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국모국경 Apr 04. 2023

김수영

제목을 김수영 시인의 이름으로 적고 싶지는 않았다.

김수영 시인의 말을 그대로 인용하고 쓰고 싶었다.

그런데 제목란이 내게는 너무 짧다.

촌철살인의 한 단어 아니 짧은 한 문장으로라도 내가 하고픈 말을 표현하고 싶은데 아직도 그게 잘 안된다.

그래서 나의 글과 말들에서 언제나 부족함을 느낀다. 구질구질함을 느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런치의 관대함만을 믿고 또 이곳에서 말하고 쓴다.


문학하는 사람의 처지로서는 '이만하면'이란 말은 있을 수 없다.  - 김수영-


은유 작가의 책 <쓰기의 말들>에서 나오는 김수영의 글이다.

다시 말해 은유 작가가 인용한 것을 내가 다시 인용한다.

다만, 같은 문장이지만 인용의 의미는 좀 다른 것 같다.

은유 작가는 쓴 글을 내가 제대로 이해했다면 은유 작가는 '이만하면'이라는 단어에서

  '이만하면'을 경계하며 쓴 글 같았다.

왜냐하면 은유 작가의 책 마지막 문장은 아래와 같았기 때문이다.

'이만하면'이라는 말은 위험하다. 됐거나 아니거나 둘 중 하나다. 대개의 원고는 '웬만하면' 한 번 더 다듬는 게 낫다.


반면, 난... '문학'과 '처지'라는 단어에서 이미 읽기를 멈췄다.

'문학', 네이버 사전을 찾아보았다.

'인간의 사상과 감정을 언어로 사용함으로써 표현되는 예술이다.'이다 정의되어 있었다.

예술이라는 부분이 내겐 좀 어려운 단어라 '예술'을 다시 찾아봤다.

여기서 어렵다는 건 일반적인 단어 뜻을 모른다는 것이 아니라 선뜻 다가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럴 땐 단어의 이해를 내 마음에 들도록 선명하게 하기 위해 또 네이버 사전을 찾는다,

예술은  '미적 작품을 형성시키는 인간의 창조 활동'이다 정의하고 있다.


한 문장을 두고 은유작가와 내가 보이는 것이 달랐듯

이번에는 한 단어들을 두고 네이버 정의하는 것과 내가 그 단어들 속에서 느끼는 것이 다르다.


나에게 '문학'이라는 단어는  한자를 그대로 풀어서 '글을 배우다'이다.

글을 배우는 건 읽기 위해서다.


초등학교 시절 책을 읽는 이유는 모든 걸 직접경험으로 배울 수 없기에 책을 통해 간접경험으로라도 배우기 위해 책을 읽는다 가르침 받았었다.


결국

문학 즉 '글을 배우는 것'은 간접적으로라도 타인의 삶을 들여다보고 배우는 것이요. 사람을 배운다는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사람을 배운다는 것은 타인에 대해 무지한 채 함부로 이해한다고 말하지 않기 위함이요. 타인의 처지를 생각해 보기 위함이라고...

그래서  타인의 처지를 이해함에 있어서 '이만하면' 하고 자신을 무지를 덮으려는 시도를 해서는 안된다는 것으로 나는 이 문장을 해석하였다.



그리고 지금 쓰는 이 글은 실은 나 자신에게 하고 있는 말이다.

내가 감히 나를 '문학을 하는 사람이다' 말할 순 없지만

적어도 매일 아침 112 신고철을 마주하는 사람으로서 나 자신에게 들려주어야 하는 말이다.

'이만하면' 그들의 아픔을 이해했고

'이만하면' 그들을 도와주었고

'이만하면' 내가 경찰관으로서 할 일을 했다고

오만을 떨어서는 안 된다는...

그들이 112로 들려주지 않은 말들이 더 많음을... 그래서 나는 그들의 처지에 나의 무지함을 알고 겸손하고 또 겸손해야 함을. 이걸 잊어버려서는 안 된다고 나 자신에게 깨우쳐 주기 위해


오늘 아침 이 문장이 와닿았고 배운 글을 복습하듯 브런치를 열어 쓰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작가의 이전글 소박한 낱말을 잇대어 정확한 감정과 사실을 견인할 것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