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안용 Apr 24. 2022

신경성형술은 협착증에 해롭다

신경 유착이 더 심해지는 아이러니 - 제다이로 살기 -

꼬리뼈 신경성형술의 또 다른 이름은 경막외 신경 유착 박리술이다. 누가 뭐라고 해도, 현재 척추치료의 세계에서 대표적인 시술이다. 왜냐하면 하기 쉽기 때문이다. 의사도 하기 쉽고, 환자도 시술받기 쉽다. 그러니 너도 나도 이 시술을 받는다. 많은 협착증 환자들이 이 시술의 효과를 보았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과연, 척추관 협착증에 이 시술이 효과적일까? 

결론은 말하면 'No'이다. (참고로 필자는 결론부터 말하기를 좋아한다)


협착증의 정도에 따라서 설명해 보겠다.


1. 협착증이 아니고 단순 디스크 병이거나 염좌 등의 통증인 경우 - 과잉치료

이경우 신경성형술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시술이 없어도 이 병은 보존요법으로만으로 잘 낫는다. 비싼 비용을 들이면서 치료할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안정, 투약, 물리치료 등만으로도 잘 치료되니 조금 기다리자.


2. 경미한 협착증 - 과잉치료

협착증이 심하지 않은데, 컨디션에 따라 신경근병증 또는 요통의 증상을 나타낼 수 있다. 이경우에도 신경성형술을 시행하면 좋아질 수 있다. 그렇지만 역시 과잉 치료이다. 신경 차단술 등 주사치료와 적절한 운동요법 만으로도 충분히 장기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3. 중등도 이상의 협착증 - 금기증 

중년 이상의 연령층에서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대부분의 협착증이 이 범주에 속한다. 신경성형술을 해서 좋아지기도 하고 전혀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치료 효과가 안정적이지 않다. 일시적으로는 신경 유착을 풀어줄 수 있지만 머지않아 신경 유착이 더 심해진다. 카테터로 신경관을 건드리게 되면 장기적으로 유착이 심해지기 때문이다. 필자가 수술 적응증이 되는 환자들을 수술할 때 반드시 물어보는 것이 있다. 신경성형술 등 경피적인 시술을 받은 적이 있는가 이다. 만약에 시술 경력이 있을 때는 수술 시에 더 긴장하게 된다. 수술할 때 훨씬 유착이 심해서 신경막 손상의 위험이 커지기 때문이다. 


4. 심한 말기 협착증 - 절대 금기증

이경우 수술이 필요한데, 수술하지 않을 거면 차라리 시술을 하지 말라고 권유드린다. 신경관이 심하게 좁은 상태에서 카테터로 자극을 하면 신경 손상이 유발될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이 경우 수술을 해도 손상된 신경은 회복되지 않을 수 있다. 어차피 안될 것 혹시나 하는 마음에 또는 수술하기 싫어서 시술받는 누를 범하지 말자. 굳이 해야 한다면 조심스러운 신경 주사치료 정도가 좋겠다. 


이상의 모든 예에서 보듯이 신경성형술은 척추협착증에 효과가 없다. 아니, 더 해롭다. 

아이러니하게 신경 유착이 더 심해져서 수술을 재촉하게 된다. 

수술하기 싫어서 일단 시술해 보고 안되면 그때 수술하자는 말을 믿지 말자. 

수술하기 싫으면 비싼 시술하지 말고 적절한 주사요법 및 투약치료를 하자. 



"수술하기 싫으시죠. 나이도 많으시고 얼마나 고생이 많으세요..."

"그러니 간단하게 시술해 봅시다. 그래도 안되면 그때 수술 고려합시다."


달콤한 말에 현혹되지 않기를...


작가의 이전글 협착증 수술, 몇 살 때 할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