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삐뚜로 빼뚜로 Dec 18. 2021

우리 아빠는 34살이고요. 창문 청소부예요.

영화 <노웨어 스페셜, 2020> 리뷰


<풀 몬티, 1997>, <스틸 라이프, 2013>로 한국 관객에게 익숙한 우베르토 파솔리니 감독의 영화 <노웨어 스페셜(Nowhere special)>은 마이클이 아빠 존을 통해 죽음이 무엇인지 배워 나가는 과정을 담고 있다. 창문 청소부로 일하는 34세 존은 몹쓸 병에 걸려 시한부 판정을 받았고, 홀로 4세 남자아이 마이클을 키우고 있다. 

존은 짧은 시간을 부모님과 함께 보내고, 위탁 가정에서 양육되었다. 존의 주변에는 마이클을 맡길 수 있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존은 직접 마이클의 가정을 고르기로 한다. 그러나 후보군에 있는 가정들은 모두 마이클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 부모가 학력이 높은 가정으로 보내면, 마이클이 공부의 압박을 많이 받을 것 같고, 낳은 아이와 입양한 아이가 여럿 섞여 있는 가정으로 보내면, 남매들 틈에서 마이클이 적응하며 살아남기가 어려울 것 같다. 마이클의 조건을 조금이라도 마음에 들지 않아 하는 가정으로 보내면, 천덕꾸러기로 살 것 같고, 경제적으로 여유롭지 않은 한부모 가정으로 보내면, 남들과 다른 결핍에서 상처를 받게 될 것 같다. 존은 얼마 남지 않은 시간 안에 해야 하는 이 선택이 너무 어렵고, 괴롭다.


영화 <노웨어 스페셜, 2020> 포스터


영화 <노웨어 스페셜>은 '창문'을 키워드로 정리해볼 수 있다. 창문은 두 공간을 분리하여 안과 바깥을 구분해주지만, 안에서 밖을 보거나 밖에서 안을 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연결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우리 신체에서 창문은 빛이 들어오는 눈이며, 이 창을 통해 보는 행위는 시선이 되고, 관점이 된다. 게다가 영화관의 스크린은 작품을 볼 수 있는 아주 커다란 창문이다. 이쯤 되면 존의 직업이 창문 청소부라는 것에 화들짝 놀라야 마땅하다.


<더러워진 창문을 열심히 닦는 존>


창문은 시간이 지나면 당연히 더러워진다. 사람들은 자기 집이나 가게의 창문을 스스로 닦지 못하고, 돈을 주고 존을 부른다. 존은 비누 솔과 스퀴지, 손목 스냅을 이용해 깨끗하게 창문을 닦는다. 그러나 존은 합당한 이유 없는 욕을 듣기도 하고, 열심히 일해놓고 돈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존이 창문을 닦으며 들여다본 안의 모습은 지금 내 처지와 비교했을 때, 여유롭고 행복해 보인다. 스파이더맨 옷을 입고 비싼 장난감을 가지고 노는 마이클 또래의 친구들이나 아빠와 엄마가 모두 갖춰진 가정을 보면 '최고의 아빠'가 될 수도 있다는 희망이 무너지는 느낌이 든다. 마이클을 믿고 맡길 수 있는 입양 가정을 찾는 일은 창문을 닦는 것과 비슷하다. 갑자기 찾아오는 통증이 힘겹지만, 최대한 창문을 깨끗하게 닦아야 그 안을 조금이라도 더 잘 들여다 볼 수 있기 때문이다.

 

34살 존은 남은 시간이 별로 없다.


<맑고 커다란 눈망울로 세상의 일을 배우는 마이클>


마이클은 유독 맑고 커다란 눈망울을 가졌다. 아이가 무언가를 쳐다보는 장면을 카메라가 정지된 이미지처럼 보여주는 장면들이 종종 있는데, 이는 마이클이 자신의 창문으로 세상의 일을 배우는 순간이다. 아빠 존은 아직 4살밖에 되지 않은 아들에게 죽음이 무엇인지 알려주고 싶지 않다. 그러나 아이들은 어른의 주변을 감싸고 있는 공기를 통해 이미 끊임없이 배우고 있다. 마이클은 나무 아래에서 죽은 딱정벌레를 보며 아빠의 몸도 곧 이 벌레처럼 움직이지 않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알았다. 어른들의 말을 다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이 집, 저 집을 함께 돌아다니며 아빠와 함께 살지 못하게 될 수 있다는 것도 벌써 알았다. 

아빠는 여러 입양 후보 가정을 보고도 마이클이 갈만한 곳을 선택하지 못했지만, 마이클은 이미 결정했다. 자신에게 먼저 말을 걸어주고, 트럭 장난감에 실을 사탕 꾸러미를 가져다준 아줌마가 가장 마음에 들었다. 그래서 그 아줌마에게 최종적으로 과연 나를 받아줄 가정인지 결정할 질문을 한다. 

 "아줌마는 언제 죽나요?"


4살 마이클의 시선이 머무는 곳에 배움이 일어난다.


<스크린으로 존과 마이클을 만난 나>


아이를 낳고 기를 때, 특별한 조건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입양의 경우 법률로 조건을 따로 명시해두고 있다. 한국은 입양 특례법에 양친이 될 자격으로 양자를 부양하기에 충분한 재산이 있을 것,  양자에 대하여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그에 상응하는 양육과 교육을 할 수 있을 것, 양친이 될 사람이 아동학대ㆍ가정폭력ㆍ성폭력ㆍ마약 등의 범죄나 알코올 등 약물중독의 경력이 없을 것 등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독신자 친양자 입양도 가능해지도록 민법과 가사소송법 개정안이 입법 예고되었다. 그동안 한부모는 아이를 양육하는데 부적합한 가정으로 여겨졌던 것이다.

친생자나 친양자 모두 아이들은 자신들이 양육될 가정을 선택할 권한이 없었다. 그러나 마이클은 아빠와 함께 다른 아이들이 하지 못했던 결정에 참여하게 되었다. 힘든 일이 있을 때에는 창문 청소부였던 아빠에게 받았던 사랑의 기억을 떠올리면, 가까이에 있던 존이 와 마이클의 두 눈을 깨끗하게 닦아줄 것이다. 

마이클의 행복을 빈다.


또 다른 마이클들의 행복도 빌어본다.


* 해당 리뷰는 씨네 랩(CINE LAB) 크리에이터 시사회 참석 후 작성하였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