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ena Nov 06. 2024

돈을 쓰는 것을 좋아하는 아이

6세 여아 경제교육 시도하다.

올해 한국나이로 6세, 만으로 4세인 저희 아이는
돈이 어디선가 계속 나오는 줄 아는 것 같습니다.


마트나 백화점에 볼일을 보러 가면 아이는 이미 제 옆에 없습니다.

자기 쇼핑하느라 바빠서 저를 쫓아오지 않고 뭐를 사면 좋을지 생각하며 돌아다니고 기뻐합니다.

사주지 않겠다고 얘기하면 세상 억울한 표정으로 다음에 오면 이 장난감은 없어질 것이다, 나는 이것이 필요하다 등 저를 설득하기 시작하다 울음을 터트립니다.


이럴 때마다 제가 뭘 잘못하며 아이를 키웠나 고민하게 됩니다.

아이가 들고 있는 새 인형 3개, 집에는 더 많은 새 인형이 있지만 더 사달라고 한다.


아이들은 부족하게 키우라고 했는데 아이를 풍족하게 키운 건 아닌가.. 하지만 요즘 같은 시대에 이 정도는 다 하고 지내는 건 아닌가.. 여러 마음이 듭니다.


다른 아이들은 어떤지 주변 친구들에게 물어봤더니 쇼핑에 진심인 아이는 저희 아이밖에 없는 것 같아서 경제교육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경제교육 시도 리스트

1. 칭찬 스티커 모아 용돈주기 - 실패

경제교육을 하기 위해 제일 먼저 칭찬스티커 제도를 도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아이가 싫어하는 기본 생활습관들을 몇 개 모아놓고 그 일을 수행할 때 스티커 하나씩, 스티커를 다 모은 날은 100원씩 주기로 했습니다.

아이는 스티커를 받기 위해 최선을 다했고 일주일에 거의 700원을 꼬박 받아갔습니다.


그렇게 받은 돈은 저금통에 넣어서 관리했는데 저금통 동전은 얼마가 들어있는지 확인이 잘 안 되고, 아이가 가지고 다니면서 쓰기에 불편하기도 했으며, 제가 귀찮아서 스티커 몇 번 안 주다가 실패로 돌아갔습니다.

->스티커로 용돈주기를 성공하려면 용돈 기입장을 잘 사용하는 것, 저처럼  귀찮아하지 않는 태도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2. 경제 관련 책 읽기 - 성공

도서관에서 경제 관련 책을 빌려 꾸준히 읽혀주었습니다.

요즘 책에는 돈에 대한 개념뿐만 아니라 유통과정, 투자, 주식 등의 개념도 쉽게 잘 풀이되어 있어서 아이에게 알려주기 좋았습니다.

아이와 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돈을 절약해야 된다는 것, 필요하지 않은 것은 사지 않아야 하는 이유, 돈을 모아서 큰 것을 살 수 있다는 것 등을 가르칠 수 있었습니다.


아이의 파란 지갑-주말에 들고 다니는 지갑이다.


3. 일주일에 한 번 용돈주기 - 진행 중

용돈을 주는 패턴을 바꿔보았습니다.

일주일에 한 번 천 원, 천 원은 받으면 바로 지갑에 넣고 주말마다 지갑을 가지고 다니면서 사고 싶은걸 직접 사게 합니다.

아이가 사고 싶은 건 용돈에서만 살 수 있음을 알려주고 다 쓰면 아무것도 살 수 없다는 것도 말해주었습니다.

하지만 지난주에 6000원짜리 쓸모없는 장난감을 산다고 해서 경험을 주고 싶어 허락했는데, 6000원을 쓰고도 지갑에 돈이 조금 남아 있어 쓸모없는 걸 사고 돈이 줄어들어 아깝다는 것을 잘 가르치지 못했습니다.


다음 내용을 보시려면 아래를 클릭해 주세요.

6세 여아 경제교육 방법 - 소비를 좋아하는 아이 (tistory.com)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