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무무 Dec 04. 2023

이방인 (1)

by 알베르 카뮈

브런치에 여러 카테고리로 책에 관한 이야기를 쓰고 있는 지금도, 카뮈는 따로 카테고리를 만들었을 정도로 저에게 있어 카뮈는 특별합니다. 특히 <이방인>은 특별한 책이어서 잘 쓰고 싶은 생각이 컸고, 이미 많은 분들이 읽고 많은 감상평을 남겨주셨기에 굳이 나까지라는 생각을 하다가도, 그래도 밤새 몇 번이고 되풀이하며 읽었던 책을 소개하고 싶은 마음에 책장 앞에 있는 영어 판본을 꺼내게 되었습니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많기에 나눠서 소개해드릴 생각입니다.



P 첫 문장 : Aujourd'hui, Maman est morte. (오늘 엄마가 죽었다.)



카뮈와의 첫 인연은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제가 조금 생각이라는 걸 하고 살고 있을 때 즈음, 대학교 문학 첫 수업시간, 흰머리가 울긋불긋 나셨던 미국 교수님은 이렇게 프랑스어로 친절하게 이 책의 첫 문장을 자신의 이름 대신 적어주셨습니다. 그리고 자신의 가방에서 여러 개의 번역본을 꺼내며 칠판에 서로 다른 첫 문장을 옮기시며 읽어 주셨습니다.


mother died today.

mum died today.

maman died today.


제 머릿속에 기억나는 세 개의 영문 번역본을 이야기하시며 200명이나 되는 학생들에게 다가가 한 명 한 명에게 어떤 것이 맞는 번역일 거 같냐고 물어보셨습니다. 다 똑같고 뉘앙스만 조금 다르다고만 생각했던 저는, 무슨 대답을 하였는지 기억도 나지 않을뿐더러 사실 별 다르게 차이점을 알 수가 없었습니다. 교수님의 말을 빌려서 이야기를 해보면 mother 익숙해 있는 미국인들이나 우리들에게는 사실 maman이 이상해 보이고 사전을 찾아봐야 할지도 모를 정도로 낯설게 다가옵니다. 다 큰 성인이 갑자기 영어권에서 아이들이나 쓰는 maman 이 단순하게 반말로 번역이 되는 게 아니고 우리말에서 어머니가 아닌 엄마처럼 너무나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호칭이기에 존댓말과 반말이 없는 영어권에서는 더없이 친밀한 관계의 말이 되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자신이 만약 번역가라면 maman이라는 단어를 쓰셨을 거라고 이야기를 하셨습니다.


또 다른 지적 사항은 영어에서나 우리 번역본에서는 오늘 다음에 오는 쉼표가 없습니다. 카뮈가 굳이 쉼표로 강조했던 오늘이 힘을 잃고 지극히 평범한 문장이 되어 버린 것을 안타까워하셨습니다. 저 쉼표를 살려야 카뮈의 의도를 살릴 수 있다는 논문이 뒤늦게 발표되었고 2010년 이후에 나오는 책들은 저 쉼표를 넣는 것을 대개 수긍하는 분위기입니다. 사실 원문 번역이었다면 카뮈가 쓴 그대로 서술 구조를 살려 번역하면 아무 문제가 없었는데 대부분 나왔던 <이방인>의 책은 영문으로 번역된 걸 번역했다는 사실들이 나중에 드러나게 됩니다.


500권 한정이기는 했지만 빈티지 인터내셔널과 Easton press라는 미국 출판사는 첫 문장부터 시작되는 한문단을 영어책인데도 불구하고 어떠한 설명도 없이 프랑스어 원문을 그대로 실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임팩트 있는 첫 문장에 대한 자신들의 찬사를 나타내는 방식이었고 <이방인>과 더불어 카프카의 <변신>, 두 책만이 유일하게 첫 문장은 원문 그대로 실어 책을 사랑하는 독자들에게 더할 나위 없는 감동을 주게 됩니다.


이 첫 문장 하나로 두 시간을 교수님과 이야기를 하였고 카뮈의 위대함을 아주 조금 엿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제가 책을 사랑하게 된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교수님 수업을 듣고 두 달 동안 교수님의 번역 과제가 밤새면서 그 어떤 시간보다 학교에서의 행복한 순간으로 제 머릿속에 남아 있으며 좋은 문학을 제대로, 그리고 작가가 원하는 그대로 번역하고 책을 만드는 일이 행복한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PS : 내일은 <이방인>에 대한 개인적인 이야기가 아닌 책 이야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작가수첩 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