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이 좋다. 봄이 되면 집 안 곳곳에서 생기를 맡고 있던 화분들을 모아 새 흙으로 갈아준다. 그때마다 노란 프리지아 한 다발을 사 와 방 한가운데 꽂아둔다. 가슴을 간지럽히는 프리지아 향기가 방 안에 가득 퍼질 때, 하루가 충만해지는 기분을 느낀다.
"여니야, 오늘 냉이 캘 건데 반찬 해서 갖다 줄까?"
"엄마! 내가 갈게. 냉이 같이 캐자."
우리 집은 보통 3월이 돼야 분갈이를 시작한다. 아직은 조금 이른 시기였다. 그런데도 엄마는 흙이 그리운 내 마음을 아는 듯 전화를 걸어왔다. 이상하게도 내게 흙의 위안이 필요한 순간마다 엄마는 이런 반가운 소식을 전해주곤 했다.
"그런데 냉이는 봄에 먹는 거 아니야?"
"겨울냉이는 뿌리를 먹는 거야. 추운 겨울을 견뎌낸 뿌리는 향도 진하고 몸에도 좋지."
흙 위로 솟은 냉이 잎은 작고 메마르며 볼품없었다. 하지만 엄마의 말처럼, 겨울냉이는 뿌리를 먹는 거라고 했다. 그나마 커 보이는 냉이를 찾아 호미질을 시작했다. 호미 끝에 따라 올라온 것은 아기 손바닥보다 작은 냉이 한 뿌리. 그런데 놀라웠다. 그 작은 냉이의 뿌리는 보기와는 달리 굵고 실했다. 잎사귀와는 어울리지 않을 만큼 단단한 뿌리를 흙 속에 숨기고 있었다. 엄마의 말이 이제야 이해됐다. 겨울냉이는 홀로 추운 겨울을 견디며 자기 몸보다 더 큰 뿌리를 깊게 내리고 있었던 것이다. 연약하고 볼품없어 보였던 냉이는, 그 누구보다 단단하고 굳센 존재였다.
나와는 참 달랐다.
나와 가까운 사람들은 종종 나를 ‘온실 속 화초’라거나 ‘유리감성’이라고 표현한다. 아니면 ‘순두부’라고도. 물론 타고난 기질과 성격 때문이겠지만, 나는 알고 있다. 그보다 더 큰 이유가 있다는 것을.
"내게 온 추운 겨울은 언제였을까. 몇 번이나 있었지? 그리고 난 그 추위를 어떻게 견뎌냈더라."
추운 겨울이 올 때마다 나는 도망치기에 바빴다. 곁에 있는 사람에게 온기를 나눠 달라며 더 가까이 다가가 의지했고, 혹은 겨울이 지나가길 바라며 숨어버렸다. ‘굵고 실한 뿌리’를 내리려는 시도조차 하지 않았다. 나와 내 주변을 지킬 수 있도록 강해지고 싶다. 단단해지고 싶다. 바람에 흔들릴 수는 있어도 내 안에 깊게 내린 뿌리로 온전히 이겨낼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