가 어떤 일을 겪고 있는지 완전히 이해할 수 없지만 어렴풋이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때로는 소피와 남매로 오인받을 정도로 젊은 싱글대디 역을 맡은 폴 메스칼은 국내에 노멀 피플로 알만한 사람들에겐 이미 인정받은 연기력의 캐스팅 또한 한몫했다는 의견이다. 몰입을 깨지 않는 연기력은 물론 아직 아버지라기엔 소년의 눈빛으로 소피와 부녀관계를 그리는 동시에 아버지로서 겪는 성장통을 성장한 소피가 동등한 시선의 높이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영화의 시작이 되는 캠코더 또한 소피와 캘럼의 관계를 드러내는 장치로 작용한다. 첫 번째로는 ‘시선’이다. 기본적으로 영화는 ‘관객->화면 속 배우’의 1차원적인 시선의 관계만 갖는다고 할 때 캠코더를 통해 ‘소피->캘럼’, ‘캘럼->소피’의 시선을 한번 더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그리고 과거의 영상을 일정시간이 지난 후 본다는 점에서 ‘기록’의 역할로까지 확장된다. 따라서 촬영 중일 때는 ‘현재의 소피(캘럼)->현재의 캘럼(소피)’였던 시선이 후에 캠코더에 담긴 영상을 볼 때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현재의 소피(캘럼)->과거의 캘럼(소피)’까지 더 많은 시선이 만들어지며 소피와 캘럼의 관계를 더욱 깊이 있게 만드는 셈이다.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영화에서 주로 같은 공간에 있는 소피와 캘럼을 각각의 숏으로 보여주지만 호텔 방 화장실 안에서 혼자 붕대를 풀던 캘럼과 소피의 대화를 각각의 분리된 숏으로 보여주다가 어느 순간 분할된 한 프레임으로 한쪽에는 방에 앉아있는 소피, 그리고 벽을 가운데 두고 한쪽에는 화장실에서 피를 흘리는 캘럼을 담아낸다. 이 영화가 하고자 했던 말을 한 장면으로 말한다면 이 장면이 아닐까 싶다. 각각의 공간(프레임)과 기억이 달랐고 한 공간(프레임)에서의 기억조차 달랐지만 새로운 시선(캠코더)을 부여하며 소피가 과거의 캘럼의 기억을 느끼는 것에 대한 이야기라는 생각이다. 


*본 리뷰는 씨네랩 크리에이터로서 시사회 초청을 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작가의 이전글 <수색자>와 <택시 드라이버>의 비교 분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