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눈 비 그리고 바람 Mar 24. 2024

술잔을 기울이듯, 글쓰기의 순간들

 매번 다짐했다.

일주일에 브런치에다 최소 글 2편씩 쓰기로 말이다. 누군가에게 글 2개 쓰기란 별일 아닐지 몰라도 나에게는 별일이 맞다. 한편도 겨우 쓴다는 말에 부정할 수 없었으니까.


나는 매일 쓴다. 매일 쓰는데 왜 2편을 못쓰냐고 할 수 있다. 맞는 말이다. 내가 쓰는 글 대부분, 그러니까 90% 가까이는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로 채워진다. 


오늘 누가 어떤 말을 했는데 기분이 어떻더라, 퇴근길 어떤 장면을 받는데 기억에 남았다 같은 이야기들. 누군가에게 말하기 싱겁지만 글로 쓰기에 충분한 이야기가 나에게는 더 많다.


하루를 살아내면 사소한 이야깃거리가 꼭 1~2개씩 떠올랐다. 내가 그렇게 써보니까 몸이 알아서 미리 준비해 주는 것 같다. 나는 그런 거저주는 이야기를 마다하지 않는다. 생각의 물꼬가 마르기 전, 떠올렸던 모든 감각을 끄집어낸다. 그리고 글과 포개 담으며 하얀 백지위에 주워 담는다. 소중한 추억에다가, 기억에다가. 


그렇게 내 글은 하나 둘 쌓여갔다. 눈 내리는 날, 나뭇가지 위에 소록소록 눈이 쌓이듯 내 글들도 조용히 쌓여 갔다. 기분이 좋았다. 글 제목을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그날의 감정이 한꺼번에 넘어왔다.


이런 하루를 살다 보니,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글 쓰기는 소홀해지는 것 같다. 어떤 이야기는 지극히 개인적이라 공감이 안될 것 같고, 또 어떤 이야기는 너무 평범해 글거리가 되지 못할 것 같았다.


사실 나는 이런 고민하는 상황 자체가 싫다. 글은 좋은데 글 어떻게 쓰고 무엇을 쓸지 고민하는 게 싫다니. 꼭 어린아이 반찬 투정 같다. 모순 같고 장난 같지만 진심이다.


나는 글쓰기보다는 글 쓰는 시간 자체가 좋은 것 같다. 내 생각이 활자로 변환되며 읽음이라는 활동이 따라오는 순간 말이다. 생각과 활자 사이에 그 간극을 알고 좁히려는 의지, 그 안에서 퇴적 풍화작용을 거친 말들이 고로수액처럼 떨어지는 상황을 즐긴다는 거다. 


주변에 술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 그가 늘 하는 말이 있다. “난 술을 좋아하지 않는다. 술을 먹는 자리 그 자체가 좋은 것이다”라고. 나는 이 말을 믿지 않았다. 알코올을 붓기 위한 핑곗거리일 것이라 생각했다.


이제는 이 말이 주는 의미가 조금은 이해가 간다. 술이 한 잔, 두 잔 들어가고 내밀한 대화가 오간다. 수많은 고백과 증언이 이어진다. 그 사람의 본질에 대해 더 가까워지고 있다는 기분이 든다. 순간에 머물기, 상황에 감각하기, 그리고 그런 상황에 내가 있다는 사실 자체가 좋은 것이다.


글도 마찬가지다. 단어를 내리며 생각을 주고받다 보면 글에 취하는 상황이 온다. 나와 이어진 또 다른 생각의 흐름을 잡을 수 있다. 그동안 몰랐던 이야기가 취기를 빌려 본심을 말하고 듣게 되는 이치 같다. 


디딤돌 하나를 딛고 나면 다음 디딤돌이 보이고, 다음 디딤돌을 딛고 나면 그다음 디딤돌이 보이기 시작한다. 상황에 발을 디뎌봐야 뛰어넘을 수 있을지 없을지가 눈에 들어오는 것이다. 


쓰기는 이런 점에서 좋다. 언제든 자리를 만들어 글과 나와 이어진 연결점에서 곡진하고도 섬세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게 해 주니까. 승자보다 패자가 말이 더 많은 법이다. 서로 치이고 부대끼며 삶에서 약자로 억울하게 살아왔으니 할 말이 얼마나 많겠는가.


꼭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글이 아니라도 괜찮지 않을까? 그러고 보니 지극히 개인적이고 사적인 글이 더 많은 공감을 일으키기도 했다. 어쩌면 가장 보편적인 공감은 가장 사적인 경험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일지도.


뭐든 답은 없다. 단지 쓰기가 촉구하는 의식의 흐름이 놓이는 상황이 좋을 뿐이다.

작가의 이전글 삶에 진저리 치는 이들에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