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오스카 남우주연상 수상 유력 후보 브렌든 프레이저
오스카 시상식을 앞두고 남우주연상 유력후보로 거론되는 브렌든 프레이저의 <더 웨일>에 대해 얘기해 보고자 한다.
영화를 보고 있자면 가장 두드러지게 눈에 띄는 연출은 공간이용과 동선이다. 여기서 눈에 띈다는 말은 연극이라 하면 자연스러운데 영화라고 보니 눈에 익숙하지 않았던 연출이다. 영화를 다 보고 난 뒤에 알았지만 <더 웨일>은 동명의 연극을 기반으로 제작한 영화이다. 그렇다면 영화에서 어떻게 보여졌고, 어떤 기능을 할 수 있었는지 얘기해보려 한다. 영화는 주 무대를 찰리의 집으로 한정하고 있다. 그 외라 하면 피자를 받으러 가는 현관 또는 현관에서 주차장을 바라보는 시선 정도가 될 수 있겠다. 이는 연극에서는 공간적 제약이었을지라도 영화에서는 앞서 말했듯 집에서 밖을 바라보는 시선을 통해 통제된 삶을 살고 있는 찰리의 답답함 또는 상황을 이해하기에는 적합한 연출처럼 보여진다. 또한 이로 인해 찰리 외의 인물들은 모두 집 현관문을 왔다 갔다 하며 ‘찰리의 공간’으로 들어오고 나가는 연출이 된다. 덕분에 인물들은 더욱 찰리의 공간에서 함께 오고 가는 사람들을 마주하게 된다. 다른 연극적 연출을 말하자면 인물의 동선이다. 거실과 (명확히 분리되지 않은) 주방을 오고 갈 때, 특히 찰리와 상대 인물이 움직이며 대화를 할 때, 기존의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인물이 한 프레임의 중심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프레임의 반대를 향해 나간다던지 두 인물이 겹쳐지기보다는 겹쳐지지 않도록 보이는 동선이 많았다는 점이다. 이 또한 찰리와, 찰리의 어긋나는 사랑의 방향을 말한다면 이런 익숙하지 않은 동선은 찰리와 인물 간의 불편함을 보여주기에 적합했다고 볼 수 있다.
브렌든 프레이저가 오스카뿐만 아니라 다수의 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으로 수상 또는 후보로 지명된 데에는 브렌든의 연기력뿐만 아니라 영화계에서의 그의 삶 또한 조금의 영향도 없었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영화 밖의 일은 차치하고, <더 웨일>에서 보여준 브렌든 프레이저의 연기는 ‘찰리'를 실존하는 인물로 만들기에 충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 옆의 눈물을 흘리는 관객 사이에서 나는 찰리에게 동의할 수 없었다. 유감스럽게도 찰리는 계속해서 한 방향의 사랑을 한다. 사랑이 언제나 양방향은 아니다. 하지만 찰리의 경우, 문제는 한쪽 때문에 다른 한쪽이 상처받는다는 점이다. 과거에도 찰리는 자신의 사랑을 위해 자신을 필요로 하는 아내와 딸 엘리를 떠난다. 영화에서의 현재 또한 찰리는 자신의 사랑인 엘리를 위해 자신을 위하고,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상처를 준다. 불륜 또한 다른 방식이지만 결국 자신의 사랑을 위해 자신을 향한 사랑을 신경 쓰지 않고 상처 주는 것이라고 해석하겠다. 전에 한 가수가 모든 사람은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고 했다. 지금 사랑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사랑을 누구라도 사랑을 받거나 사랑을 하는 입장에 놓여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대부분의 관객은 찰리의 입장을 이해할까? 찰리로 인해 상처받은 이들의 입장에 이입할까? 나 또한 사랑하는 사람의 행복을 위해 떠나보내며 그 사람이 나를 떠난 만큼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는 마음인 적 있었다. 그리고 조금이라도 그 사람이 아프거나 불행하다는 소식을 들을 때면 그만큼 더 미워졌던 경험이 있었기에 찰리보다는 엘리와 리즈에게 더 이입이 되었다. 그렇기에 찰리가 새에게 과일을 주기 위해 창가에 놓아둔 접시가 깨진 것을 보며 내가 엘리였다면 ‘저 새에게 줄 저 작은 사랑을 나에게 조금도 줄 수는 없었나'하며 접시를 깼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영화의 시작과 끝에서 찰리는 좋은 에세이를 쓰는 방법에 대해 얘기한다. 시작장면에서는 카메라를 끝 채 영상수업에서 학생들을 향해 계속 다듬을수록 좋은 글이 된다고 말하지만 영화가 끝나갈 때쯤에는 졸업을 위한 에세이를 써야 하는 엘리를 향해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쓰는 것이 자신의 진짜 에세이'라고 말한다. 삶을 글로 풀어낸 것이 에세이라면 자신의 삶을 잘 사는 방법은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사는 것이라고 에세이에 비유해 넌지시 말하는 듯하다. 결국 찰리는 자신에게 있었던 일들을 받아들이는 것처럼 보이지만, 나는 그의 삶을 응원할 수는 없었다. 결론적으로는 응원하고 싶지 않은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는 영화였다. ‘응원하고 싶지 않다’는 말은, 그 인물을 온전히 받아들이고 공감하고 이해할 수 없었다는 말이고 ‘다른 사람의 이야기’라는 말은 브렌든 프레이저의 연기 덕에 분명 찰리는 존재하는 인물로 느껴졌다는 말이다.
*본 리뷰는 씨네랩 크리에이터로서 시사회 초청을 받아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