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MZ칼럼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Koo Sep 22. 2021

평범해지기 위해 얼마나 많은 실패를 겪어야 할까

청년들의 취업 유감에 대하여

2030 청년층이 끝없는 ‘취업 빙하기’를 견디며 애태우고 있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1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전체 근로 일자리는 전년 동기 대비 32만 1000개 늘어난 1899만 7000개를 기록했다. 연령별로 보면 50대 이상 세대의 일자리가 40만 9000개 증가했으나 30대 이하의 젊은 층에 제공된 일자리는 9만 8000개 줄었다. 취업을 포기한 구직단념자는 총 63만 명을 넘으면서 지난해 3월부터 16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인구 절벽을 앞둔 사회구조를 감안하더라도 연령대별 일자리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다.

 

취업 시장에선 경력직 선호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타격을 맞은 대다수의 기업들이 실무에 바로 투입 가능한 경력직을 우선 채용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기업의 수시채용 기조가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취업정보 사이트 인크루트가 국내 814개 대기업, 중소기업 등을 대상으로 올 하반기 채용동향을 조사한 결과, 488곳만 채용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이 중 ‘정기 공채’ 비율은 35.6%, ‘수시 공채’는 48.9%였다. 최근 2년간 정기 공채 비율이 14%가 감소했다. SK 그룹은 올해를 마지막으로 공채를 종료한다. 내년부터 국내 4대 기업(현대자동차, LG, SK, 삼성) 중 공채를 유지하는 기업은 삼성이 유일하다. 기업의 변화한 채용 방식이 방증하듯 뽑아야 하는 기업도, 일해야 하는 청년도 상황이 녹록지 않다.


이 같은 상황에 한국이 1980년대의 버블경제 붕괴 후 극심한 취업난을 겪었던 일본의 전철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하지만 현재 한국의 취업난과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은 엄연히 다르다. 위기를 느낀 일본의 기업들은 수직적 임금체계를 부수고 성과 중심의 급여 체계를 적용해 경쟁력을 높였다. 아베 전 일본 총리는 2012년 취임 직후 ‘아베노믹스’로 대변되는 경제 부흥책을 단행했다. 시장의 변동성이 불러올 부작용을 무릅쓰고 파격적인 정책 개혁을 수행한 결과 일본의 경기가 회복되는 양상을 보였다. 기업의 수출은 증가했고 2013년 일본 닛케이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일본의 생산 가능 인구는 최근 20년 간 1000만 명 가까이 감소하며 일자리 수요가 공급을 초과했다. 국가와 기업이 분골쇄신한 끝에 지난 2016년 일본 대졸자 취업률은 97.3%을 기록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2016년 생산 가능 인구가 정점을 찍고 감소세로 돌아섰다. 그러나 최저 임금 인상과 공공 일자리 선호 현상, 10년 넘게 지속되는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해 고용시장의 유연성이 크게 약화됐다. 양질의 일자리가 쉽게 늘어나지 않는 이유다.


지난 7월 국내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에 해당되는 인구는 233만 4000명에 이른다. 과연 이들은 자발적인 ‘쉼’을 행하고 있는가. 향후 수십 년 간 나라를 지탱할 청년층은 당장 일을 해야 한다. 그러나 청년들이 일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성장이 수반돼야 한다. 수출 위주의 경제구조를 가진 국내 기업이 성장하려면 빠르게 변화하는 국내외 정세에 대한 정부의 대응책이 필요하다. 정부가 기업을 견제하기보다는 이끌어주고,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하는 노동개혁과 기업을 옥죄는 규제혁파가 절실한 시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이제는 '대학 엔딩'입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