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준민 May 20. 2023

학습자 중심 개별화 학습 논문 리뷰

진정한 개별화 학습은 어느 정도 수준이 되어야 할까?

논문 : 임규연, 임지영, 진명화, (2021). 테크놀로지 기반 개별화 학습에 대한 체계적 문헌 분석: 2011-2020년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7(3), 525-559.     


개별화 학습 정의 : 학습자에게 적합한 콘텐츠를 적응적으로 제공하는 것뿐 아니라,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 목표와 과정을 설정하고 설계할 수 있도록 학습의 전 과정에 걸쳐 적절한 교수학습 지원을 제공하는 것 등의 다양한 형태를 포괄하는 개념.      


효과적인 개별화 학습의 조건 : 개인의 학습을 총체적인 체제로서 다양한 요소가 상호작용하는 현상으로 보고, 이에 맞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지원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개별화 학습을 위한 적응적 차원 및 요소의 정의(Vandewaecere, Clarebout, 2014)

분석방법 : 위의 프레임워크에 기반하여 문헌고찰 단계(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s, 2017)에 따라 39개의 국내 논문을 개별화 학습, 개인화 학습, 적응적 학습, 적응형 학습, 맞춤형 학습을 키워드로 분석    

 

연구결과     

1. 데이터의 출처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시스템 파라미터(28개)학습자 파라미터(19개) 보다 상대적으로 더 빈번히 활용되었다. 
 -학습자-시스템 파라미터로는 문제 풀이 결과가 주로 활용되었고, 학습자 파라미터로는 사전지식 수준과 학습 스타일이 주로 활용되었다. 
 -학습자의 정의적/행동적 특성을 고려하지 못했다. 

2. ‘무엇’에 대해 개별화하는가를 분석한 결과, 학습 내용(21개) 및 교수방법(21개) 측면에서 주로 개별화가 이루어졌고, 학습자료의 제시 형태를 개별화하는 연구는 2개에 불과하였다. 
 -개별화 학습을 위한 지원이 다양한 측면에서 충분히 이뤄지지 못했고, 이는 보편적 학습설계를 구현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3. 개별화 학습의 시점을 분석한 결과, 교수 활동을 시작하기 이전에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12개, 교수-학습 활동 진행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가 6개였다. 특히 2020년 발표된 논문 11편 가운데 10편에서 역동적 혹은 혼합형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최근에 와서 개별화 학습의 다양한 시점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 잘하고 있다. 

4. 개별화 학습에 대한 통제권을 분석한 결과, 개발자 또는 교수자가 관련 의사결정을 하였으며(35개), 학습자가 직접 통제하는 경우는 5개, 통제권을 공유하는 경우 역시 5개에 불과하였다. 
 -학습자 중심 환경의 관점에서 볼 때 개별화 학습이 제한적으로 기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학습자에게 학습의 통제권을 부여함으로써 개개인의 학습 요구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인간의 기본적 심리요인이자 자기결정성 수준을 결정하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을 지지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의 내적동기와 학습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사점     

-학습자에게 교수 방법이나 교육과정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와 학습 경로나 학습 활동, 학습 과제에 대한 선택권을 부여하는 방법 등을 통해 학습자 중심 학습 환경을 구현하려는 시도가 요구된다. 


나의 연구에 대한 시사점

-메타버스에 구현한 <건강한 취준>은 얼마나 학습자 중심 학습 환경일까? 얼마나 개별화 학습이 진행되었다고 볼 수 있을까? 

-앞으로 <건강한 취준>을 통해 얻어지는 학습자들의 진로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떻게 더 강력한 개별화 학습이 가능한 학습자 중심 환경을 디자인할 수 있을까?


#개별화학습 #학습자중심환경 #선택권 #보편적학습설계

작가의 이전글 자기조절학습 논문 리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