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다안 Mar 21. 2024

빛이 있으라, 그러자 빛이 있었다

빛과 어둠과 행복과 불행의 상관관계

2021.8.17 화요일


    행복에 대한 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 고독/공허/존재의 유지에서 오는 번뇌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상태. 따라서 영구히 자유를 (혹은 속박과 헌신을) 누릴 있는 오직 타인과 연결되기를 욕망하고 연결을 한 치의 의심 없이 믿을 있는 (혹은 연결이 진실이라고 착각할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 뿐, 외의 인간에게 행복이란 불연속적인 순간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불변의 진실을 믿지 않고 모든 것을 의심하고 의구하는 나 같은 인간에게 불행은 필연이다. 한 번 장막을 걷어 그 뒤의 내용물을 본 사람은, 못 본 척 다시 장막을 덮어둘 수는 있어도 내용물을 보기 전으로 돌아갈 수는 없다. 영원한 안식-과 비슷한 무언가를 얻는 방법은 눈을 가리고 귀를 막는 것뿐.

루브르와 유리 피라미드 / 신화의 거룻배 (2022 / 2023)

    샤워하다 재미있는 비유를 떠올렸는데, 완전한 어둠은 존재해도 완전한 빛이라는 건 존재하지 않는다. 어둠은 곧 빛이 없는 공간이다. 우주의 일부를 똑 떼어 구슬로 만든다면, 그 안에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무의 상태가 가능하겠지. 그러나 빛은 입자 혹은 파동으로, 공간을 매개로 하지 않고서는 존재할 수 없다. 즉, 어둠은 빛 없이 존재할 수 있지만, 빛은 어둠 없이 존재할 수 없다. (그러니 어쩌면 영화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를 묘사할 때 자주 등장하는 새하얀/무색의/무의 공간 역시 완전한 어둠에 속하는 것일지 모른다.)

    빈 방 안에 물체가 있다고 상상해 보자. '완전한 물체'라는 상태는 없다. 물체의 입자는 공간의 점유를 전제로 하고, 그 입자 사이사이에 또다시 공간이 존재한다. 어쩌면 어둠이 빛보다 우월한지도 모른다. 도덕적으로, 의미론적으로가 아니라 물리적으로.

    또 어쩌면 이 모든 건 과학을 전혀 모르는 문과생의 개소리일 수도 있겠지만, 비유는 비유일 뿐이니까. 결론적으로 불행이 공간이고 따라서 절대적으로 존재할 수밖에 없다면, 행복은 때때로 그 공간을 통과하는 입자 혹은 파동이 아닐까, 하는 실없는 생각.


매거진의 이전글 시와 자아와 카인의 표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