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현생 Mar 31. 2022

젊은 과학의 전선 1장


양태: 다른 것을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한정하는 문장.


한 진술의 지위는 나중의 진술들(긍정적 양태, 부정적 양태)에 의존한다 -> 진리치가 소급적으로 배당된다.(64p)


긍정적 양태(positive modalities): 진술을 더 사실적으로 만들기.

부정적 양태(negative modalities): 진술을 '덜' 사실적으로(의심스럽게) 만들기.


ex) (1) 미국의 미니트맨 격납고를 겨냥하는 소련의 신종 미사일은 오차 100미터 명중도를 갖는다.

(2) [소련의 미사일들이 오차 100미터 명중도를 지닌다]라는 것이 미니트맨이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것은 또한 왜 MX 무기 체계가 필요한가에 대한 주요 이유가 된다.

(3) 미국 국방부의 MX 미사일 주창자들이 [소련의 미사일들이 오차 100미터 명중도를 지닌다]라는 정보를 교묘하게 흘리고 있다.


(2): 긍정적 양태. (1) 문장은 MX의 개발을 필요하게 만들 만큼 충분히 확고한 것으로 상정됨. 정확한 소련 미사일의 존재로부터 MX 개발의 필요성에로, 우리를 하향 인도함.

(3): 부정적 양태. 문장 (1)의 타당성이 의심받고 있기 때문에 약화됨. 문장 (1)에 대한 믿음으로부터 소련 미일의 정확성에 대한 우리 지식의 불확실성에로, 우리를 상향 인도함.


=> [테크노사이언스(technoscience) 세계를 여행할 때 필요한] 첫 번째 원칙: 사실(facts)과 장치(machines)의 구축은 집단적(collective) 과정이다.


두 번째 원칙: 진술의 본래적인 성질이 아닌, 다른 사람들을 거칠 때의 변형(더 사실적으로 만들기 vs 덜 사실적으로 만들기)을 살피기


레토릭(rhetoric): 단순한 '수사'가 아닌, 다른 과학 논문, 선행 문헌을 더욱더 많이 인용하여 입장을 강화하는 책략. -> '더 강력한 레토릭': 논쟁이 가열될 때 말뿐 아니라, 참고 문헌, 도구, 대상 등 모든 이용 가능한 이질적 자원들과 맹자를 동원하는 기술


과학적: 더 많은 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 레토릭

논리적: 더 많은 블랙박스(아주 많은 사람이 동의하는, 확립된 사실)를 쌓아 독자가 주장에 대적하지 못하도록 유도하기


"독자가 텍스트 중 어디에 있든지 그는 논의하기 어려운 도구, 의심하기 더 어려운 숫자, 의심하기 어려운 참고 문헌, 그리고 높이 쌓아 올린 블랙박스들의 배열에 부딪히게 된다. 그러면 그는 마치 두 개의 인공 둑 사이를 흘러가는 강처럼 서론에서 결론까지 흘러간다.


매우 드문 일이긴 하지만 그런 결과가 얻어졌을 때 문헌은 논리적(logical)이라고 불린다. '과학적' 또는 '전문적'이라는 말과 같이 '논리적'이란 말은 다른 방법 또는 더욱 엄정한 기준을 따르는 정신을 가지기 때문에, 사람들이 쓴 비논리적 문헌과는 다른 문헌을 의미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렇지만 논리적 텍스트와 비논리적 텍스트 사이에 절대적인 단절은 없다." 123p


과학과 레토릭(일반적으로 멸시되어왔던 '수사법') 간 차이는, 레토릭이 몇 명의 외부 동맹자를 동원하는 반면 과학(의 레토릭)은 '매우 많은(수 만 명의!)' 외부 동맹자를 동원한다는 것.


과학 글쓰기를 '사실 - 쓰기'라고 할 때, 독자의 반응 3가지:


1. 포기하기

2. 따라가기(긍정적 양태)

3. 다시 행하기 -> 블랙박스 개봉하기, 실험실!


"어떤 문헌이 더욱 전문적으로 되고 특수화될수록, 그것이 더욱 '사회적'으로 된다는 주장은 처음에는 반직관적으로 들린다. 그러나 그렇게 말할 수 있는 이유는 독자를 내몰고, 저자의 주장을 사실로 받아들이게 강요하는 필요한 결합의 숫자(number of associations)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


전문 문헌과 나머지를 구별 짓는 것은 자연적인 경계선이 아니다. 불균형을 이루는 양의 연관 관계, 그리고 국지적으로 입수 가능한 자원과 동맹자들에 의해서 창조된 하나의 국경선이다. 이런 문헌은 읽고 분석하기 매우 어려운데, 그것이 모든 정상적인 사회적 고리에서 빠져나가기 때문이 아니고, 그것이 이른바 정상적인 사회적 끈들보다 더욱 사회적이기 때문이다." 130p

작가의 이전글 강동호 평론가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