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oh on Jun 20. 2023

흔들리는 카약과 ‘인생은 셀프’

충북 제천에는 옛날에 옥을 채굴하던 장소인 활옥 동굴이 있다. 지금은 관광지로 개발해 와이너리, 카약 체험 같은 활동을 해볼 수 있다.


별 기대 없이, 하나도 무섭지 않을 거라 생각하고 동굴 카약 타기 체험을 하러 갔다.


2인이 마주 앉아 그중 한 명이 노를 저어 10분 정도 카약을 타고 동굴 속 강(?)을 건너는 코스인데, 시시할 거라 무시했던 기백은 어디 가고 남자친구한테 노를 젓는 중책을 떠넘겼다.

(순전히 무서워서) (다 타고나서 안 사실인데 물속에 철갑상어도 있었다)


그래서 나는 남자친구가 만드는 동력에 의지해, 잘 만들어 놓은 동굴이나 편안히 감상하려던 프리라이더의 마음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그 마음은 카약에 올라앉자마자 사라졌다.


내 생각보다 물살은 셌고, 카약은 가벼워서 쉽게 흔들거렸다. 게다가 물속을 잘 보라고 투명하게 만들어져서 더 무서웠다.

흔들리는 카약에서 인생을 생각하는 중



양손으로 카약을 꼭 잡고 주변을 보면 어린애들도 잘 타는 것 같은데, 아무리 내가 평소에도 물을 무서워했다고 하지만 이제 와서 내리자고 할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몇 번의 덜컹거림과 함께 한 고뇌 끝에, 뭐라도 해보자는 생각으로 내가 노를 저어 보겠다고 했다. 가만히 앉아있으니 물이 흔들리는 것이 하나하나 느껴져서 더 무서웠기 때문에, 노 젓기라도 집중해 보자는 생각이었다.


내 키만 한 노를 내 쪽으로 가져오는 것도 힘들었지만- 몇 번 저어보며 카약 운전(?)의 감을 익히자마자 순간 물살과 내 마음이 동시에 안정됐다. 코스 중반을 넘어가자 방향 전환이나 후진 같은 고난도 동작도 생각보다 수월했다.


내가 가고자 하는 방향을 내가 알고, 내 힘으로 그 각 가고 있을 때의 안정감이었다.


노를 내가 젓기 전에는 다른 사람들은 무서워하지 않는지, 중도포기하는 사람은 없는지 주변을 두리번거렸다. 하지만 어디로 갈지 내가 정하고 노를 저어  그 방향으로 향할 때 주변 사람은 보이지 않았다. 내 배가 더 중요하니까, 다른 배를 신경 쓸 여력이 없었으니까.


그렇게 셀프 노젓기의 시간을 끝내고- 인생 역시 셀프로 저어야 물살이 두렵지 않고 살 맛 나는 거겠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종종 소위 ’인생 날로 먹고 싶다‘는 생각에 공감해 왔던 내가, 가끔은 알량한 행운를 바라기도 한 내가 우직하게 내 힘으로 노 젓는 맛을 알게 된 순간이었다.


현실은 동굴 속 강보다도 세게 나를 흔들고, 주변인들이 어떤 속도로 어디를 향하는지 너무나도 쉽게 볼 수 있다. 직접 노를 저어 보기도 전에 포기하기 딱 좋은 세상이다. 나는 이런 세상에서 종종 삶에 겁먹었고, 앞으로도 그럴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배에서 내리거나 다른 사람한테 노를 맡기기보단 내 두 손으로 노를 저어보긴 해야겠다.


다른 사람이 모는 배가 어디로 향할지 전전긍긍 무서워할 바엔, 내가 운전해 가보고 원하던 곳이 아니면 돌아오는 게 낫겠지.


갈 때도 돌아올 때도 인생은 셀프고 선장은 한 명이니까.

작가의 이전글 엄마, 이혼해도 괜찮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