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Go Kpop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ry Soul Sep 23. 2024

K-pop과 교포 아티스트: 스티브유 & 제이팍

1,2세대 K-pop 교포 아티스트와 아메리칸드림

K-pop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교포(한국계 미국인) 아티스트들의 기여는 매우 중요해졌다. 특히 1990년대부터 시작된 이들의 귀환은 한국 음악 시장에 새로운 음악적 트렌드를 도입하며 K-pop의 글로벌화를 이끄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글에서는 1990년대 교포 아티스트들의 등장부터, 2000년대까지 이어져온 1,2세대 K-pop 교포 아티스트의 역할에 대해 살펴본다.


1. 90년대 한국음악과 교포 아티스트들의 등장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한국으로 돌아온 교포 아티스트들은 솔리드, 업타운과 같은 그룹을 통해 새로운 서양 음악 스타일을 한국에 도입했다. 이들은 R&B, 힙합 등 당시 서구에서 유행하던 음악 장르를 한국 대중음악에 접목시켜 음악적 변화를 이끌었다.


이들 그룹에 이어 1996년부터는 H.O.T를 시작으로 한 1세대 K-pop 그룹들이 탄생했는데 H.O.T의 토니 안, S.E.S의 유진, 신화의 앤디, GOD의 박준형, 플라이 투 더 스카이의 브라이언, 지누션의 션, 1TYM의 테디와 대니 등 교포 아티스트들이 대부분의 K-pop 그룹에 멤버로 참여했다. 이들은 미국에서 자란 경험을 바탕으로 서구적인 감각을 음악과 퍼포먼스에 녹여내며 K-pop이 글로벌 무대에서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데 기여했다.

1세대 K-pop 그룹 S.E.S 멤버 유진

https://www.youtube.com/watch?v=fBge8oUfFwU

S.E.S. '('Cause) I'm Your Girl' MV


2. 교포 아티스트들이 한국으로 돌아온 이유


1965년 미국의 Hart-Celler 이민법 이후, 많은 한국 이민자들이 미국으로 건너가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대부분이 대학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었으며, 미국 사회에 동화되려는 노력을 기울였지만, 그들의 자녀들은 백인 주류 사회와의 문화적 괴리 속에서 고립되었다. 특히, 많은 교포 자녀들이 클래식 음악 교육을 받았으나, 이는 미국의 대중음악과는 거리가 멀었고, 이로 인해 주류 청소년 문화에서 더욱 멀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1990년대 들어 한국은 경제적 성장과 민주화를 이뤄 더 나은 삶의 질을 제공하게 되었고, 더 이상 전쟁의 공포 속에 살 필요가 없는 나라로 변모했다. UC Berkeley의 John Lie 교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변화는 한국이 더 이상 이민자들에게 단순한 고국이 아니라 성공적인 미래를 꿈꿀 수 있는 기회의 땅으로 변모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는 K-pop이 글로벌하게 성공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했으며, 교포 아티스트들이 한국으로 돌아와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과거 연예인은 낮은 사회적 지위의 직업으로 여겨졌지만, 1990년대 후반 K-pop의 급격한 인기 상승과 함께 연예인은 수익성 높은 유망 직업으로 자리매김한 것도 중요한 이유 중 하나였다. 이는 미국 내 주류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운 교포 아티스트들에게 한국에서의 활동이 더 나은 기회를 제공하게 만든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3. 교포 아티스트들의 성공 요인: 이중적 타자화


교포 아티스트들이 한국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음악적 재능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능력이 필수적이었다. 이들은 한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해야 했고, 한국 문화에 깊이 스며들어야 했다. 특히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해 자신의 성격을 보여주고, 한국 팬들과의 교감을 통해 자신이 "한국인"으로서 받아들여지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 이러한 문화적 적응은 교포 아티스트들이 성공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으로 여겨졌다.


특히 교포 아티스트들은 '이중적 타자화(double othering)'의 과정을 겪었는데, 이는 그들이 한국 사회에서 외국인으로서 자신들의 독특한 차별성을 유지해야 하면서도, 동시에 한국인으로 인정받기 위해 '한국화'의 과정을 거쳐야 하는 이중적인 상황을 의미한다. 게다가 이들은 단순히 음악적 성과만으로 평가받는 것이 아니라, 한국 사회의 모범적인 역할 모델로 인정받아야 했다. 교포 아티스트들은 한국어 실력, 한국적 가치관, 그리고 기업 문화의 위계적 관계 시스템에 적응해야 했으며, 그들의 외국인 정체성은 때로는 이점을 제공하기도 했지만, 동시에 극복해야 할 장애물로 작용했다.


다시 말해 교포 아티스트들은 자신의 외국적 배경을 강조해 주목을 받으면서도, 동시에 그 외국적 정체성을 완전히 한국적으로 변환해야 하는 이중적 과제를 안고 있었다. 그들은 한국인으로 받아들여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했지만, 매 순간 외국인으로서의 정체성 역시 강조되었다. 이러한 이중적 타자화의 대표적인 사례로 유승준(Steve Yoo)과 박재범(Jay Park)을 들 수 있다.

유승준(Steve Yoo) /  박재범(Jay Park)

유승준은 데뷔와 함께 큰 성공을 거두며 처음에는 이중적 타자화의 성공적인 사례였다. 그는 미국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유창한 한국어 실력, 건강한 외모, 그리고 바른 이미지로 한국에서 큰 사랑을 받았다. 금연 캠페인, 기부 활동 등 사회적으로 모범적인 활동을 통해 그는 팬들과의 유대감을 강화하며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쌓아갔다. 그러나 군 복무를 회피한 사건으로 인해 그의 이미지는 급격히 추락했고, 한국 사회는 그를 배신자로 낙인찍었다. 유승준의 사례는 한국에서 교포 아티스트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한국인의 기준을 확실히 충족해야 함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그의 군 복무 회피 사건은 단순한 개인적 선택이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에 걸친 민족주의와 군복무 문제에 대한 감정적인 충돌을 불러일으켰다. 결국 그는 한국에서 추방되었고, 그의 국내 연예계 활동은 끝나고 말았다.


박재범은 또 다른 이중적 타자화의 사례로, 반한(反韓) 감정이 담긴 과거 발언이 논란이 되며 2PM의 리더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는 한국의 애국주의와 민족주의의 배경 속에서 일어난 사건이었다. 그 당시, 한국의 온라인 커뮤니티는 매우 활발했으며, 팬과 스타 사이의 관계가 더욱 긴밀하게 이어지던 시점이었다. 박재범의 과거 SNS 발언이 드러나자, 팬들은 그의 미국적 배경을 지적하며 큰 비난을 가했고, 이는 결국 그가 그룹에서 탈퇴하고 미국으로 돌아가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그는 다시 미국에서 활동을 시작했고, R&B 힙합 아티스트로서 재도약하여 한국으로 돌아와 큰 성공을 거두었다. 특히 박재범은 K-pop과 힙합의 경계를 넘나드는 독특한 행보를 이어갔는데, 2010년대부터 한국 대중음악계에서 주류로 떠오른 힙합이라는 장르가 그의 솔직하고 거친 캐릭터와 잘맞아떨어지면서 다시 한 번 한국에서 아티스트로서 인정 받을 수 있었다. 박재범은 K-pop과 힙합을 통해 자신의 아메리칸 드림을 실현한 대표적인 교포 아티스트로, 이제는 자신의 레이블을 설립하여 한국 힙합 신(Scene)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았으며, 제이지(Jay-Z)가 설립한 미국 힙합 레이블 락 네이션(Roc Nation)과 계약후 미국 시장까지 진출했다. 또한 현재는 새로운 기획사를 만들어 K-pop 아이돌 그룹을 준비하는 등 글로벌 음악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교포 아티스트들은 '이중적 타자화'의 복잡한 과정을 겪으며 한국 사회에서 성공과 실패를 경험해 왔다. 그들은 외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한국인으로서의 역할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했고, 때로는 그 과정에서 실패를 경험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도전 속에서도 교포 아티스트들은 K-pop의 글로벌 성공에 중요한 기여를 해왔으며, 그들의 존재는 K-pop이 더 넓은 세계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x_mg-1WhWw

박재범 (Jay Park) - 몸매 (MOMMAE) (Official Music Video)


4. K-pop과 아메리칸드림


K-pop은 교포 아티스트들에게 단순한 음악적 성공을 넘어, 미국에서 이루지 못한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중요한 통로가 되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 미국의 주류 음악 시장은 여전히 아시아계 아티스트들에게 높은 장벽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특히 한국계 미국인 아티스트들이 미국에서 주목받는 일은 극히 드물었다. 아시아계 아티스트들이 미국의 메인스트림 음악 시장에서 자리를 잡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다. 이들은 자신들의 재능을 충분히 발휘할 기회를 얻지 못했고, 인종적, 문화적 한계 속에서 그들의 목소리는 쉽게 묻혀갔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교포 아티스트들은 한국으로 돌아와 K-pop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찾았다. K-pop은 그들에게 단순히 무대에 설 수 있는 기회만이 아니라, 글로벌 스타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했다. 1세대와 2세대 K-pop 시스템은 체계적인 트레이닝과 팬덤 기반의 글로벌 마케팅 전략을 통해 아티스트들이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유럽, 북미 등 전 세계에서 활동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 주었다. H.O.T의 토니 안, S.E.S의 유진부터 2PM의 박재범, 소녀시대 티파니에 이르기까지 많은 1세대와 2세대 K-pop 그룹의 교포 멤버들은 미국의 대중문화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에서 성공을 거두었으며, K-pop이 글로벌 음악 시장으로 확장되는 데 기여했다.


특히 K-pop의 글로벌 확산과 함께, 교포 아티스트들은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팬들과 연결되며 아메리칸드림을 실현해 나갔다.  K-pop에 서구적 음악 스타일이 도입되고 비주얼과 퍼포먼스의 혁신적 변화가 가능했던 것은 교포 아티스트의 역할이 컸으며, 영어를 통한 글로벌 소통을 비롯해서 문화적 융합의 연결 고리 역할에도 이들이 큰 기여를 했다. 더 나아가 K-pop을 통해 글로벌 음악 시장에 진입한 교포 아티스트들은 단순한 음악적 성공을 넘어, 독립적인 활동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서도 K-pop의 확장을 주도하는 중요한 인물들로 자리 잡았다. 이처럼 교포 아티스트들은 세계 무대에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기회를 확장시켰던 것이다.


3세대 K-pop 이후부터는 블랙핑크, 트와이스 등의 그룹에서 외국인 멤버들이 포함되기 시작했으며, 교포 아티스트들뿐 아니라 아시아 각국 출신의 멤버들이 K-pop의 글로벌화를 이끌고 있다. 그러나 1세대와 2세대에서 교포 아티스트들이 기여한 K-pop의 초기 글로벌 확산과 문화적 융합은, K-pop이 지금의 세계적인 위치에 오르기 위한 중요한 초석이었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1세대 K-pop 그룹 H.O.T / S.E.S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