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Heinrich Feb 23. 2023

직업을 바꾼다면 개발자?

직업을 바꾼다면 개발자를 희망하는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같은 기사에서 학창 시절로 돌아간다면 이공계를 가고 싶다는 응답이 제일 많았다고 하네요.


https://n.news.naver.com/mnews/ranking/article/138/0002142986?ntype=RANKING


참… 재밌다는 생각이 듭니다. 불과 12년 전 기사입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138/0001984913?sid=105


기사에 따르면, 서울대 컴퓨터 공학과는 2006년부터 5년간 정원도 채우지 못했다고 합니다. 정원 55명에 지원자가 45명이었다네요. 심지어 2000년 정원은 130명이었다는데 말입니다. 카이스트 전산학과 역시 2004년부터 7년간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고 합니다.


제 기억에도 그렇습니다. 이공계 위기라는 말이 일상이었죠. 장학금 줄 테니 이공계 가라는 정부 정책도 있었습니다. 여기저기 이공계 정원 미달이 많았습니다. 제 기억에 한 명문대의 문과 인기 학과는 전부 1등급을 받은 학생이 불합격하기도 하는 반면 이과는 한 과목이 3등급인 수험생도 합격하곤 했습니다.


현업의 선배들은 하나같이 다른 길을 찾으라고 했죠. 야근도 너무 많고 박봉이라고. 이러려고 공부한 게 아니라고도 했습니다.


2011년 기사에서도 미국의 분위기는 이미 다르다고 했지만, 그래도 10년 만에 한국이 이렇게까지 바뀔 거라고 생각한 사람은 드물었을 겁니다.


제 결론은 하나입니다. 하고 싶은 거 하세요. 현재 유망하다는 분야가 여러분이 학교 졸업하고 사회 나가서도 계속 잘 되리란 보장이 없습니다. 오히려 시간이 지나면 어떤 산업이든 전성기가 지나기 마련입니다. 하기 싫은 공부 억지로 했는데 그 분야가 사양길에 접어들면 그보다 억울한 게 있을까요?


전문가들의 예측도 틀리는 경우가 부지기수입니다. 세계 3대 컨설팅 회사라는 맥킨지는 LG 전자가 천문학적인 금액으로 의뢰한 컨설팅 보고서에서 스마트폰은 찻잔 속의 태풍이라고 했었죠.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1/04/06/2021040600011.html


하고 싶은 일이 지금 좀 전망이 어둡다고 포기할 것도 없습니다. 정원 미달 시기에 컴공과 택하신 분들, 비슷한 연차에 경쟁자가 적어서 이직도 수월하고 대우도 잘 받는 경향이 분명히 있습니다.


노홍철 님이 말씀하셨습니다. 하고 싶은 거 하세요.


… 딱 하나, 지난 30년간 꾸준히 전성기를 누리는 산업이 하나 있네요. 입시산업. 저 입시 때도 인기 강사님들은 20억은 돈도 아니라고 했었습니다. 뭐 요즘은 스케일이 다르긴 하지만… 저 때 20억이면. 어째 아직도 교실이데아 가사가 하나도 틀린 게 없을까요.

작가의 이전글 장애인 이동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