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장용범 Jun 04. 2024

앞으론 적자, 뒤로는 흑자

“독립서점을 운영하면서 책을 팔아 수익은 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저희 협동조합은 꾸준히 이익을 내고 있습니다.”

살면서 한 번씩 “아하!”라고 느끼는 순간이 있다. 창업교육에서 한 강사의 말에서 그런 느낌을 받았다. 그는 충남 공주에서 협동조합을 만들어 독립서점을 운영하는 대표였다. 그 서점은 협동조합 명의로 매입한 옛 한옥을 공주시의 창업 지원을 받아 서점과 문화공간 형태로 개조했나 보다. 서점은 운영되고 있지만 투자금에 대한 배당 줄 형편은 아니라고 하니 조합원들의 불만도 있을 것 같은데 오히려 하나 더 열자는 이야기가 나오나 보다. 

대체 무슨 일이 생긴 것일까?

하지만 너무도 간단한 원리라서 허탈하기까지 하다. 기업이 회계상으로 이익을 남기는 원리는 세 가지이다. 첫째, 영업이익이다. 이것은 판매 수익이 영업비용보다 클 때 생긴다. 위의 경우 책을 팔아 얻은 수익이 서점을 운영하는 비용보다 클 때 가능하다. 하지만 생각해 보자. 요즘 같은 세상에 과연 책이 그리 잘 팔릴까? 밥 굶지 않으면 다행이다. 그런 면에서 독립서점을 운영한다는 것은 그리 좋은 사업 아이템은 아닌 것이다. 

둘째, 현금흐름을 조정하는 방식이다. 즉, 받을 돈은 최대한 빨리 받고 줘야 할 돈은 최대한 늦춰서 주는 방식이다. 쿠팡 같은 플랫폼 기업이 운영하는 방식이다. 구매자에게는 즉시 돈을 받지만 판매자에게는 구매확정이 이뤄진 다음에 준다거나 일정 기일이 지난 후에 주는 방식이다. 쿠팡은 그 기간 동안 돈을 달리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한 건의 거래라면 큰돈이 아니겠지만 거래건수가 늘어나면 늘어나는 만큼 자금 운용 여력은 커진다.

셋째, 자산의 가치를 높여 이익을 얻는다. 

공주시의 한 독립서점이 수익을 내는 원리이기도 하다. 지인들이 협동조합을 만들어 공주시의 한옥마을 내에 허름한 한옥을 한 채 구입한다. 그리고 지역 내 한옥으로 된 독립서점을 운영한다는 사업 계획을 제출하여 지원금을 받는다. 그 지원금은 한옥 내부를 서점 운영에 적합한 형태로 개조하는데 다 쓴다. 이제 누가 봐도 깔끔한 서점이 하나 탄생했고 지역 내 문화활동도 겸한다. 정책 자금이 잘 쓰인 것이다. 그런데 책을 판 수익은 얼마 되지 않지만 조합원들은 만족한다. 자신이 출자해 매입한 한옥의 자산 가치가 세 배로 뛰었기 때문이다. 회계학에서 이야기하는 ‘자산-부채=자본’인데 자신의 출자지분 가치가 올랐으니 불만이 있을 수 없다.          

나는 기업이 이익을 내는 회계원리를 익히 알고 있는 사람이다. 그럼에도 사업을 영업이익의 관점에서만 머물렀던 것은 내가 배웠던 지식이 책으로만 아는 죽은 지식이었기 때문이다. 이렇듯 지식은 현실과 맞닿을 때 펄펄 살아있는 생명력을 지니게 되는 것 같다. 사업을 하는 사람이 판매만 생각한다면 그는 사업이익의 30%정도만 추구하는 것이다.     

약간 다른 이야기지만 예전에 ‘객주’라는 드라마에서 주인공이 했던 “장사는 이익이 아니라 사람을 남기는 것”이라는 말이있다. 하지만 이것도 크게 보면 이익을 남기는 것인데 좋은 인연은 그 자체로 큰 자산이기 때문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