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기획자를 어떻게 준비해야?
주니어 기획자는 어쨌든 정신없다. 회사에서 개발자, 디자이너 등 타 포지션에서 하는 말이 무슨 뜻인지 이해하기도 벅차며, 사수가 없는 경우 밀려오는 업무를 혼자 해야만 한다. 이런 난관을 헤쳐나가기 위해서 무언갈 시작하며 배워야 한다고 마음은 먹지만, 디자인, 퍼블리싱, 개발과 다르게 기획은 학원도 없고, 배울 사람을 찾는다는 게 여간 쉬운 일이 아닌 현실이다. 글쓴이도 마찬가지로 주니어 of 주니어 기획자이기 때문에 앞서 말한 난관에 부딪혔었지만, 지금은 그나마 갈피를 잡고 열심히 노력하는 중이다. 이런 글쓴이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번 글에서는 주니어 기획자라면 어떻게 자신을 성장시켜야 하는지에 대해 겪었던 순서대로 다뤄보도록 하겠다.
여러분들도 아시겠지만, 현재 IT 서비스는 정말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제공되고 있으며 그중 우리는 황금 워라밸을 갖춘, 그리고 꿈의 직장인 '네카라쿠배당토' 를 포함한 유니콘 기업들을 갈구하고 있지만, 이들 또한 각각 다른 도메인의 서비스이기 때문에 자신이 어떤 도메인(=카테고리)에서 기획을 하고 싶은지 정하지 않는다면, 성격이나 적성이 맞지 않을 경우 안정적인 회사 생활을 보장받을 수 없다. 물론 선호하는 도메인은 언제든지 바뀔 수 있지만, 성장을 위해 뚜렷한 목표를 잡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설정하기를 바란다.
우리나라의 기획자는 회사의 성격마다, 회사마다 다른 업무와 이름을 갖고 있다. 글쓴이가 아는 것만 해도 기획자, 앱기획자, 웹기획자, PM, PO, UX기획자 등 비슷한 업무를 하지만 이름이 다양한 경우가 많다. 이럴 때는 다음 내용에 나올 채용공고의 JD를 확인하여 판단해야 한다. 참고로 요즘 취준생이나 주니어들에게 가장 핫한 직무인 PM, PO는 서비스의 설계뿐만 아니라 분석부터 출시 후 운영까지 서비스, 프로덕트의 전체적인 흐름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기 때문에 목표로 설정할 수는 있지만 좀 더 기초적인 기획 직무를 경험해보고 준비하는 것도 괜찮아 보인다.
간단하게 '직무 설명서'라고 보면 된다. 채용공고의 업무내용, 자격요건 등을 포함하는 단어이기도 한데, 정확하게 JD가 뭔지 알 필요는 없고, JD에 어떤 내용이 기재되어 있는지가 중요하다. 앞서 말했듯 도메인마다, 회사마다 요구하는 기획자의 역량과 수행하는 업무가 분명히 다르기 때문이다. 보통 기획 포지션에서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조건은 1.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2. 해당 분야의 서비스 경험 유무 3. 협업 툴(Jira, Notion, Slack 등) 및 작업 툴(MS Office, Figma, XD 등) 정도인데, 이 세 가지는 최소한의 수준으로 갖추는 게 좋다.
갖고 있는 것을 더 숙달한다면 좋겠지만, 아무래도 주니어는 갖고 있는 것보다 가져야 할 것이 많은 상황일 것이다. 따라서 지금 할 줄 아는 것들은 잠시 놓아주고, 자신이 가고 싶은 회사가 필요로 하는 것을 익히는 게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위의 JD에서 했듯이 기획자는 타 포지션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직무이다. 깊은 IT 지식은 물론 도움이 많이 되지만, 풍부한 어휘능력을 바탕으로 타인과의 입장 차이를 고려하여 원하는 목표를 수월하게 달성할 수 있도록 대화를 해야 한다. 이런 능력은 다른 공부에서 나오는 게 아닌 책 읽기에서 얻을 수 있다. 물론, 기획이나 IT 관련된 서적을 읽는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이 또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기르기 위한 수단이다. 재직 중인 분이라면 어떤 말도 이해하기 힘들 신입인 경우가 대부분일 텐데, 쫄지 말고 대화를 즐겨야 한다.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오가는 대부분의 IT 지식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뜻을 몰라도 계속 듣다 보면 어느샌가 흐름을 이해할 수 있게 되고 결국 의미도 터득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기 마련이다. 포기하지 말고 대화에 부딪힐 것!
사실 강의는... 개인적으로 추천하지 않지만 쓴 이유가 있다면, 가끔 회사의 JD를 보면 '데이터 분석 능력'이나 '프론트엔드의 개발 지식' 등 보통의 기획자가 하지 않는 역량을 원하는 경우가 있다. 자신이 정말 가고 싶은 회사라면, 어쩔 수 없이라도 배워야 할 것인데 이런 역량은 혼자서 키우기 정말 힘들다. 이때 강의를 활용하면 된다. 요즘은 많은 플랫폼에서 다양한 것에 대해 강의를 제공하기 때문에 필요한 공부를 하기 딱 좋다.
자격증 또한 강의와 비슷한 맥락의 공부이다. 흔히 기획자가 접할 수 있는 자격증이라면 '정보처리기사(산업기사 x)', '데이터 분석 관련', '서비스/경험 디자인 기사' 정도가 있을 텐데, 사실 자격증은 실무에서 크게 중요하지 않다. 같은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상황에서는 자격증이 부가적인 평가 요소로 작용할 수 있지만, 직무 관련 어떤 경험들을 했는지가 우선이다. 자격증 취득을 위해 공부하는 과정에서 물론 실력이 늘 수 있지만 정말 시간이 많이 남았을 때 하기를 추천한다.
재직 중인 신입 기획자라면 회사에서 모든 시간을 업무에 사용하진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신입에게 맡길 일이, 아니면 신입이 할 수 있는 일이 산더미처럼 쌓여있는 것은 드물기 때문이다(만약 사수가 없거나, 급한 채용으로 당장 업무가 많은 경우를 제외). 이럴 때 위의 배워야 할 것을 조금이라도 더 익혀나가도록 하자. 퇴근 후 집에서 한두 시간 쉬면 잘 시간인 경우가 대부분이니까 업무 시간을 제대로 활용하자!
기획자에게 글쓰기는 디자이너가 디자인 툴을 잘 다루는 것만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회사에서 메일 작성하기를 시작으로 업무 관련 문서도 작성해야 하며 다른 사람들과 글과 말로 소통하는 게 주 업무이기 때문에 글 쓰는 습관을 들여놓는다면 연차가 쌓일수록 자신도 모르게 타인에게서 소통이 원활한 기획자로 불릴 수 있다.
요즘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부분이다. 글쓴이 같은 경우 기획자로서 최종 도메인을 설정했기 때문에 그 분야에 출시되어 있는 서비스는 최대한 많이 사용해보려 한다. BX, CX, UX를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그 분야의 사용자가 되어 많은 경험을 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것저것 설치부터 가입하고 사용해보는 것까지 정말 번거로운 일이지만, 하다 보면 '왜? 이 서비스는 이렇게 되어 있을까?'부터 '이 서비스는 어떻게 수익을 낼까?', '이 서비스를 쓰는 사용자는 누구일까?' 등 다양한 고민을 만들 수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또 다른 공부를 할 수 있다.
글쓴이가 진행 중인 성장 방법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목표ㆍ도메인 설정 -> JD(Job Description) 파악 -> 나의 역량 구분 -> 배워야 할 것
머리를 써야만 할 수 있는 것들이 아니라, 시간만 할애한다면 충분히 할 수 있는 것들이다. 하지만, 실제로 주변을 둘러보면 당장 주어진 업무만 겨우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글이 정답이 될 수는 없지만, 자신이 현실에 부딪혀 어딘가 방황하고 있는 상태라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글쓴이를 포함한 많은 주니어 기획자들은 열심히 성장 중이다. 여러분들이 안주하고 있는 지금 이 순간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