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그로밋의 기술지능 Sep 22. 2023

생물학적 임피던스 매칭

다시 느끼는 진화의 위대함.

두 매질 간에 임피던스가 안 맞을때 경계면에서 파동의 전달 모습


이건 파동의 매질이 두꺼운 줄일때 두 줄의 경계에서 두께가 다를때의 파동의 전달 모습




소리나, 전파, 그리고 진동과 같은 동적인 신호를 수신하는 거의 모든센서는 임피던스 매칭(Impedance Matching) 회로가 필요합니다.


임피던스(impedance) 는 변하는 신호에대한 일종의 교류저항(신호 전달저항)을 말하죠. 말은 교류라고 했디만 실은 교류는 주파수에 따라 직류도 될수 있습니다.


요즘은 아두이노(arduino) 라는 편리한 오픈소스 하드웨어 덕분에 각종 센서를 위한 임피던스 매칭회로를 손쉽게 얻을수 있는 세상이 되었습니다만.,, 과거엔 임피턴스 매칭은 아주 어려운 기술에 속했었죠.


여하튼, 그건 그렇고 ..

성격이 다른 두 매질 사이의 경계면에서 임피던스가 서로 안맞으면 경계면에서 신호일부가 반사되어 위의 움짤 그림들처럼 그 센싱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즉, 신호가 작게 들어오거나 왜곡되서 들어온단 소리죠.


우리가 건강검진 시에 복부에 바르는 젤이 바로 초음파의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역할을 합니다. 공기와 배속 유체들 사잉의 임피던스 차이를 줄여주어 초음파신호가 목표장기에 잘 도달하게 하고 반대로 반사된 초름파신호가 수신기에 잘 도달하도록 하는 역할도 하는거죠.


외이와 내이를 연결하는 중이


그런데, 더 놀라운건 인간의 청각기관인 귀의 중이(middle ear, 가운데귀)의 청소골이 공기로 음파을 전달하는 외이(바깥귀)와 액체가 가능찬 내이(달팽이관, 속귀) 간의 매질차를 극복하기위한 임피턴스매칭을 해주는 기관이라고 한다는 사실입니다!


전에도 언급했듯이 내이의 달팽이관에선 마치 푸리에변환 처럼 주파수별로 다르게 소리를 센싱한다고 합니다. 달팽이관 입구쪽일수록 저주파의 소리를 센싱하고, 달팽이관 안쪽일수록 저주파의 소리를 센싱한다고 알려져있죠.


살면서 전자적인 임피던스 매칭은 많이 보았지만, 저런 생물학적인 임피던스 매칭은 저도 처음봅니다.

생물학적 감각기관이 진화에 의해 스스로 임피던스 매칭까지 해 내다니, 인체는  그리고 진화는 참으로 놀랍습니다. (참고로 중이는 매칭 외에 밴드패스필터링(BandPassFiltering)도 한다고 합니다.)



임피던스 매칭이 안된 경우        (중간기준으로 좌측만 막대기 양끝에 너트가 있음 = 매질이 다름)


기계적인 막대기로 중이속 임피던스 매칭을 흉내내는 모습


앞으로의 인공지능은 분류나 검출같은 인식을 넘어서서 데이타-드리븐 최적 센서설계 같은것도 해내게 될까요?



작가의 이전글 무한연료 치트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