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한선 Feb 08. 2023

2030을 위한 ERP 이야기

1. 차세대 ERP 비전 

국내에 SAP가 ERP란 이름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지도 어언 30년이 되어간다. 글로벌 회사로의 도약을 꿈꾸며 글로벌 베스트 프랙티스가 내장된 글로벌 솔루션을 도입하면 프로세스 혁신을 쉽게 달성할 수 있다고 믿으며 여러 회사들이 이 혁신의 대열에 뛰어 들었다.

이 혁신 노력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게 내려질 수 있을 것이다. 어찌 되어든 SAP ERP가 국내 기업들의 성장과 글로벌화에 많은 기여를 했고 현재의 주요 국내 기업들의 중요한 Enterprise System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은 부정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 동안 이 SAP ERP 기반 차세대 구축은 몇번의 흐름을 타고 진행되었다. 초대 SAP ERP 선정과 도입 이후에 각 회사별로 한두번은 차세대 ERP로의 Upgrade 혹은 재구축이 진행되었다. 그 때마다 각 회사별로 그러한 혁신이 필요한 시대적/회사 상황상의 필요가 있었다. 이제 또 한번의 차세대 ERP 논의와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번의 논의와 투자는 다분히 SAP ERP의 기술적 변화에 기인한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SAP R/3 ERP가 S/4HANA라는 솔루션 벤더의 기술 혁신에 기반한 새로운 기술 플랫폼 기반의 혁신 로드맵에 따라 기존 솔루션의 수명을 정하고 새로운 솔루션으로 전환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사이 SAP ERP의 기업 Enterprise System 내에서의 역할과 위상도 많은 변화를 겪었다. 초창기 SAP ERP가 전사 업무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시스템이었다면 이제는 기술의 진화와 함께 기업내 IT 지원 범위도 대폭 확대되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전문 영역의 시스템들이 확대, 확산되어 ERP와 연동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때 SAP ERP의 경직성과 비용 부담 때문에 이를 대체할 방안을 찾는 기업들이 있기도 했으나 SAP ERP의 기업내 위상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그럼에도 ERP의 역할과 위상에 대하여는 다양한 평가가 있고 과연 비용 대비 충분한 효과를 가져다 주고 있는지에 대한 회의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따라 기술적 요구에 위해 추동되는 차세대 ERP 논의와 함께 SAP ERP가 Enterprise System 구조 속에서 차지해야 하는 위상과 역할, 그리고 ERP가 제공해야 하는 가치 등에 대한 새로운 비전이 필요해 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기술에 기반한 차세대 ERP의 비전과 함께 SAP ERP의 가치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같이 생각해 보고자 한다. 

ERP의 비전과 미션은 각 회사가 처한 환경과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각 기업들에 공통적이라고 생각되는 ERP의 역할 및 요구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은 차세대 ERP 비전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1. 차세대 ERP는 Enterpirse Digital Core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2. 차세대 ERP는 프로세스 혁신의 도구로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3. 차세대 ERP는 기업의 Data 활용의 기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4. 차세대 ERP는 DX(Digital Transformation)의 도구이자 DX 도구들을 적극 수용하여 전사 DX 전환을 선도해야 한다.

5. 차세대 ERP는 사용자 중심의 성과 창출을 위하여 UI/UX 혁신을 주도해야 한다. 

6. 차세대 ERP는 급변하는 기업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Agility를 확보하기 위해 Simple, Clean Core를 지향해야 한다.

7. 차세대 ERP는 기업 가치 창출에 기여해야 한다. 


[그림 1-1]차세대 ERP 비전

I. Enterprise Digital Core

1. 회사의 표준/기준을 정립하고 제공하는 역할: 기준정보, 관리 지표, 평가 기준, 관리 기준, 업무 처리 규칙 등

2. 기업 활동의 최종 결과물로서의 재무 성과의 내외부 리포팅을 위한 모든 필요 정보의 최종 취합/제공자로서의 역할

3. 모든 Front End 시스템 및 외부 시스템과의 연계 중심으로서의 역할

4. 전사 Business Architecture 및 Technical Architecture 구조상의 Core Component로서의 역할 

5. DX 추진을 위한 다양한 Digital 신기술을 통합하여 변혁을 이끌어내는 기초 하부 구조 역할

6. 기업 활동의 모든 Data의 기준 역할 


II. Process Innovation(Transformation)

1. 표준화/통합화/연결을 통한 지속적인 효율성/효과성 추구

2. 사업 및 환경 변화에 따른 업무 프로세스의 변화에 유연한 대응

3. Global BP 반영된 솔루션 패키지 기능의 적극적 검토/반영을 통한 혁신


III. Data Driven Decision Making

1. Operational 사용자를 Knowledge Worker로 전화시키는 기반

2. 직무 및 직급에 요구되는 필요 data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역할 수행

3. 프로세스의 결과물로서의 Data 관점에서 Data 생성/변경/활용을 위한 Process 운용이라는 관점의 전환


IV. Intelligent ERP with process automation, ML and More

1. 프로세스의 효율화와 Data 기반 의사결정을 위한 Data Capture/처리의 자동화 강화하고 사람은 data 기반 분석/평가/판단 역할 중심으로 전환

2. Data 기반 분석/평가/판단 역할 지원을 위한 알고리즘 기반의 Data 활용


V. UI/UX transformation driven business value creation

1. 효율/효과 중심의 프로세스 목적 달성을 위한 사용자 경험 강화

2. Web 3.0 세대를 위한 Consumer grade UI/UX 

3. 직무 Role 기반의 프로세스/Data/UX 경험 설계

4. Web API 기반의 시스템 통합을 위한 기반 인프라


VI. Simple, Clean Core ERP with Fit to Standard approach

1. 지속적인 Global BP 기반 혁신 및 기업 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Upgrade Safe ERP

2. 표준 패키지 기능 활용 강화를 통한 추가 난개발을 방지하는 Simple Core ERP

3. Clean Core 개발을 통한 Upgrade safe, future Cloud ready ERP

4. 구축과 유지보수 전 과정을 통한 TCO 최적화


VII. Focuing Business Value Creation

1. QCDF(Quality, Cost, Delivery lead time, Flexibility) Business Value 정의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


2023.01.03 




작가의 이전글 2030을 위한 ERP 이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