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두번째 행인 Mar 08. 2021

콩나물로 요리했다

이렇게 감동이기 있기 없기

농부의 마음이 이러할까.

드디어 나의 나물이들을 수확해 맛있는 한 끼를 해 먹었다. ‘키우다 안 되면 말지’ 하는 마음으로 시작했던 콩나물 재배. 이게 뭐라고 이렇게 기쁘고 보람 있는지 모르겠다. 지난 한주 너 때문에 정말 행복했고, 배불렀다. 잘 커 줘서 고마워.





드디어 그날이 왔다!


3월 7일. 드디어 그 날이다. 콩나물을 수확하는 날. 3일 재배 시작하고 딱 나흘 만이다. 콩나물 머리부터 꼬리까지 길이는 내 가운뎃손가락 정도로 그리 긴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음식을 해 먹으면 적당한 식감을 선사해 줄 정도로는 잘 자라주었다.


길쭉하고 시원하게 잘 자라준 나의 콩나물. 접시에 풍성하게 담고나니 벌써부터 배가 부르다.


내 재배기는 가로세로 약 13cm 정도로 여기서 수확한 콩나물은 딱 1인분 정도. 혼자 한 끼로 뭔가를 해 먹기엔 적당한 양이다. 사실 콩을 많이 넣었다고 생각했는데, 다 자란 콩나물을 걷어내다 보니 그 아래 ‘제대로 못 큰 녀석들’이 있었다. 발아하다가 다른 콩에 눌리거나 물에 너무 많이 불어서 썩은 아이들이었다. 나름 한 곳에 몰리지 않게 물을 줄 때 신경을 썼는데… 미안하네. 그래도 생명 끈 부여잡고 단단하게 싹을 살짝 내밀고 있던 콩 세 개는 따로 잘 꺼내서 ‘2차 재배기’(그렇다, 한 번으로 끝낼 수 없어서 또 재배를 시작했다)에 넣어뒀다. 첫 공간에서는 성장이 조금 더뎠던 친구들이지만, 지금 공간에서는 단연 돋보이는 키다리다. 그래, 각자 페이스로 자라나면 되는 거야.


세척까지 마친 나의 콩나물들. 이제 남은 건 요리다.



고민 끝에 정한 메뉴, 콩나물 솥밥


메뉴를 두고 고민이 많았다. 망치고 싶지 않아서였다. 지금까지가 콩나물이 잘 버텨줘야 하는 ‘콩나물의 시간’이었다면 지금부터는 요리 똥손인 나의 시간. 콩나물 하면 떠오르는 국, 무침 모두 자신이 없었다. 간 맞추는 것도 적당하게 삶는 것도, 비린내 안 나게 끓여내는 것도. 그래서 생각한 게 콩나물 솥밥이다. 누군가는 ‘그게 더 어렵다’고 할 테지만, 블로그를 검색하다 보니 이게 오히려 더 낫겠다 싶었다. 그리고 그 선택은 탁월했다.



초간단 재료들

콩나물, 쌀(나는 현미를 썼기에 전날 밤에 불려놨다), . 끝.

나는 밥물을 맹물 아닌 육수로 했다. 그거 언제 만드느냐고? 바쁜 현대인을 위한 초 간단 육수는 시중에 참 많다.


재료 준비가 끝났다면, 이제 요리 시작!


초간단 방법

1. 식힌 육수에 불려둔 쌀을 넣고 3분간 강불에서 끓인다

2. 불을 중불로 줄이고 8분간 끓인다

4. 밥이 어느 정도 익었다 싶으면 그 위에 콩나물을 얹고 뚜껑 닫고 7분간 약불로 끓인다

5. 불 끄고 10분 뜸 들인다


솥의 3단 변화. 이것은 하나의 작품이다.


참고로 이 레시피는 인터넷에 ‘콩나물 솥밥’ 검색해서 나온 ‘제뉴’ 님의 블로그를 참고했다.



말이 필요 없는 환상의 맛


내가 키운 콩나물로 내가 만들어서 더 맛있다. 꿀맛. 물 대신 육수를 써서 적당히 짭짤했고, 그래서 따로 간장을 넣지는 않았다. 현미 특유의 까끌함과 콩나물의 식감도 나름 궁합이 좋았고, 무엇보다 밥이 안 탔다!!!!! 탄내 대신 콩나물 향이 은은하게 퍼지는 내 솥밥, 아주 칭찬해.



행복했던 일주일. 콩나물 솥밥이 함께 한 나의 주말 밥상은 내가 나한테 준 멋진 상(賞)이다. 그래서, 또 상 주려고 2차 재배에 돌입했다. 솥밥 아닌 새로운 메뉴에 또 도전해야지.^^


혼자 잘 놀기 프로젝트는 1탄은 대성공.




매거진의 이전글 콩나물을 키웠더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