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Anything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교동방울이 Apr 04. 2022

봄이구나야!

여름아 얼른 와 다오..."영광의 시대는 언제였나요"

길었던 21-22 겨울 시즌이 끝나고 맞이한 4월.

연트럴 파크 근처에 있는 지금.


1만 2000원짜리 이어폰 언박싱;;과 잡일을 위해 찾은 카페가 인산인해다. 노트북은 42%라는 애매한 배터리를 뽐냈고, 수염이 채운 내 얼굴이 비친 화면이 신경 쓰인다. 그래도 확실히 따스한 공기만큼이나 사람들의 표정이 밝다. 덩달아 마음도 조금 들뜸.


봄이 주는 느낌을 좋아한다. 꽃피는 봄이라 사랑하는 건 아니고 여름이 아직 안 왔다는 안도감이랄까. 작렬하는 햇볕 아래서 타는 자전거. 등줄기에 땀이 줄줄 흐르다가도 찬물 한잔이면 뻥 뚫리는 그 느낌을 사랑한다. 한강에서 먹는 맥주 맛이나 길디 긴 낮도 너무 좋다. 그 여름을 향해 가는 기대감이 가슴을 채운다.


그래서일까 여름에 비유하는 걸 좋아한다. '내 인생의 여름'같은 소리 말이다.


내 인생의 여름


참 많이 썼던 말이다. 사전적으로 나눈 계절은 네 개뿐인데, 봄이나 겨울, 가을에 삶을 비유한 적이 없는 듯하다. 내 인생의 여름은 여러 번이었다. 가장 강렬했던 건 처음 기자 생활을 제대로 했던 2015년. 그리고 코로나19가 덮친 2020년이다.


2020년은 의미가 크다. 여름이 부정적인 의미로 쓰여서다. 기사 공장장이 된 생활 패턴에 '일 한다'는 느낌은 녹진했지만, 자외선 같은 업무량에 화상을 입었다. 즐거웠던 일의 의미를 부정하게 되고. 내 가치관까지 돌아보게 했던 늦은 오후 땅거미 같던 시절이다.


회사를 나온 건 후회하지 않았지만 그렇게 나오지 말았어야 했다. 길지 않은 시간이 흐른 뒤 느꼈다. 업무가 내리쬐면 양산을 썼어야 했다. 주변과 청량한 이야기를 나눠야 했다. 하지만 알량한 책임감에 뜨거움을 홀로 받아내려 했다.



얼마 전 봤던 서울대 팩트체크 센터의 팝업 글귀다.


가짜 뉴스 검증법을 풀어써 놨는데. 생활에도 적용된다. 그때의 내 삶에도 마찬가지다.

'온라인 허위정보=날 불안하게 하는 불건전한 마음'으로 치환해 봤다.

이런 잡기를 부려볼 여유가 그때도 있었으면 좋으련만. 뭐 지나간 일이다.


1. 정보의 출처를 확인합시다.

->(신뢰할 수 있는) 출처의 의견이나 비토인지 확인하라.

2. 저자를 확인할 수 있나요?

->과거 행동을 반드시 알아보고 돌발상황인지 지속될 일인지 검증하라.

3. 언제, 어디서 만들어진 것인지 알 수 있나요?

->고민이 아니라 기쁨 또는 환희라도 들뜬 결과나 불평을 위한 불만이 아닌지 의심해 보자.

4. 다른 정보를 추가적으로 찾아보았습니까?

->동료나 타인은 어떻게 대처하는지. 지금 감정에만 매몰된 건 아닌지 확인한다.

5. 정보가 과도한 불안을 줍니까?

->아. 이건 해당이 안 되네...


지금 사회 풍토에서 물리적 나이로 치면 사회 생활을 더 할 수 있는 시간은 25년 정도.

출발한8년 정도니까 총 33년가량에서 4분의 1을 지났다.

4월 초입과 비슷한 시점.

정말 순수하고 내가 사랑하는 느낌의 여름 같은 인생이 다시 찾아오면 좋겠다.


오늘 소고기 안주에 술마실 거다.



매거진의 이전글 정든 강냉이와 이별,  고생했어 그동안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