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여름 Apr 09. 2021

블루 밸런타인

첫사랑

 사랑을 가장했던 감정의 몰락과 소멸. 똑같이 현실적인 사랑을 내세웠던 500 일의 섬머[500] Days Of Summer와는 사뭇 다른 감상이지만, 섬머 역시 톰을 사랑했을 거라는 확신과는 다르게 신디와 딘은 그 누구도 서로를 사랑하지 못했다는 결론이 꺾이지를 않는다. 하지만, 그 둘이 사랑이었다면 달랐을까 따위의 부가 질문을 던져도 현실이 하는 대답은 다를 것 같지 않다. 단순하게도 감정은 변하며 보통 그게 당연한 거니까.


 나 역시 예외 없는 인간으로서 사랑이 영원할 것이라는 반의학적 사고를 할 수는 없다. 사랑이란 무엇인지에 따라붙는 온갖 로맨틱한 답변들을 나열해도 그건 그 순간에 반짝일 뿐이다. 절대 변하지 않는다는 다이아몬드와 땅의 가치를 내세운들 정부의 정책이나 시장의 선호에 따라 그것 역시 낮은 탄력성으로나마 움직인다고 말하고, 산소 없이 살 수 없다며 과학적 명제를 말하는 과학자들에게 그렇게까지 살아야 할 이유를 반문할 내가 감정적이고 맹목적인 딘처럼 한때의 심정에 모든 걸 걸 수 있을 리도 없다. 그렇지만 뻔한 관계의 결말은 뇌리에 잔가시처럼 박혀 뻐근하게 숨통을 조른다.


 신디와 딘도 사랑이었다면,

 사랑이란 무엇일까.

 나는 사랑을 뭐라고 생각하고 있을까.


 사랑이 뭔지는 몰라도 그 사람을 사랑했던 시절의 나는 행복했던 것 같다. 솔직히 말해서 한 번도 속상하거나 화나지 않았던 건 아니었다. 과거를 청산할 수 없다는 것도, 처음부터 틀어진 관계에 기대하면 안 된다는 것도 알고는 있었다. 우리가 전혀 맞지 않는다는 사실도 알았다. 설레는 포인트도 다르고 웃기는 포인트도 달랐다. 맞지 않는다. 풀리는 방식도 다른 게 뻔했다. 


 우리는 도통 맞을 수가 없었다. 미래를 보는 시선도 다른 데다 현재에 임하는 태도도 달랐다. 이별을 말하고 나서야 솔직해지는 사람에게 이별을 말한 순간부터 모든 걸 끝내는 사람은 독이었을지 모른다. 생각해 보면 행복했지만 무작정 행복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그 모든 불화의 과정도 한 발만 물러서 보면 행복이었다. 지쳐 가는 것까지도 추억이 되리라고 확신했다. 이렇게 평생 사랑할 수 있을 것 같고, 감정의 끝이 보이지 않고, 보고 싶지도 않았고, 그가 다른 사람과 이러는 것을 상상만 해도 서러움에 울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잡았다. 그때의 나에게는 헤어진다는 의미가 너무 컸다. 과거의 행보에 기반해서 예측할 수 있는 감정이 아니라는 걸 알고 있었다. 그리고 후회했다. 잡았던 것에 대한 후회가 아니라 그런 말을 하게 만든 것에 대한 후회였다. 얼마나 노력해야 이별을 말하기 전으로 돌아갈 수 있는지에 대해서 고민하고 스스로를 책망하면서도 감정이 식지 않았다. 


 사랑하고 있었다. 연애로 인해 서글프고 화날 때마다 내 감정에 대해서 더 확신할 수 있었다. 나는 나이기 때문에 나를 좋아했지만, 사랑 앞에서 나는 더 이상 내가 아니어도 괜찮았다.


 그런 사람을 사랑하지 않게 된 것은 언제였으며 왜 그렇게 됐을까. 다시 영화 이야기로 돌아가자. 신디는 딘의 구애에 마음을 열었고, 사랑해서가 아니라 그의 감정을 믿어서 미래를 걸었다. 그러나 딘은 신디가 계속 믿기에 적절한 상대가 아니었을 것이다. 딘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듬직하지 못한 남자였으며 상대의 입장을 고려할 줄 몰랐다. 물론 신디에게 잘해 주고 싶은 마음은 컸던 것으로 보이지만 딘은 그가 좋다고 느낄지, 그럴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진중하게 통찰할 능력이 없었다. 어쩌면 딘은 본인이 신디에게 건넨 어리고 강렬한 감정에 대한 보답을 바랐을 터이다. 


 하지만 신디는 그럴 여유가 없었을 것이다. 현실적이고 자신의 생각이 완고한 그에게 딘은 변하는 세상에서 변하지 않고 자라지 않는 답답한 남자였다. 아무리 두터운 환상일지라도 작은 균열이 생기면 순식간이다. 꼭 운동회의 박 터트리기처럼 말이다. 


 상처받지 않는다 생각했던 내 감정도 그랬던 걸지 모른다. 감정 상한 적 많았다는 말을 듣는 순간 신물이 난다는 표현을 발인 삼아 내 사랑은 끝이 났다. 사랑을 배제한 나는 좋아하는 것만으로는 관계를 유지할 수 없을 만큼 이기적이고 제멋대로인 인간이었고, 그래서 더는 못 하겠다는 말을 들었을 때야말로 나의 원래 자리로 돌아온 기분이었다.


 주인공들도 힘들었을 게 당연하다. 그리고 내 상대도 그럴 터이다. 본인의 취향이 아니고, 꿈꿨던 미래가 아니고, 바란 적 없었던 것들을 상대를 위해서 감수해야 했을 때의 마음은 이번 연애에서도 나보다야 그 사람이 더 잘 이해할 거라고 생각한다. 딘 역시 결혼할 생각도, 아이를 가질 생각도 없었지만 신디를 만나면서 그것이 자신의 생활이 되었다고 고백했다. 


 그와 동시에 딘은 그 말을 듣고 있는 신디의 원래 이야기에 대해서 물어본 적은 없다는 걸 평생 모를 게 분명했다. 아마 신디도 딘이 그렇게 말하는 이유가 신디의 낮아진 온도에 대한 서글픔 토로라는 걸 모를 것처럼 말이다. 왜냐하면 둘은 이제 서로의 이야기가 궁금하지 않으니까. 자신의 아픔과 자신의 생각과 자신이 빠져 있는 상황이 너무 중요하니까.


 사랑을 하는 사람은 과거의 자신과 너무 달라지기 때문에 그 변화에 집중하느라 때로는 상대의 명확한 시그널을 눈치채지 못한다. 하지만 그것을 상회하는, 사랑의 가장 잔인한 점은 일회성이라는 부분이다. 그것은 마침표가 찍히는 순간부터 의지와는 관계없이 타임라인 좌측으로 거처를 옮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종종 상대를 보며 과거를 떠올린다. 남은 것들은 모두 후회가 된다. 이렇게 미래가 없어진 관계의 선택지는 이별 하나뿐이다.


 하지만 알고 있더라도 사랑했던 사람과의 이별이 마냥 쉽지만은 않다. 몇 번이고 이별하면서, 사랑이 종료된 후의 이별을 포함해서 나는 일상에 투자할 기력을 남기지 못하고 그 사람을 떠올렸다. 내 방식대로 극복을 시도하면서 정해진 시나리오처럼 절망했다. 마침내 이별에 아프지 않게 된 순간에도 나는 여전히 그 사람을 떠올리며 침전한다. 사랑이 애증으로, 애증에서 분노로, 분노에서 무심으로 변했어도 추억은 사랑의 형태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이라는 걸 알지만, 이미 흐려진 날들 속에서 움켜쥘 실루엣이 없어서 헤어나올 수는 없다. 이렇게 서로에게 없는 사람이 되고 말 사랑이 뭐라고 나는 그렇게 스스로 처절해지며 매달렸던 걸까.


 끝을 직면한 사랑은 무너지고, 프랭키의 상처를 외면하는 신디와 딘처럼 끝난 사람들은 냉정하다. 처음이고 유일했던 그 사람, 그 사랑에게 작별을 고하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