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윤미 Jun 10. 2024

문해력 특강 1편

듣기란

인간은 태어나자마자 듣기 시작해 죽기 직전까지 듣는다. 청력은 평생에 걸친 능력임이 확실해 보인다.

중요한 건 이런 값진 능력을 우리가 잘 활용하고 있는가다.

당신은 타인의 말에 잘 귀 기울이는 편인가?

한 조사 기관에 따르면,


➡남편 말이 웃다가 사레 들릴 만큼 재미있을 확률? 0.8%

➡시어머니가 들려주는 얘기가 감동적일 확률? 0.02%


라는 결과가 나왔다. (조사 기관 = 나)


그렇다. 제아무리 현모양처, 부처라 할지라도 ✔재미도 감동도 없는 얘기는 도무지 집중이 안 된다. 반면 재미와 감동이 없음에도 집중하는 때가 있다.

바로 ‘듣기 평가’


듣기 평가하면서 깔깔대거나 눈물을 훔치는 사람을 본 적 있는가? 아무도 재미없어 하지만, 모두 집중하는 건 ‘목적’이 분명해서다. 점수가 잘 나올지도 모른다는 ✔목적.


목적이 분명하지 않음에도 집중하는 얘기 또한 있다. 학교에서 돌아온 아이의 재잘거림이 그 예다. 때때로 신빙성이 떨어지고 장황한데도 불구하고 아이의 말은 눈앞에 장면이 펼쳐지듯 조목조목 입력되지 않던가. 한 편의 영화가 후딱 만들어지는 기분이다. 짝꿍이 예쁘다고 하면 로맨스가, 시험을 봤다고 하면 스릴러가, 뒤에 있던 친구가 발로 찼다고 하면 호로 무비가 상영된다. (이 호로 좌식 생활이….) 이때 왜 우리는 집중하는가? 말하는 대상을 ✔사랑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듣기는 다음 세 가지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재미와 감동이 있거나, 목적이 분명하거나, 사랑하거나.


이때 듣기의 열쇠는 누가 쥐고 있는가? 청자인가, 화자인가? 신랄하게도 듣기를 쉽게 만드는 주체는 청자가 아니라 화자다. 화자가 위의 조건 중 하나를 충족시켜야 하니까 말이다.

비로소 청자는 아무 잘못이 없다는 게 밝혀졌으니 이제 모두 화자 탓을 해볼까?

아니다. 우리는 피차 화자인 동시에 청자요, 청자인 동시에 백자다, 아니 화자다. 귀 기울임은 포용, 배려, 예의,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월드 피스를 실천하는 거다. 또한 당신이 어떻게 들을지, 말할지를 고민한다면, 그로써 문해력은 대폭 상승하는 거다. 그러니 사는 동안 우리 잘 듣자!! 다음 시간 ‘말하기란’으로 돌아오겠다.☢

작가의 이전글 모모가족 유럽 여행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