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만의 글쓰기 루틴
지금 하지 않으면 언제 하겠는가? 눈치 빠른 사람은 이미 알아챘을 거다. 타이탄의 도구들로 유명한 팀패리스의 책 이름 중 하나이다. 글쓰기에도 어울리는 문구다.
‘지금 쓰지 않으면 언제 쓰겠는가?’
여러 글쓰기 방법과 관련된 수업, 책이 넘쳐나지만 결국 쓰지 않으면 답이 없다. 이건 누구든지 아는 사실이다. 최근 끝낸 글사세 수업에서도 여러 도움을 받았지만, 결론은 매일 꾸준히 써야 한다는 거다. 그럼 어떻게 하면 매일 꾸준히 쓸 수 있을까? 하얀 화면에 무엇인가 쓴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 누구나 글쓰기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그 두려움의 실체를 가만히 들여다보면 글감의 부족 때문인 경우가 많다.
‘도대체 평범하기만 한 일상인데 무엇을 쓰나요?’
글쓰기를 위해서는 평소에 뇌 회로를 작동시켜야 한다. 그래야 글을 쓰려고 책상에 앉았을 때 무엇인가 써진다. 이른바 글감 찾기를 위한 노력이다. 평소에 무엇인가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스마트폰의 메모장 (나의 경우는 에버노트)에 글감 : OOO이라고 제목만이라도 써 놓는다. 그리고 그 글감을 떠올린 이유를 추가로 기록해 둔다면 더 좋다. 나중에 이 주제들 중 하나를 골라서 글로 쓰면 된다.
가끔은 인생이 막 꼬인다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내 인생 왜 이래? 하는 생각으로 자아 비판을 하고 싶어 질 때에도 조용히 메모장을 열고 글감으로 기록하자. 이 때 느꼈던 좌절감, 슬픔 등은 다른 사람이 겪어 보지 못한 나만의 글감이 될 테니까.
글감 찾기를 위해 좀 더 적극적인 행동도 취해 보자. 책을 읽는 거다. 여러 글쓰기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게 있다. 책을 안 읽으니 쓰기가 어렵고, 잘 쓰지 못하는 거라고. 책을 꽤나 읽는 사람도 글쓰기 힘든 건 매한가지다. 그래도 책을 읽는 건 우리가 평소에 접하지 못하는 체험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새로운 소재 발굴이 가능하다. 그렇다고 책만 읽어서는 안 된다. 글까지 쓰려면 책 내용을 곱씹는 과정이 필요하다. 계속 생각하고, 그 생각을 책 구석구석에 긁적여 놓자. 나중에 구석구석 쌓여 있는 생각을 모아 글을 쓸 수 있다. 이렇게 해야 책도 심도 깊게 이해할 수 있다. 독서와 글쓰기는 식사를 위한 수저와도 같다. 같이 다녀야 인생의 즐거움을 제대로 섭취하고 소화시킬 수 있다.
그럼 이렇게 모은 글감으로 어떻게 쓸 것인가? 다시 한번 이 글의 제목을 떠올려보자.
“지금 쓰지 않으면 언제 쓰겠는가?”
매일 아침이든, 저녁이든 일정한 시간에 규칙적으로 쓰는 게 중요하다. 운동도 하루 5시간 몰아서 하는 걸로 몸이 변하지 않는다. 30분, 1시간이라도 365일 매일 꾸준히 하는 사람이 1년에 몇 번 날을 잡아서 하는 사람보다 변화하고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매일 새벽 5시.. 글쓰기를 위해 할애한 시간이다. 새벽에 일어나는 사람은 꿈과 목표가 있는 사람이다. 무엇인가 해보겠다고 새벽에 일어나는 사람에게 그 귀한 시간을 글쓰기에 할애하라고 하면 무슨 생각이 들까? 새벽에 글을 써야 하는 이유를 여기서 찾는다.
아이젠하워의 우선순위 원리이다. 글쓰기는 4가지 영역 중 어디에 속할까?
글을 쓰는 건 당장 하지 않는다고 큰일 나는 일이 아니다. 전혀 긴급하지 않은 일이다. 그러면 중요도는 어떠할까? 글 쓰기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글쓰기 관련 글과 교육이 넘쳐나는 것도 글 쓰기 중요성에 대한 반증이다. 중요한 건 알겠지만 쓰기 어렵고, 특히 잘 쓰겠다고 생각하면 오히려 마음 속 진입 장벽이 높아진다. 결론적으로 글쓰기는 ‘긴급하지 않지만 중요한 영역 (II)’ 에 속한다. 아이젠하워는 그 영역을 가장 중시한다. 해당 영역에 집중하는 것이 시간관리의 핵심이라고 하는데, 이렇게 중요한 글쓰기를 위해 매일 일정한 시간에 30분을 할애해 보는 건 어떨까?
그리고 그 날 쓴 글은 다음 날 한 번 더 퇴고하는 즐거움을 누려보자. 소리 내서 읽어 보면 어색한 표현, 군더더기 표현들이 나온다. 전 날 애매하게 끝냈던 메시지들도 하루 지나서 읽어 보면 깔끔하게 정리 할 수 있다. 내 안에 다른 사람이 있듯이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는 다르다. 객관적 3자인 오늘의 나에게 읽고 고칠 기회를 주자. 어제의 내가 글쓰기로 힘들었다면 오늘의 나는 그 글을 읽으며 웃고 있을 것이다.
강원국 작가의 ‘대통령의 글쓰기’를 보면 첫 주제가 ‘글쓰기가 두려운 이유’이다. 첫 장에서 두려움에 대해서 논할 정도라면 그 공포와 부담감은 나만 느끼는 게 아니라고 스스로 위로해 보자. 저자는 글쓰기가 어려운 이유는 딱 하나라고 했다. 욕심 때문이라고 말이다. 하지만 그 장의 끝에 다시 얘기한다.
어떻게 쓰느냐, 다시 말해 어떻게 하면 멋있게, 있어 보이게 쓸 것인가를 두고 고민하는 것은 부질없는 욕심이다. 그러나 무엇을 쓰느냐에 대한 고민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글의 중심은 내용이다.
이번 설 연휴에는 코로나로 집에 있는 사람들이 많다. 잘 쓰려는 욕심을 내려놓고 무엇을 쓸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해보며 설 연휴를 보내는 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