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연B Apr 04. 2023

3월, 파리의 봄을 알리는 꽃들

로즈마리 꽃

로즈마리는 언제나 작은 화분에 심겨진 것만 봤는데 여기서는 정원이나 공원에서 맘껏 자란 초목으로 흔히 볼 수 있다. 로즈마리 꽃을 생전 처음 보았는데 연보라와 연청을 오가는 오묘한 색이다. 잎에서 가장 강한 향이 나므로 꽃 자체에서 어떤 향기가 나는지 아예 안나는지 모르겠다. 오며 가며 로즈마리 잎을 문지르면서 로즈마리에도 몇 가지 종류가 더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떤 종은 한약 냄새가 나며 다른 종은 익숙한 남성 스킨 향이 난다.


라일락. 한국에서는 수수꽃다리로 불리는 종이 더 우세하지만 여기서는 확실하게 라일락만 있는 것 같다. 집 근처에 핀 라일락은 보다 연한 연보라였는데 여기서는 강한 보라색(purple)이다. 한국은 지금 한여름처럼 25도를 넘나들지만 이곳은 10도를 오가는 초봄 날씨인데도 라일락이 만개하려 한다. 내 기억에 밤에 전해오는 라일락 향기가 매우 진했는데 여기서도 그런지는 모르겠다. 밤에 외출하게 되면 근처에 들러서 확인해봐야겠다.

장미과 까치박달나무

내게 한국어로 된 식물도감이 현재 없으므로 구글 이미지 검색을 신뢰하는 것 이외에는 해당 수목을 식별할 길이 없다. 이미지 검색결과에서는 가침박달나무라고 한다. 까치박달나무로 나오는 것은 잘못 표기된 듯하다. 보다시피 잎과 꽃의 형태를 봐도 장미과 활엽목인 게 확실하다. 까치박달나무는 자작나무와 비슷한 수종이다. 장미과 나무로는 매실나무, 산사나무, 벚나무 등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나무들이 많다. 주로 다섯 개의 꽃잎으로 이루어진 예쁜 꽃을 피운다. 벚꽃과 마찬가지로 참 예뻐서 봄날이 다가옴을 실감할 수 있었다. 한국에서 자주 보는 나무는 아닌 것 같다. 매화나무를 파리에서 보고 싶은데 파리식물원(Jardin des plantes)에 곧 가봐야할 것 같다. 서울에서는 황홀한 매화향을 즐기기에는 창덕궁만한 곳이 없다. 창덕궁의 매화는 성정각 자시문 앞과 후원 입구 승화루 앞에 있는 홍매화가 유명하다고 한다. 나는 아마 성정각 자시문 앞 매화를 보았던 것 같다. 꽃향기에 취해 기절한다면 매화 아래에 쓰러지고 싶다.

간만에 살짝 맑은 날씨라서 하늘을 쳐다봤는데 가침박달나무와 파리 가로등이 함께 있는 풍경이 멋져보였다. 4월에는 자주 나가봐야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봄이 온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