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현덕 Apr 06. 2023

할머니, 할머니도 그랬어?

외할머니는 1800년대 사람이다. 1890년대 후반 어디쯤에 태어났을 거다. 평생 글을 모르고 살았는데 다른 아이들처럼 학교가 가고 싶었다거나 하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 다섯 살 때부터 동생을 업고 밥을 지었다거나 부엌으로 들어온 게를 잡아 콩콩 찧어 겟국을 만들었다거나 하는 얘기를 들었다. 집 앞에 낯선 남자들이 나타나면 동생들을 데리고 방에 숨어 이불을 뒤집어쓰고 있었다는 얘기도 들었던 걸 보면 당시 황해도 황주는 주민 수가 그리 많지 않은 동네였던 것 같다.

    

장사 수완이 좋았던 사리원 청년을 만나 결혼 한 할머니는 한참을 지주로 살다가 해방 후 지주 숙청 때 가족들과 함께 남쪽으로 밤도망을 했다. 지주로 산 동안의 할머니 인생에 어떤 오류가 있었는지 혹은 어떤 영광이 있었는지 난 알지 못한다. 이모들과 외삼촌 그 시절을 향수에 젖어 아름답게 이야기하지만 대학에 들어가 <해방 전후사의 인식>을 읽은 후의 난 더 이상 그 말을 믿지 않았다.


가족은 집도 절도 없는 떠돌이 피난민이 됐다. 가난에서 부자로 가는 길엔 성실함과 노력이 들어설 시간이 필요하지만 그 반대일 땐 시간이 들지 않는다. 하루아침에 가난해진 할머니의 기분이 어땠는지를 물어본 적이 있다. 그때마다 할머니는 "기분이 따로 있나. 그냥 살았지 뭐..."라고만 답했다. 더 멋진 표현을 알지 못해서기도 했겠지만 그 말이 사실이기도 해서 그렇게 답했을 거다. 오갈 데 없는 피난민에게 삶의 빛이 되어준 건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고 있는 아이들이었을 것이다. 당시의 할머니 나이를 넘기고 보니 그런 짐작이 든다. 


할머니는 부지런했다. 빈털터리로 인생을 새롭게 시작할 때, 세상을 보는 냉철한 눈과 육체의 부지런함은 요긴한 덕목이다. 지주의 손녀로 자랐었다면 어쩌면 배우지 못했을지도 모를 이 덕목을, 지난한 세월을 견뎌낸 할머니는 나에게로 대물림해 줬다. 공고하고도 집요하게 부지런함을 배울 수 있었던 건 순전히 내가 딸로 태어난 덕분(탓)이다. 아들에겐 물 한 잔도 제 손으로 떠다 먹지 않게 키워내던 시절이었다.


할머니 나이 칠십에 내가 태어났다. 직장을 나가야 했던 내 엄마를 대신해 칠순의 노인이 아기를 키웠다. 낮잠을 자면 소가 되는 줄로 믿었던 어린 시절, 할머니는 나의 거의 모든 세계였다. 손바닥만 한 마당에 꽃밭을 만들어 꽃과 푸성귀를 키우는 일이나, 쓰고 남은 헝겊 조각을 이어 붙여 장식용 상보를 만드는 감각 같은 것들을 할머니는 가르치고 나는 배웠다. 식구들이 떠난 자리, 담장 안의 적막함을 노인과 소녀는 그렇게 서로 의지하며 채워갔다.


어느 아침나절, 할머니가 갑자기 새 한복을 꺼내 입고 양산을 펼쳐 들었다. 돌연한 상황에 가족들은 긴장하지만 양산을 받쳐 든 할머니는 고집스러운 뒤태를 남기고 대문을 나선다. 가는 길의 향방도 알리지 않고, 돌아올 기약도 없이 휑~허니 떠나는 할머니를 아무도 말릴 수 없었다. 조그만 체구에 말이 없던 노인의 위력이 드러나는 순간이다. 저녁 무렵 네 명의 이모들 중 한 명에게서 전화가 오면 그때서야 식구들은 안심을 했다. 그때부터 나는 울기 시작했는데, 혼자 남겨진 설움 같은 것이 복받쳐서였다. 반드시 돌아올 거라는 걸 알지만 혼자 담장 밖 별나라로 떠나버린 할머니를 두고두고 원망하며 잠들던 시간이었다.


할머니가 여행했던 별나라는 어디였을까. 무엇이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게 한 걸까. 

몇 번의 두려움과 몇 번의 낭패 끝에 버스에 올라탄 할머니가 느꼈을 희열이라면 답이 될까. 긴 시간 차창 밖으로 스치는 풍경들의 생경함이 신선했을까? 내릴 곳을 놓치지 않으려는 긴장감에 두근거리는 심장이, 살아있음을 느끼게 했던 걸까? 마침내 목적지에 내린 할머니의 여행은 이미 거기서 끝나있었을지도 모르겠다. 할머니는 이틀을 넘기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왜 그랬느냐고 아무도 묻지 않았다.


할머니 외출의 하이라이트가 버스여행이었을 거라고 짐작하는 이유는, 고국 가는 비행기를 탔을 때 느끼는 내 감정이 그랬기 때문이다. 이름을 잊고 젊음도 잊고 꿈도 잊어야 살아졌던 시간. 타향의 새로운 문화 속에서 쩔쩔매며 세 아이를 키우던 어느 날, 갑자기 표를 끊고 홀로 한국행 비행기에 오르고 나면 내 숨소리가 내 귀에 들려왔다. 그동안도 쉬지 않았을 들숨과 날숨이 홀연히 나를 불렀다. 그때서야 나는, 살아있구나라고 조용히 되뇐다. 


할머니를 다시 만날 날이 언제가 될까. 정말로 내게 홀로 외딴곳을 서성이게 만드는 것까지 대물림해 준 건지 물어봐야겠는데 만날 수 있을는지 알 수가 없다. 그래서 나의 외할머니 대신 이 세상 모든 할머니들에게 물을 작정이다. 가슴에 돌 같은 게 쌓여 있진 않느냐고. 몸 어딘가 구멍이 숭숭 나서 그리로 바람이 지나가지는 않더냐고. 잘라내고 감추고 모른 척한 내 감정들이 불쌍해서 혼자 운 적은 없었느냐고. 어쩌면 그 질문을 듣는 것만으로도 바람이 멈추고 돌탑이 높아가는 걸 멈출지도 모르니까. 

질문은 이렇게 시작한다.

"할머니, 할머니도 그랬어?"



작가의 이전글 언니들에게도 놀이터는 필요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