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희 Jul 08. 2023

이름이 여러 개입니다만

이름에 대한 편지, 유희

   사실 이름 이야기를 하기로 했을 때, 저는 개명 전 제 이름을 우리 글에 밝히는 것에 좀 주저하는 마음을 가졌습니다. 이경 씨는 제가 지금의 이름이 아닌 X로 불리던 시절을 기억하고 있지요. X로 꽤 오랜 시간 이경 씨에게 불리기도 했고요. 가끔 지금의 제 이름을 부를 때 개명 전의 이름인 X가 떠오르는지 묻고 싶기도 하네요. 주저하다 개명 전 이름 대신 X로 이 편지에 적는 것을 이해해주었으면 합니다.


  저는 이전에 불리던 이름이 싫습니다. 뭐, 싫으니 스스로 법원에 찾아가 판사에게 구구절절한 사연을 써서 개명 신청을 한 것이겠지요. 이경 씨도 알다시피, 이전 이름 X는 제 또래의 아이들에게 쉽게 지어주지 않던 이름이었습니다. 이름 때문에 놀림받은 기억은 셀 수 없이 많고요. 초등학교 땐, 학교에만 가면 짓궂은 남자아이들이 창의력을 발휘해 매일 유치한 별명 하나씩을 붙여주더군요. 제 성과 X라는 이름을 가지고요. 지금 생각하면 그냥 넘어갈 수도 있는 일인데, 어린 마음에 상처를 많이 받았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생각했습니다.

  ‘크면 꼭 개명부터 할 거야!’

 이렇게 시작된 저와 X라는 이름의 갈등은 고등학교 때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저는 고등학교 때 왕따 또는 은따였는데 저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꼭 이름 앞에 성을 붙여서 저를 부르더군요. 그리고 그 이름으로 아이들이 저를 욕할 때마다 저도 제 이름을 같이 혐오하게 된 것 같습니다. 지금 이렇게 생각해 보니 제 이름 X에게 좀 미안한 기분이 드네요.


 아마 제 주변의 많은 이들은 놀림을 받을 정도로 촌스러운 이름 때문에 개명했을 것이라 짐작하고 있을 겁니다. 귀찮은 마음에 어떻게 생각하든 말든 넘어가고 말았지만, 사실은 이름이 싫어지게 된 계기가 이름의 촌스러움 때문만은 아닙니다. 살면서 X와 비슷한 이름을 가진 제 또래의 사람들을 여러 명 만났는데 자신의 이름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었으니까요. 아마 저도 X라는 이름에 대해 여러 긍정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었다면 이전 이름 X로 계속 살았을지도 모릅니다. 누가 뭐라든 상관하지 않고 말입니다.

 

  개명을 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X라는 이름에 별 뜻이 없어서입니다. X라는 이름은 동네 시골 개 이름을 누렁이, 검둥이처럼 대충 지어주는 것처럼 아무 뜻도 없는 이름이었습니다. 이름에 꼭 뜻이 있고 의미가 있어야 하는 건 아닐 겁니다. 부르기에 편하거나 가문에서 돌려쓰는 이름이거나 할 수도 있으니까요. 하지만 문학을 공부한 제게 이름의 상징성은 무엇보다 중요했습니다. 그렇다고 오글거리거나 거창한 이름을 원한 것도 아닙니다. 적어도 누군가 호명했을 때 스스로 느낄 수 있는 의미가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이십 대 중반 어느 지점에 스스로 이름을 고치게 된 것이고요.


  치매에 걸린 저의 어머니는 아직도 제 이름을 X라고 부릅니다. 한 번도 지금의 제 이름을 어머니에게 알려주지 않았고 X라고 부르실 때 “그렇게 부르지 마세요, 어머니.”라고 말하지 않았습니다. 어머니는 사람들이 왜 저를 X대신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지 한 번도 물어보지 않으셨습니다. 저의 결혼식 날, 사회자가 신부입장을 외치며 이름을 부를 때에도 본인의 귀를 의심하지 않으시더군요. 아마 내내 이름 X를 붙들고 놓아주지 않는 사람은 어머니가 유일한 것 같습니다.


  이름에 대해 이렇게 글로 써 본 건 개명을 신청할 때 빼고 처음입니다. 개명을 신청할 때도 이렇게 깊게 생각해 본 적은 없는 것 같고요. 이름에 대해 여러 불편함을 느꼈지만 이렇게 글로 쓰니 비로소 정리가 되는 기분입니다.

  지금의 제 이름도 특별한 의미는 없지만 스스로 붙여준 이름이라는 그 이유 하나로 제가 사랑하는 이름이 되었습니다. 이제 X로 살았던 날보다 개명 후의 이름으로 살게 될 날이 더 길어질 테지요. 그리고 필명으로 쓰고 있는 '유희'라는 이름으로도 자주 불릴 테고요.

  어쩌다 저는 여러 개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름이 여러 개여서 제가 여러 개로 쪼개진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각자의 역할을 주고 나아가는 모습을 바라보고 싶습니다. 글을 쓰는 사람이어서 작품을 쓸 때마다 캐릭터의 이름까지 지어주고 있으니 이제는 작명의 달인이 되어가는 것도 같습니다.


  이전 편지에서 이경 씨가 창문 이야기를 한 적이 있지요? 창문 너머 사람들은 다 다르지만, 왜 비슷한 부분을 발견하는지에 대한 문장이었는데 저는 이 문장이 우리의 편지가 왜 엇갈리지 않는지 말해주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경 씨도 저도 이름이 여러 개이지요. 저는 이전 이름을 지웠고 이경 씨는 원래 이름을 남겨두었지만 스스로 이름을 만들어주게 된 이유는 비슷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저의 창문 너머, 이경 씨의 창문 너머의 많은 이들이 스스로 이름을 지어줘도 참 멋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 우리 모두 얼마나 의미 있는 사람들이 될까요?

매거진의 이전글 어린아이가 살고 있어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