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법모자 김시인 Aug 12. 2024

내가 만난 책 이야기 44

파우스트

멈추어라, 너 참 아름답구나!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전영애 옮김/ 도서출판 길     

  

 파우스트의 많은 번역본 중에서 이 책을 선택한 이유는 “운문처럼, 첫 번역처럼”이라는 단 한 문장이었다. 단테의 『신곡』을 읽었을 때 이 작품이 시라는 느낌을 받지 못했다. 물론 시는 번역불가능의 장르다. 『신곡』을 읽을 즈음, 원문의 『신곡』을 유튜브에서 들은 적이 있다. 그 내용을 전혀 이해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아름답게 느껴졌던 이유는, 리듬과 운율 때문이었다. 번역된 시에서는 그것을 느낄 수 없다는 것이 내내 아쉬움으로 남아있었던 터였다. 그래서 평생 괴테 연구에 몰두한, 스스로를 괴테 할머니라 부르는 전영애 교수가 “시(詩)답게” 되살린 문장이라는 글을 보고 망설임 없이 이 책을 주문했다.

  

괴테가 60년을 두고 써낸, 12,111행의 운문이라는 두 가지의 사실만으로도 내겐 특별한 의미로 다가온 책이다. 거기다 그리스 로마 신화로부터 중세를 거쳐 근대에 이르기까지 3000여 년의 유럽 남북방을 다 아우르는 작품이다. 『파우스트』에서는 인간의 욕망이, 인간의 생애가. 인간이 그려진다. 『파우스트』는 괴테의 순수 창작은 아니다. ‘파우스트’는 괴테가 어린 시절에 인형극으로도 보고 또 커서는 영국의 말로가 작품화해서 영국 유랑극단이 독일을 돌아다니며 공연도 했던 작품이다. ‘파우스트’라는 욕심 많은 인간이 있었는데 악마와 계약하여 영혼을 팔아서 24년 동안 온갖 복락을 누렸지만 결국 지옥에 떨어졌다는 이야기로, 우리나라 흥부놀부이야기처럼 기독교권 세계의 권선징악 이야기의 하나다. 괴테는 24년의 한시적 계약을 더는 바랄 바가 없어서 순간을 향해 “멈추어라, 너 참 아름답구나!”라는 말이 절로 나올 때까지 악마가 봉사해야 하는 ‘내기’로 바꾼 것이다. (옮긴이 해제 참조)

 

“괴테가 60년을 두고 쓴 작품, 그 추동력을 한 줄로 요약하면 인간은 지향이 있는 한 방황한다.”는 구절이라고 전영애 교수는 말한다. 철학, 법학, 의학, 신학까지, 중세의 모든 학문을 섭렵한 파우스트지만 “알게 된 거라곤, 우리가 아무것도 알 수 없다는 것뿐!”이라는 탄식을 쏟아내며, 결국 악마에게 영혼을 팔게 된다. 학문의 최고 경지, 사회적인 성공, 사랑, 부와 명예 등 지상의 어떤 가치도 인간의 영혼을 자유롭게 하지도, 인간을 구하지도 못한다는 것을 이 책은 말해주고 있다. 결국 세상의 물리적인 가치가 인간의 영혼을 구원할 수 없기에, 물질적인 세계를 살아가는 인간은 방황할 수밖에 없는 존재인 것이다.

  

『파우스트』는 그런 인간의 방황을 긍정하고 있다. 인간의 방황은 삶을 자신에게로 되돌리기 위한 의지의 표명이다. 끊임없는 방황은 영혼의 자유와 구원에 이르고자 하는 인간의 속성인 것이다. 방황에 대한 긍정, 그것은 완벽하지 않은 인간에 대한 긍정인 동시에, 인간 속에 내재된 본성에 대한 긍정이다. 이는 ‘방황하는’ 모든 존재들에 건네는 위로다. 완벽하지 않음으로 인간은 인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평생 학문적인 성취가 목적이었던 파우스트는 자신의 삶을 떠나, 사랑을 경험하고 국가의 재정 위기를 해결해 능력을 인정받고 고대 그리스 시대로 가 헬레나를 만나는 등의 시대와 공간을 뛰어넘는 여정을 경험하지만, 그런 여정들에서 멈추어라, 너 참 아름답구나! 를 쉬이 외치지 않는다.


 파우스트

 나는 다만 세상을 달려왔다

 욕망 하나하나의 머리채를 틀어쥐었고

 내게 흡족하지 않은 건, 떨쳤으며

 내게서 벗어나는 건, 가게 두었다.

 나는 다만 갈망하고, 다만 이루어내었고

 또다시 소망하고, 그렇게 힘으로써

 나의 삶을 돌파해 왔다. 처음에는 거대하고 힘 있게,

 그러나 이젠 현명해졌다. 생각이 깊어졌다.

 지상의 일은 이제 충분히 아는데,

 저 높은 곳을 향한 전망은 막혀버렸다.     

 

 지혜의 마지막 결론은 이렇다

 자유도 생명도 누려 마땅한 자는

 날마다 그것들을 싸워서 얻어내야 하는 자뿐.

 하여, 위험에 에워싸여 있음에도,

 여기서는 아이도, 어른과 노인도 그 알찬 세월을 보낸다.

 그런 무리를 나는 보고 싶노라,

 자유로운 터에 자유로운 백성과 서고 싶노라.

 그 순간에게 내가 말해도 좋으리,

 멈추어라, 너 참 아름답구나!     

  

자유와 생명을 누리기 위해 날마다 그것들과 싸워 이겨내는 것, 위험에 에워싸여 있음에도 기꺼이 그 세월 속에 존재하는 것, 그것을 실천하는 무리들과 함께 서 있는 것, 파우스트가 멈추고 싶은 순간이다. 이것이 파우스트의, 괴테의 지향일 것이다. 괴테는 파우스트를 통해서만 자신의 사유를 펼치지 않는다. 수많은 등장인물들 모두가 괴테다. 삶이, 인간이 완벽하지 않음을 받아들이며, 우리가 경험하는 삶의 모든 순간이 ‘멈추어라, 너 참 아름답구나!’를 외칠 수 있는 소중한 순간임을 안다면, 우리는 이 지상에서 영혼의 자유와 구원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세속적 욕망에 사로잡힌 인간이 이런 통찰과 지혜를 얻기는 쉽지 않다. 방황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일 것이다.


성모를 부르는 이 두 행은 제1부 성벽 앞 장면에서 괴로움에 찬 그레트헨이 부르던 성모의 이름 “그대 고통 많으신 이”와 각운이 맞는다(3588행) 8,000행 이상을 건너뛰어 맞추어진 이 운은 12,077행과 연결되어 그레트헨의 비극과 구원을 잇는 작지만, 비중 있는 장치로 읽힌다. “파우스트를 만난 헬레나가 처음에는 그리스 운율로 이야기를 하다가 나중에는 게르만 운율로 이야기한다”     

  

 첫 문장은 각주 514의 글이다. 두 번째 문장 역시 독자가 간파하기 힘든 부분에 대한 각주다. 전영애 교수의 번역은 그만큼 촘촘하고 꼼꼼했다. 독일어의 각운을 느낄 수는 없지만, 그리스 운율과 게르만의 운율을 구별하지는 못하지만, 8,000행 이상을 건너뛰어 맞춘 각운을 통해, 괴테의 의도를 가늠해 보는 일은 이 책이 주는 또 다른 가슴 벅참이었다. 다양한 사건과 장소와 이야기를 펼쳐놓고 종국엔 그것을 전체로 통합시키는 힘, 괴테였기에 가능했다는 생각을 했다. 그것을 감지해 낼 수 있고 그 리듬과 함께 출렁일 수 있는 원문을 읽는 독자들에 대한 부러움도 느꼈다.  


 괴테가 스물두 살에서 여든두 살까지 쓴 작품, 책이 낱장이 되어 흩어질 때까지 읽었다는 전영애 교수. 그런 『파우스트』를 설익게 읽고, 읽었다고 말하는 것이 부끄럽다. 그렇지만 두 문장은 오롯이 남았다. ‘인간은 지향이 있는 한 방한다’와 ‘멈추어라, 너 참 아름답구나!’



#파우스트

#괴테

#전영애 교수


작가의 이전글 쉼터@놀이터 시조마당 37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