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샤넬로 Nov 13. 2024

탐색 엔진의 시대,
기획자는 물음을 던져야 한다




대한민국 IT생태계에서 다양한 도메인과 섹션에서 [ 프로덕트 매니저 ]들은 오늘도 각자의 서비스를 경쟁 시장에서 생존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하루를 보내고 있다.

프로덕트를 기반으로 고객들에게 다양한 [ 가치 ]를 전달하는 포지션에서 고객들의 만족감으로부터 큰 보람을 느끼는 포지션 또한, 프로덕트 매니저라고 본다. 


많은 프로덕트 중에 [ 검색 엔진 ]은 앞으로 큰 변화를 맞이할 것이라고 본다. 

검색을 넘어 이제는 [ 탐색 ]이라는 엔진으로 전환점을 마련해야 새로운 경쟁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생태계의 판이 서서히 열리기 시작하고 있기 때문이다. 

( 역설적이게도 이 모든 서막을 빠르게 만들어 준 Chat-Gpt에게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 )



“N배송부터 탐색 기술까지”... AI 접목한 ‘네이버’가 달라진다




# 프로덕트 기획 포인트 : 이제 어떻게 마케팅 수신 및 개인정보를 나이스하게 수집하게 할 것인지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 


탐색 엔진이 완전하게 안착되고 멋진 퍼포먼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 개인 정보 수집 ]에 대해 어떻게 유연하고 나이스하게 풀어나갈 것인지 고민부터 해야 한다고 본다. 

지금의 마케팅 수신 및 개인정보의 UX/UI는 유저 친화적이라고 전혀 볼 수 없다. 

용어와 더불어 폰트의 크기 및 구조는 일반인도 읽기 싫을 정도이기 때문이다. 

어느 프로덕트 매니저가 이 부분에 디테일을 신경 쓰고 있는가? 아마 대다수는 그저 제공되는 오픈 API를 가져다 붙이거나 다른 서비스가 차용하는 구조를 그대로 답습하고 사용할 뿐이다. 


[ 주니어 기획자로 의문점을 가져야 할 포인트 ] 


- 마케팅 수신과 개인정보 수신이 이토록 읽기 어렵고 이해하기 어려워야 하는가? 

-> 디지털 약자도 이해할 수 있게 짧은 영상과 튜토리얼 토대로 기획을 할 순 없는가?


- 도대체 [ 어떤 데이터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에 대해 명확한 설명은 어려운가? 

-> 이미지를 차용해서 [ 사용자의 이해 ]를 도울 수는 없는가? 


- 단순히 수신 동의만 해서 끝나는 프로세스가 정말 맞는가? 

-> 언제든 오픈 문의 데스크를 통해 지난달 그리고 이번주에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문의하는 채널이나 뎁스를 생각해 볼 수는 없는가?




# 프로덕트 기획 포인트 : 지금의 검색 엔진으로 검색어를 입력해야 찾는 방식을 고수해야 할까? 


많은 큐레이션 서비스들이 AI 엔진을 달고 소위, [취향 탐색]을 기반으로 최적의 선택을 제안한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가만히, 살펴보면 네이버 검색 엔진에 검색어를 검색하거나 더 추가해서는 해시태그값을 함께 클릭해서 찾아주는 방식이 고착되어 있다. 

이게 정말 혁신적인 방법의 최선일까? 정말 그럴까? 

단순히 [ 탐색 엔진의 시대 ]에 그 인터페이스 방식은 검색 엔진의 연장선을 이어가야만 할까? 

나는 기획적으로 이 부분에 대해서도 비판적 의문이 항상 남아 있다. 

포털시대에는 포털사이트가 주인이 되는 시대였지만 탐색 중심은 [ 나 ]라는 존재가 중점이 되어야 한다. 

'나'라는 기준점으로 데이터가 파생되고 정렬되고 제안되는 그런 이상적인 구조... 


[ 주니어 기획자로 의문점을 가져야 할 포인트 ] 


- 꼭 검색 엔진에 키워드나 단어를 입력해야만 결괏값을 얻을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한 것일까? 

-> 검색 엔진에 누적된 결괏값을 연동하여 탐색 엔진의 시대에는 검색이 아닌 새로운 방식의 제안의 UI 구조는 불가능한 것일까? 에 대한 고찰의 필요


- 그렇다면 우린 '탐색'에 대해서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 '탐색'이 꼭 우리가 [ 소비 ]라는 포인트로 귀결되어야 하는 커머스적인 사고를 가져야 할까? 우린 어떻게 새로운 시대의 [ 탐색 엔진 ]을 정의해야 하는 것일까? 에 대한 고찰의 필요 


- 새롭게 개편되는 탐색 엔진에서 소외되었던 사용자는 없는가? 

-> 지난 과거가 기술 주도적인 성장이었다면 탐색 엔진의 시대에는 인간 중심적인 발전으로 나갈 수 없을까? 에 대한 고찰의 필요 



# 프로덕트 기획 포인트 : 앞으로 어떤 데이터가 탐색의 대상이 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인가? 


2010년 구글의 유튜브는 [ 동영상 콘텐츠 ]를 통해 새로운 돈의 가치를 만들어내었고 많은 소비자들을 유튜브라는 플랫폼판으로 넘어오도록 독려하였다. 2019~2022년의 대한민국은 말 그대로 [ 유튜버 전성시대 ]였다. 

그리고 2024년 어느 정도 승자독식이 유튜브판에서도 보이기 시작하였다. 

세상에 영원한 플랫폼과 서비스는 없다. 아직 유튜브는 건재하지만 그 건재함이 영원하다고 볼 수는 없다. 

유튜브가 많은 사람들에게 또 다른 희망이 되었던 것은 바로 [ 광고 수익 ]이라는 재화로 치환될 수 있는 가치가 있었기 때문이다. 만약 그 가치가 당장 사라진다면, 정말 유튜브 플랫폼을 오래 할 사람들은 [찐팬]이 아니고서는 없을 것이라고 본다. 

검색 엔진의 시대에서는 포털 사이트 중심의 [ 광고 입찰가 ]가 기준을 설정하고 하나의 사이트의 생명을 좌지우지하였다면, 앞으로 올 탐색 엔진의 시대는 어떤 것에 재화적 가치가 붙을까?

여전히 커머스적인 부분일까? 아니면 아직 발견되지 않거나 연결되지 못한 숨은 가치들일까? 

기획자라면 이 부분도 우린 치열하게 고민하고 확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주니어 기획자로 의문점을 가져야 할 포인트 ] 


- 앞으로 시장을 선점해 나갈 탐색 엔진의 시대에 수익 구조는 구시대적인 검색 엔진의 수익 구조와 같아야만 하는 것일까? 

-> 나의 탐색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큐레이팅 그리고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그 무엇인가들에게 재화적 가치가 부여되는 시대가 되지는 않을까?라는 확장적 사고 필요


- 그렇다면, 글로벌 기업들은 어떤 부분에 새로운 재화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을까? 

-> 국내 시장뿐 아니라 해외 시장의 분위기에 대한 수집과 인사이트 정리가 필요하다는 경각심 필요 


- 정말 탐색 엔진의 시대는 도래하는 것일까? 거품은 아닐까?

-> 빠르게 다가오는 변화에 대해 의연하게 대처하고 새로운 먹거리를 빠르게 준비하고 대비하는 유비무환의 자세 필요




기술은 한 치 앞을 예측할 수 없게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미 기술 테크 포럼이나 콘퍼런스에서 발표하는 기술들은 내부적으로는 완성되었거나 시중 판매를 대기 중인 것들일 수 있다. 

그렇듯, 탐색 엔진에 대한 키워드가 슬며시 시장에 내던져진 것은 앞으로 올 시대를 예고하는 것이 아닌 이제 펼쳐질 세상을 말하는 것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그리고 프로덕트 매니저, 기획자는 늘 의문과 질문을 가지고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프로덕트를 만드는 운명을 담대하게 가져가야 할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