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캔 Mar 20. 2022

한국 온돌의 우수성

내가 만난 일본

내가 한국인이라서 방바닥 뜨신 것에 익숙한 것도 있겠지만, 일본에서는 정말 기후? 온도가 안 맞아서 많이 아팠다. 한국에서는 감기도 잘 안 걸리고, 치과 빼고 병원에 간 적이 거의 없는데. 일본에서는 병든 닭처럼 골골거렸다. 


일본에 유학생 외국인 건강보험이 있는데, 2만 엔 정도를 냈다. 병원 갈 때마다 차감이 되는 거지. 그걸 다 쓰면 비싼 요금을 낸다고 들었는데, 딱 보험료 소진될 때까지 아파서 진짜 그런 지는 모르겠다. 

일본은 외국인에게 건강보험 적용이 엄격해서, 한국 같은 개호구 짓은 안 할 거야.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5&oid=366&aid=0000799804


이 공약 진짜 죽이지 않냐? 역대 대통령도 건들려 하지 않던 부분인데. 진짜 속이 뻥 뚫린다. 

이런 것만 막아도 한국인의 건강보험료 인상은 없을 것이고, 참전용사들도 폐지 줍지는 않겠지.




아무튼, 다른 애들은 유학생 보험료를 그냥 날린대. 병원에 안 가서. 난 다 쓰고 왔다. 그래서 지인이 '넌 알차게 다 쓰고 가네.' 이런 얘기도 했다.


일본은 섬 나라라 여름에 정말 습하고. 바퀴벌레가 많다. 내가 살아생전에 만날 바퀴벌레를 일본에서 다 보고 왔다. 일단 너무 크고, 날아다녀.

일본의 겨울은 너무 추워. 지진 때문에 집을 그렇게 경량으로 지은 건가 잘 모르겠는데. 벽이 너무 얇아. 너무 추워. 에어컨이 냉난방이 다 되는 건데, 바닥이 얼음장인데, 윗 공기만 따뜻해.


일본에서는 겨울에 집에서도 입김이 날 정도로 추워서 오리털 잠바를 입었다. 뭐랄까. 나는 일본에 살면서 기(氣)가 많이 뺏기는 기분이 들었다. 터가 안 맞나. 이런 생각도 했다. 반면, 어떤 지인은 한국에서 그런 기분이었는데, 일본에 가서 좋아졌다는 거야. 걔는 일본 터가 맞고, 난 안 맞나 보다 이렇게 생각했다. 


일본에 살 때, 겨울에 너무 추워서 자다가 허리에 담이 걸린 적이 있는데, 그게 아직도 고질병처럼 겨울만 되면 날 괴롭혀. 다행히, 바로 옆에 정형외과가 있어서 진짜 네 발로 기어서 병원에 갔다. 너무 아파서 허리를 펼 수가 없어. 히터는 있어도 밤에 켜고 잘 수가 없고. 전기장판이 있어도 이게 온돌을 따라갈 수가 없어. 온돌로 방전체가 따뜻해지는 것과 전기장판을 깐 자리만 따뜻해지는 건 차원이 틀려. 


한국에 있을 때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온돌'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는 계기가 됐지. 

우리 조상님들, 온돌을 발명해가지고 너무 감사하다.

매거진의 이전글 편리할수록 보안이 취약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