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솔 Jun 24. 2024

대한민국 교육에 스며드는 IB

대한민국 교육 평가제도는 급변하는 사회와 교육적 요구에 발맞춰 끊임없이 변화해 왔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다양한 평가 방식이 도입돼 왔고, 현재는 국제 바칼로레아 (International Baccalaureate, 이하 IB) 교육과정 도입이 활발하게 진행되는 중이다.


1. 공교육 평가제도의 변화 역사


1) 2000년대 초: 교육 개혁의 물결과 다양한 평가제 도입

2000년대 초 한국 사회는 정보화 사회의 도래, 글로벌 경쟁의 심화, 사회 구성원의 다양성 증가 등 많은 변화를 맞이했다. 이에 따라 교육 또한 변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었고, 다양한 평가제도가 도입되었다.


<주요 변화>

2001년

수능 개편: 객관식 중심에서 논술, 실기 등 다양한 평가 방식 도입

내신제 도입: 학업성취도 평가를 대체하여 평가 비중 확대

2005년

교원능력개발평가제(CSPE) 도입: 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평가 시스템 구축

2009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개편: 논술형 문제 비중 확대, 수학 영역 세분화


주목할 만한 점은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사교육비가 약 3배 가까이 증가했다는 사실이다(교육부, 2011). 이는 평가제도 변화가 사교육 의존도를 높이는 결과를 불러왔음을 시사한다.


2) 2010년대: 평가제도 개선과 과제

2010년대에는 2000년대 도입된 평가제도를 개선하고, 다양한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꾸준히 모색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변화가 학생들의 창의성, 문제 해결 능력, 협업 능력 향상 등에 기여했다고 한다. 하지만 긍정적 효과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 또한 남겨졌다. 평가 방식의 혼란, 평가 결과의 활용 문제, 학업 스트레스 심화, 평가의 타당성 및 신뢰성 문제 등은 지금까지도 꾸준히 이야기되고 있다.


<주요 변화>

2012년

고등학교 학업성취도 평가(학업성취도) 도입: 내신과 함께 고사 성적 반영

2015년

수능 개편: 영어 말하기 평가 도입, 논술형 문제 비중 확대

2017년

교육부, "혁신형 평가" 도입 추진: 기존 평가 방식의 한계 인지하고 새로운 방안 모색


3) 2020년대: IB 교육과정 도입 논의 활발화

2020년 교육부는 학생들의 다양한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 방식 도입을 강조하고 이것을 핵심 과제로 발표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IB 교육과정이 주목받게 된다.


<주요 변화>

2020년

교육부,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편 방안" 마련: 혁신적인 평가 방식 도입 강조

2023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교육부, "고등학교 다양한 평가 방식 도입" 방안 마련: IB 교육과정 도입 검토




2. 국내 IB 도입 배경

1) 한국의 IB 전도사, 이혜정 소장

2014년, '교육과 혁신연구소' 이혜정 소장의 책 <서울대에서는 누가 A+를 받는가?>는 한국 교육을 비판하며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교육 전문가들은 책의 내용에 공감하며 문제점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고 특히, 평가 방식 개선, 학생 중심 교육 강조, 창의성 및 문제 해결 능력 함양 등의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2023년 동아일보 기사 “누구나 창의력-비판적 사고 필요…교사열정 더해지면 IB교육 꽃필것”

이후 이혜정 소장은 국제적인 평가 기준과 다양한 학습 방식을 채택하는 IB 교육과정 도입을 주장하며 논의를 주도했다. 이는 2017년 교육부의 IB 도입을 위한 연구, 2019년 대구와 제주의 시범학교 운영 확대로 이어졌다.


참고로 국내 사립학교의 IB 도입은 1980년대 시작되어 2020년대 들어서는 약 30개의 사립학교에서 실시 중이다. 국제적으로 오랜 시간 인정받은 교육제도로 평가받고 있으나, 높은 비용과 까다로운 교육 과정으로 인해 '엘리트 귀족 교육'이라 불리기도 했다.


2) IB, 전국 학교에 스며드는 중

2024년 4월 말 MBC 3부작 다큐멘터리 '교실이데아'는 한국 교육의 현주소를 비판적으로 조명하며 IB를 대안으로 제시해 화제를 모았다. 일각에서는 이를 'IB 홍보'로 해석하기도 한다. 이후 국내 교육계의 IB에 대한 관심은 더욱 뜨거워졌다. 기존 대구와 제주 지역 고등학교에 한정되었던 IB 도입이 이제 전국의 초·중·고등학교로 확대되는 양상이다. 사실 IB 도입 논의는 10여 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최근의 움직임은 그간 축적된 논의가 실행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시사할 뿐이다.




대한민국 교육 평가제도는 지난 20년 동안 끊임없이 변화해 왔고 오늘날에는 IB 도입이라는 또 다른 변곡점에 직면해 있다. 그리고 앞서 얘기한 것과 같이 이러한 변화는 오래 전부터 진행되어 왔다. 이제 우리는 변화의 의미를 깊이 고민하고 각자의 위치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할 때이다. 모두가 이 변화의 기회를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

작가의 이전글 ChatGPT에게 받은 위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