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경수 변호사 Nov 11. 2024

법정상속순위, 내 재산은 누구에게 상속될까

법이 정한 상속순위가 궁금하다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아온 사람이라면, 대부분의 경우 죽음을 맞이할 때 어느 정도의 재산을 남기게 됩니다. 이는 우리가 일생 동안 쌓아온 재산이 단순히 소비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후세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생전에 필요한 만큼의 재산을 가지고 있다가, 죽기 전에 모든 것을 정확히 소진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만약 재산을 남기지 못한다면, 적어도 빚은 남기게 마련입니다. 이러한 재산이나 빚은 결국 남아 있는 사람들에게 넘어가게 되는데, 여기서 중요한 점은 재산뿐만 아니라 빚도 후손에게 상속된다는 사실입니다. 즉, 상속은 재산과 빚을 가리지 않고 모두 이어진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상속을 ‘포괄승계’라고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고인의 재산을 상속받는 사람을 상속인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어떤 기준에 따라 정해질까요? 재산을 남기는 사람의 마음대로 정해지는 것일까요? 아니면 평소에 가까운 사람이 자동으로 상속인이 되는 걸까요? 사실 이는 그렇게 간단하지 않습니다. 평생 동안 쌓아온 재산에 대한 권리와 의무는 명확한 기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므로, 이 기준이 자주 바뀌면 안 됩니다.




민법에서는 상속인이 누구인지에 대한 규정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이를 법정상속 순위라고 하며, 이는 어떠한 경우에도 변하지 않는 고정된 규칙입니다. 누구도 이 순서를 마음대로 변경할 수 없으며, 재산을 남긴 사람과 가까운 관계라는 이유로 상속 순위가 상승하는 일은 없습니다. 물론, 재산을 남기는 사람이 특정 인물에게 특별한 대우를 할 수는 있지만, 법적으로 정해진 상속 순위는 따로 존재합니다.


법정상속순위는 민법 조문에 명시되어 있으며, 제1000조에서는 제1순위부터 제4순위까지 규정하고 있습니다. 제1순위는 직계비속입니다. 직계비속이 여러 명일 경우, 가장 가까운 촌수에 있는 사람이 상속인이 되며, 촌수가 같으면 공동으로 재산을 상속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아들과 손자가 있을 경우, 촌수가 더 가까운 아들이 상속인이 되고, 아들이 둘이면 그 두 사람이 공동으로 재산을 이어받습니다. 만약 직계비속인 자식이 사망했다면 그 자식의 자녀가 그 지위를 대습상속하게 됩니다. 자식이 모두 사망하거나 상속권을 상실하면 다음 순위인 손자녀가 상속인이 됩니다.


직계비속에는 자연혈족과 법정혈족의 구분이 없습니다. 친자든 양자든 관계없이, 혼인 중 자녀이든 혼인 외 자녀이든 상관없습니다. 다만, 혼인 외 자녀가 아버지의 재산을 상속받으려면 인지가 필요합니다. 1990년 민법 개정 전까지는 계모자 관계나 적모서자 관계에서도 서로 상속인이 될 수 있었지만, 1991년 1월 이후로는 이러한 관계는 인정되지 않습니다.




법정상속순위의 제2순위는 직계존속입니다. 이 경우에도 같은 순위에 있는 사람이 여러 명일 경우, 가장 가까운 촌수에 있는 사람이 상속인이 되며, 촌수가 같은 경우에는 공동으로 재산을 상속받습니다. 예를 들어,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있을 경우, 촌수가 가까운 아버지가 상속인이 되고, 아버지와 어머니가 있을 경우 두 사람이 공동으로 재산을 이어받게 됩니다.


양자가 사망한 경우, 양부모와 친부모 모두 재산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네 명의 부모가 모두 살아있다면, 그들 모두가 공동으로 상속받게 됩니다. 그러나 친양자일 경우에는 친생부모의 재산을 상속받을 수 없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친양자는 일반 양자와 달리 친생자와 거의 동일하게 취급되기 때문입니다.


https://youtu.be/f8k65uwg5c8




법정상속순위 제3순위는 형제자매입니다. 과거의 판례에서는 형제자매를 부계, 즉 같은 성을 가진 형제자매로 한정한 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판례는 많은 비판을 받았고, 1997년에는 이성동복 형제자매도 민법이 정하는 제3순위 상속인으로 인정된다는 취지로 태도가 바뀌었습니다. 제4순위는 4촌 이내의 방계혈족이며, 이들이 상속인이 되는 경우는 실무적으로 매우 드뭅니다.


법정상속순위에서 특별한 지위를 가진 사람은 배우자입니다. 민법 제1003조는 배우자의 상속 순위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배우자는 직계비속 또는 직계존속이 상속인이 될 경우, 그들과 공동으로 재산을 상속받고, 직계비속이나 직계존속이 없는 경우에는 단독으로 재산을 이어받게 됩니다.


배우자는 유효한 혼인 관계에 있는 배우자여야 하며, 사실혼 배우자는 사망한 배우자가 남긴 재산을 상속받을 권리가 없습니다. 다만, 사실혼 배우자에게는 생전에 재산분할 청구권이 보장되므로, 이 점은 아쉬운 부분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시한부 삶을 사는 사실혼 배우자를 떠나게 되면 일정 재산을 받을 수 있지만, 사망할 때까지 곁을 지키면 한 푼도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입법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오늘은 법정상속순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민법은 1순위로 직계비속, 2순위로 직계존속, 3순위로 형제자매, 그리고 4순위로 4촌 이내 방계혈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배우자는 특별한 지위를 가진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누가 상속인이 되는지를 정하는 문제는 복잡한 상속 문제를 해결하는 첫 단추입니다. 여러분이 직면한 갈등을 제대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 첫 단추를 잘 채우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상속 문제를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은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상속에 대한 명확한 이해는 가족 간의 관계를 더욱 돈독히 하고, 불필요한 법적 분쟁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상속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이를 바탕으로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제 이 내용을 통해 상속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돕고, 여러분이 상속 문제에 대해 고민할 때 유용한 정보가 되기를 바랍니다.



작가의 이전글 공유물분할청구소송, 가장 현명하게 진행하는 방법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