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극단적인 낮과 밤의 길이

4. 9시에도 지지 않는 해

겨울

겨울에는 3시만 되어도 해가 졌다.

가뜩이나 올빼미형 인간인 나는, 극단적으로 짧은 스웨덴의 낮에 좀처럼 적응할 수 없었다.

일어나서 씻고 밥 먹고 정리하고 할 일 조금 하다가 창 밖을 보면 해가 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해가 일찍 지니깐 오후 4시밖에 안 되었는데도 잠자리에 들어야 할 것 같았고, 무기력해지기 일쑤였다.

더군다나 날씨도 흐려서 좀처럼 햇살을 쬘 수가 없었다.


그러다가 가뜩이나 짧은 낮시간 중에 가~끔 구름이 걷히고 햇살이 보일 때가 있었는데, 오랜만에 보는 태양이 너무 반가운 나머지 일광욕을 하러 집밖으로 바로 뛰쳐나가곤 했다.

일광욕이라고 하기에도 무안한 짧은 광합성을 끝내면 해는 다시 구름뒤로 들어갔고 또 금세 지평선 너머로 사라졌다. 아, 여기 오기 전에 비타민D 주사 맞고 온 게 참 잘한 일이었다는 생각만 들뿐이었다.

(여기서는 겨울에 많이들 비타민D를 복용한다고 했다.)

오후 다섯 시 반인데 이렇게 깜깜해졌다.




여름

아직 완전히 여름이 오지 않은 5월이지만,

벌써부터 해는 9시가 되어도 질 생각을 하지 않는다.

"이쯤 되면 저녁 먹을 시간이겠군"하고 시계를 보면 8시를 훌쩍 넘어있고, 9시가 넘어서야 땅거미가 지는 것을 보며 '이곳은 왜 이리 낮과 밤의 길이가 극단적인가'하고 생각하게 된다.

겨울에는 해가 지나치게 일찍 지고, 또 여름에는 지나치게 늦게 지는 이곳.


그래도 해가 3시에 져버리는 것보다는 9시에 지는 것이 훨씬 나은 것 같다.

낮이 길어질수록 보다 긍정적사람이 되고 또 활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적어도 나는 그다.)

그래서인지 모두들 '스웨덴은 여름이 정말 좋다'라고 말한다.

여름만 되면 낮이 길어지면서 스웨덴 사람들이 '행복모드'가 된다며, 꼭 여름의 스웨덴을 경험해 보라고 다들 입모아 말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나도 어서 '백야'를 경험하고 싶다는 생각이다.


미드소마(하지)가 성큼성큼 다가오고 있다.


놀랍게도 오후 8시다.


매거진의 이전글 '수잔 브링크의 아리랑'을 기억하세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