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자 상남자 Mar 09. 2022

학교 가는 길

작은 도서관에서 잠시 커튼을 내렸다 올렸다.

교사로서 14번째 맞이하는 새 학기 시작이라 익숙해질 만도 한데 여전히 나에겐 너무 바쁜 3월이다.

경력이 많을수록 생각도 쌓여가고, 생각 따라 몸이 움직이니 시간은 쪼개진다. 신규교사로서 참여했던 연수에서 


"아침에 아이들을 만날 때면 100미터 달리기에서 '출발'신호가 울리는 것 같아요. 정신없이 달리다 보면 하루가 끝나 있더라고요"


라고 했던 나의 대답은 15년이 지난 후에도 여전하다.


 학교에 오며 가며 짬이 날 때 자꾸 나도 모르게 유튜브만 클릭하려는 나를 다잡고자 책을 봐야겠다고 다짐했다. 


"근데 책을 언제 봐??" 

 현실적인 문제다. 


작년까지 나름 책 좀 본다는 책부심을 장착하고 학생들과 학부모님, 주변 친구들에게 맥락에 맞는 책도 소개하고, 나름 독서 홍보 대사로 활약(?)하곤 했는데 그때마다 1번으로 오는 반응은,


'책이 좋다는 건 아는데 시간이 없어요...'


맞아, 그렇다. 짬이 나면 읽는 게 아니라 짬을 내서 읽어야 하는데 그 짬은 도대체 어디서 내야 하는 걸까?


나도 나에게 질문을 해봤다. 안테나를 세우고 출근을 하던 중 발견했다. 작은 도서관을..



바로 버스 정류장!


내 출근길은 일단 지하철을 타고 목동역까지 간 다음, 거기서 버스를 타야 하는 코스다. 그런데 버스 타이밍이 안 맞으면 최대 15분을 정류장에서 기다려야 한다. 그래서 지하철역에서 올라와서 버스정류장까지 걸아가는 500m 정도의 경로를 나는 마치 미어캣처럼 6638번이 오는지 안 오는지를 경계해야 했다. 


 그런데 이제 생각을 좀 바꿨다. 

지하철을 타면서 읽었던 책을 6638번이 올 때까지 좀 더 읽을 수 있으니 오는 대로 타지 뭐 하고.


 대통령 선거일을 하루 앞둔 3월 8일 아침. 전차책으로 박웅현 작가의 '책은 다시 도끼다'를 읽었다. 예전에 읽었던 책인데 요즘 다시 읽고 있다. 이 날 아침 밀란 쿤데라의 '커튼'에 대한 그의 생각을 접했다. 


현실은 커튼 밖에 있다.

짧은 순간 동안 이 문장은 삶의 산문 성을 가리는 커튼을 살짝 걷어 올린다.


이 문장을 읽는데 예전에 참 좋아했던 싸이와 이재훈이 함께 부른 '아름다운 이별 2'란 노래 가사가 떠올랐다. 

힘없이 돌아서던 너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나만큼 너도 슬프다는 걸 알아  하지만 견뎌야 해 추억이 아름답도록  밤하늘에 달도 별도 나에게는 별로  빛을 주질 않아 잘 보이지도 않아  얼마나 있다가 그대와 나 볼라나  이따가 다시 만날 수 있으려나 보다  말도 안 돼 내가 미쳤나 보다  이 와중에 배가 고프니 미쳤나 보다  이별하고 나도 그래도 배고프다고  밥 먹는 걸 보니 나도 사람인가 보다  
-아름다운 이별 2 노래 가사 중-

  이별을 해서 마음이 찢어질 듯 아픈데 이 와중에 배가 고프다는 것을 깨닫고 내가 미쳤나 봐 하며 자책하는 이 노랫말을 개인적으로 정말 좋아했다. 현실적이니깐. 그런데 이 노랫말이 밀란 쿤데라의 '커튼'이었다. 커튼을 살짝 걷어올린 이별의 순간.


소설의 세계는 일상의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모습을 다 걷어낸 커튼 앞의 근사한 세계라는 말을 듣고 혼자 이런저런 상상을 하며 킬킬거렸다. 6638을 안 타고 5012를 타면 어떻게 될까? 영등포역으로 가서 지금 막 떠나려는 KTX를 타고 미지의 장소로 떠나게 되면? 가는 길에 마침 아는 사람을 만나게 되면? 


응?


6638 버스 왔네.


출근할 시간이야. 

들어가자, 현실로. 

작가의 이전글 교무기획부 배를 타고 교직 여행을 떠나게 되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