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흐르는불 Feb 10. 2021

도망에서 다시 도망치기

<신경과학이 우리의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를 읽고

미래와 마음. 미래는 마음에서부터 만들어진다. 미래를 빚는 마음은 우리 거다.


 나는 고백한다. 나는 뇌과학을 신비로운 '마법사의돌'로 기대했다. 뇌과학책을 열심히 읽어서 치매 예방을 하려고 했다. 치매만 피할 수 있다고 하면 라틴어라도 공부할 마음이 있었다. 재미없어도 예방약 먹는 마음으로 악기도 배우고, 귀찮은 운동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효율적으로 자기계발을 해서 지금부터라도 수퍼 휴먼이 되려고 했다. 10000시간이 걸릴 일을 방법이건 내용이건 뇌에 착 붙여서 5000시간으로 줄일 수 있다면 뭐라도 시도해볼 생각이었다. 이건 뇌 뒤에 '과학'이 붙어있으니까 되는 방법일 거라고 기대했다.



 인터넷서점에 검색하니 작년 한해 '뇌'라는 키워드를 붙여 출판된 책만 169권이다. 한때의 심리학처럼 뇌과학만 갖다붙이면 뭐든 더 그럴듯해 보여서인가. 뇌과학책이 쏟아진다.  뇌과학에 관심을 가지면서 읽어볼까하는 책들의 제목은 이런 식이다.  <창조하는 뇌>, <10대의 뇌>, <사회적 뇌>, <책 읽는 뇌('다시, 책으로'로 개정)>, <정리하는 뇌>. ~하는 뇌가 대부분. 내 뇌를 물질의 하나로 받아들이고 이해해서 무적의 도구로 만들어줄 거라는 기대감이 드러난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의도적으로 뇌과학 대신 신경과학이라는 표현을 쓴다. 이유는 뇌과학이라는 용어가 사람의 정신활동이나 마음이 오직 뇌에서만 일어난다는 인상을 줄 수 있어서라고 한다. 


 컨텐츠를 만드는 마음이란 유튜버나 뇌과학자나 같은 것이다. 주제의 중요성과 심각성과 절박함은 썸네일과 제목으로 표현된다. 긴 제목은 사회에 질문을 던지고자 하는 의도 그대로다. 신화적 뇌과학이 정말 신자유주의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마음을 바꿀 수 있을까? 하고. 원제는 <CAN NEUROSCIENCE CHANGE OUR MINDS?>이지만 한국판의 제목은 마음이 미래로 바뀌었다. 우리 마음을 바꿔 사회를 바꿔야 미래를 바꿀 수도 있을 거라는 의도가 담긴 더 멋진 제목이다. 


 부부인 두 저자는 신경과학자이면서 급진과학운동-원자폭탄에 반대, 첨단 과학기술이 국가와 자본에 포섭되는 것을 비판-의 주역이다. 신경과학 자체의 연구나 활용을 비판하는 것이 아니다. 책에서 가장 경계하는 것은 환원주의에 대한 것이다. 환원주의는 다양한 현상을 하나의 근본 원리와 개념으로 설명하는 방식이다. 이전에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한 왓슨이 주장했던 유전자 환원주의가 그 예다. 뇌신경 환원주의를 우리가 함께 경계해야 하는 이유는 그 관점이 우리를 소외시키기 때문이다. 모든 현상을 뇌신경으로 설명할 수 있다면 우리 자신은 쓸모가 없어진다. 모든 가능성들도 단지 하나의 뇌로 환원될 뿐이다. 이 작업이 충실하게 이루어진다면 이어서 각종 사회 현상들이 뇌 탓이 된다. 그럼 그 뇌를 가진 개인의 잘못으로 연결되고 결국 현상의 본질인 사회 구조의 문제를 가린다. 개인의 의지와 능력 부족 탓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렇게 이 '뇌'와 '신경'이라는 접두사는 손쉽고 편리한 도구가 된다. 


 이 테크노사이언스-과학과 기술의 융합-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해 신자유주의 정치경제학과 한 몸이 된다. 특성상 테크노사이언스는 고가의 장비와 지원금이 필요하고, 신자유주의는 새로운 경제성장거리가 필요하다. 여기서 생략되는 것은 다시 한번 사람이다. (지원금) 대규모 프로젝트는 당연하게도 폭넓은 산업적 잠재력과 부의 창출을 기대받기 때문이다. 여기서 뇌는 자원이 되고, 사람은 정신자본을 담는 그릇이 된다. 이게 왜 문제가 될까. 이 방면의 나쁜 과학-과학을 나쁜 의도로 이용하려는 사람-은 국가의 정신자원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시선을 교육으로 돌린다. 부모는 뇌가소성-양육과 교육-이라는 마술로 자녀를 쪼그라든 뇌에서 구해내도록 요구받는다. 이 관점은 대단히 편리하다. 쪼그라든 뇌를 두고 정신자본이 결여된 부모, 양육기술이 형편없는 부모, 아이를 위한 열정이 부족한 부모 탓을 한다. 그러나 우리는 빈곤으로 불안정한 주거환경과 영양부족에 처한 아이들이 공부하고 학습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기 위해 뇌의 작동방식을 이해할 필요가 없다. 


  폭발적으로 늘어난 지원금과 시대적 필요성에도 신경과학이라는 학문에는 의심스러운 데가 있다. 이것이 실제로 어떤 종류의 과학인지에 대해서다. 신경과학은 탄생 과정에서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흡수되었는데, 그 분야가 다양하다. 심리학자, 생물학자, 로봇공학자, 교육학자, 사회학자, 수학자, 아동정신의학자 등. 이 사람들이 모여서 함께 연구를 하긴 하지만 이 분야들은 아직도 분리되어 있다. 그래서 학문 자체가 짐을 싸놓은 여행가방같다고 저자들 스스로 말한다. 중심이 되는 하나의 '뇌 이론'이 없는데 각 분야를 하나로 통합시킬 뾰족한 방도도 없다는 것이다. 신자유주의의 날개를 달고 풍부한 데이터는 확보했지만 이론이 빈곤한 분야다. 데이터의 바다는 나쁜 과학의 근거이기도 해서 언제든 조각내어 훔쳐지고 가공된다.


 저자들은 평생 연구해온 신경과학을 어떻게 쓰고 싶은 걸까? 방향제시의 부분으로 등장하는 것은 바로 신경다양성이다. 모든 사람의 뇌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지는 않는다. 우리 얼굴이 모두 다른 것처럼. 이 당연한 사실을 인정하고 받아들여서 적용하자고 한다. 이 인정은 '비전형적' 인지로 분류되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연결된다. 신경과학은 이 신경다양성을 이해하고 공존의 방법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완벽하지 않아도 책에서 소개된 사례는 이런 것이다. 10대의 뇌가 저녁형이라는 연구결과를 가지고 청소년들의 등교시간을 늦춰보는 실험을 한다. 연구결과의 진실과 효과여부를 -영향을 주는 요소가 너무 많고, 측정의 기준도 논란이 있을 것이다- 떠나 이런 식으로 사회에 적용해볼 수도 있다. 신경다양성의 범주와 경계는 계속 바뀌면서 비전형적 인지에 해당하는 사람들의 범위도 계속 바뀐다. 이 사람들의 상태는 결과이고, 일차적으로 그 원인은 사회와 경제에 있다. 나 자신만은 언제나 '전형적' 인지 상태일 거라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다.  


 나는 도망치고 싶었다. 각자가 스스로 준비해야 한다고 말하는 노후가 언제나 불안하고, 그 불안은 치매에 대한 공포가 됐다. 지금 있는 일자리의 대부분이 없어진다는데 그럼 나에게는 무슨 일거리가 남는건지 불안하고, 그 불안은 끝없는 자기계발에 대한 욕망이 됐다. 그 안에서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동안은 최소한 괜찮을 거라는 자기 위안을 할 수 있었다. 그래서 나는 뇌과학이라는 마법사의 돌을 찾아 수퍼 파워를 갖고 싶었다. 이미 연구된 성과만 사용한다 해도 강력할 것 같았다. 그 도망길에서 마주친 이 책은 나를 뇌과학에 걸었던 기대에서 다시 도망치게 한다. 이 분야를 그대로 내버려두면, 잘 감시하지 않으면 신자유주의의 제일가는 기수이자 구호가 될 거라고. 그래서 우리는 사람을 중심에 놓고, 다양성을 존중하고, 사회구조를 잘 다듬어야 한다고 말하는 그 과학자들의 목소리 때문에. 신경다양성에서 '신경'이라는 접두사를 빼면 그것은 우리가 사회 안에서 가지고 있던 문제와 똑같았다. 결국 시작한 곳으로 돌아와버렸다.

매거진의 이전글 작은 남성이 아닌 여성의 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