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준민 May 07. 2023

자기조절학습 논문 리뷰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왜 중요한가?

    


첫 번째 논문 : 김혜진 송해덕 윤해주 김연경 (2022) MOOC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및 과제기술적합성의 조절효과     


이론적 배경     

1. 학습지속의향 :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달성하고자 자신이 수강하는 교육과정, 학위, 프로그램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 또는 계획적이고 연속적인 참여(Müller, 2008)

2. 자기조절학습능력 : 학습자가 학습에 대한 목표를 적극적, 의도적으로 설정하고 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자신의 인지, 행동, 동기와 환경을 모니터링, 조절, 통제, 평가하는 능력 (Pintrich, 2004)

3. 지각된 유용성 : 특정 테크놀로지나 시스템의 사용이 개인의 학습 성취나 직무성과를 향상시킬 것이라고 믿는 정도를 의미(Davis, 1989)

4. 학습몰입 : 학습자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학습에 있어 능동적이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심리적 상태(Coates, 2005)

5. 과제기술적합성 : 개인의 과제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테크놀로지가 얼마나 잘 지원해 주는가를 의미(goodhue, Thompson, 1995)     


연구모형              


연구결과     

1. K-MOOC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간접효과는 유의하다. 즉,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인 영향 변인이라기보다는 학습몰입을 통해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가지는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2. K-MOOC 시스템에 대한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은 학습지속의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즉, 학습자가 MOOC 시스템에서 학습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인식할 때 학습을 지속하려는 경향이 높다는 것이다. 

K-MOOC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지각된 유용성이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3. K-MOOC 환경에서 과제기술적합성은 독립변인(자기조절학습능력, 지각된 유용성)과 매개변인인 학습몰입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다.      


연구시사점     

1. MOOC 환경에서 학습지속의향의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몰입 수준을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해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및 시스템 관련 요인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지각된 유용성, 학습환경 지원 측면 요인인 과제기술적합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근데 그 전략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밝히지는 않았다. 

2. 양적연구였기 때문에 연구참가자들이 K-MOOC 환경에서 학습하는 것을 어떻게 느끼는지 구체적으로 알기 어려웠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 질적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재정의함으로써 학습지속의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논문 : 박민애, 손원숙 (2020) 초등학생이 지각한 형성적 피드백과 성취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목적 

초등교실에서 일어나는 형성적 피드백과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서 개인이 지닌 성취목표 지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초등학교 5, 6학년을 선정하였다. 초등학생의 경우 대부분의 교과를 담임교사 한 사람이 수업하며, 학습 과정의 전반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아 형성적 피드백을 충분히 주고받을 수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이론적 배경     

형성적 피드백 : 학생의 학습 과정과 결과에 도움을 주어 학습개선과 학습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피드백 일체(박민애, 손원숙, 2020)

성취목표지향성

-숙달목표 지향성 : 과제의 심층적인 이해를 통한 내적 발전을 학습의 목표로 한다(Pintrich & Schunk, 2002). 
 -수행접근 지향성 : 자신의 능력이나 가치를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고 싶어 하는 지향성(elliot & Church, 1997)

-수행회피 지향성 : 다른 사람에게 나의 부족한 능력을 보이고 싶어 하지 않는 지향성(elliot & Church, 1997)     


연구모형              

연구결과     

1. 형성적 피드백은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지향성에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수행회피지향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다. ->자신의 학습에 대한 점검과 구체적인 향상방안 등과 관련한 조언들이 학습에 의미를 두는 숙달목표지향성을 강화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2. 더불어 수행접근지향성은 유능감을 드러내기 위해 학업에 열중하는 성향이므로(양명희, 오종철, 2006), 학업에 도움이 되는 정보인 형성적 피드백수행접근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3. 수행회피지향성은 피드백을 통해 학습정보를 획득하기보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회피하는 것을 더 중시 여기는 경향이므로(Pintrich & Schunk, 2002), 자신의 학습향상을 위해 주어지는 형성적 피드백이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4. 형성적 피드백이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이 완전매개효과를 갖는다. 이는 형성적 피드백이 학습자 특성인 성취목표지향성을 통해 학업적 결과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시사점     

1. 학생들의 학습향상을 위해서는 ‘숙달목표지향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학습 과정과 결과, 추후 학습을 위한 전략 등과 관련한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2. 피드백의 효과를 높이려면 학습자 특성에 대한 세심한 이해가 필요하다. 숙달목표지향성이 아닌 수행접근 지향성 혹은 수행회피 지향성의 학습자에게는 이들에게 맞는 피드백 방식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문제정의 : 어떻게 숙달목표지향성, 수행접근 지향성의 학습자에게 맞는 피드백을 하면서, 이들을 숙달목표지향성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까?          


세 번째 논문 : Barry J. Zimmerman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3-17     

연구목적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 사이의 관계에 대해 개괄하고자 한다.      


연구핵심

자기조절학습 :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활동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통제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1)학생들이 학습을 위해 자신의 목표와 학습 방법을 설정하고, (2)학습 진행 상황을 자기 평가하고, (3)필요에 따라 학습 전략을 조정하며, (4)학습에 대한 자신의 동기와 관심을 유지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 자기조절학습은 학생의 학업성취를 높이고, 학습결과를 개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럴 수 있는 이유는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고, 학습 방법과 목표를 조정하여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학습 결과를 피드백으로 활용하여 지속적인 개선을 이루어내기 때문이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이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동기를 개선하며, 학습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능력을 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결론 

따라서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연구시사점 

이미 학습격차가 많이 벌어지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떨어진 상태로 중학생이 됐을 때 어떻게 무력감을 느끼지 않을 수 있게 도우면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다시 향상시킬 수 있을까?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학습지속의향 #학습몰입 #K-MOOC #성취목표지향성 

작가의 이전글 비형식 학습 논문 리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