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캔 Aug 15. 2022

패전일과 종전일 : 단어 세탁

내가 만난 일본

오늘은 광복절이다.


미국에 깝죽거린 일본이 원폭 2방을 맞고, 항복을 선언했고,

한국은 일제강점기에서 해방되어 자유를 얻었다.


미국은 일제강점기 해방시켜줘, 625 전쟁 때 도와줘.

한국이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수립할 수 있게 도와준 고마운 나라다.




한국은 8월 15일을 광복절이라 부르고, 일본에서는 패전일이라고 부를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일본에 직접 가서 보니, 이 날을 종전일이라고 표기하고 있었다.


한국말에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말을 새삼 깨달았다.


자신들이 전쟁에 패한 날이 아니라, 전쟁이 끝난 날이라니.

전쟁의 주체자가 이 무슨 유체이탈 화법이란 말인가.

단어를 세탁함으로써, 그날이 주는 무게감을 희석시키고, 일본의 자존심도 챙겼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본이, 일본을 위한 방어로 보인다.




하지만, 한국의 단어 세탁은 한국의 이득과 멀어 보인다.



일본에서 한국에 돌아오니, 내가 모르는 단어가 생성되어 있었다.


독신주의자 → 비혼주의자


독신주의자는 홀로 독. 몸 신 (身)이란 한자를 쓰며, 배우자가 없는 사람을 뜻한다.

진짜 혼자 살겠다는 신념이 단어에 녹아있다.


언제부터 한국에서 독신이란 말 대신, 비혼이 유행처럼 사용되고 있다.

언론에서는 마치 비혼주의자를 독신주의자처럼 표현하지만, 한자 뜻을 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

아닐 비, 혼인할 혼. (婚) 결혼을 하지 않은 사람을 뜻한다.


이 단어가 탄생함으로써, <남녀가 결혼해서 이룬 가정. 이란 테두리에서 벗어난 모든 형태>가 여기에 속하게 됐다. 언론은 한부모 가정, 조부모 가정을 예로 들어서 다양한 형태의 가정이 있을 수 있다며, 꼭 아빠 엄마가 있는 가정만 있는 건 아니라고, 국민을 호도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1222063200530


가족 단위를 비혼, 동거까지 확대하면, 안된다.


국가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는 가정이다.

가정 외 형태를 인정하는 것은 국가의 단위를 붕괴시킨다고 생각한다.




국제결혼 가정 → 다문화 가정


나는 이 말 또한 이해가 되지 않았다.

국제결혼이면 국제결혼이지, 다문화는 뭐야?


국제결혼 가정을 사회적 약자로 묘사하며, TV에서는 한국에서 못 사는 외국인이 나오는 프로가 늘어나 있었다. 지자체별로 그런 국제결혼을 한 외국인 여자에게 주는 혜택도 천차만별이다. 그렇게 국제결혼 가정이 사회적 약자라면, (생활이 어려운) 결혼한 한국인 여자들도 과연 그런 혜택을 받고 있는지 의문이다.


내가 집을 살 때, 은행 대출을 받았다.

한국인인 나도 못 받는 우대조건을 다문화라는 이유로 주고 있더라.

그것도 한국의 국가유공자와 동급으로 취급하면서 같은 혜택을 주더라.

국제결혼이 뭔 벼슬이라고, 국가유공자와 동급이 되는가.


서울 남자와 경기도 여자가 결혼한 것처럼. 이것은 챙겨줄 사안이 아니다.

그냥 한국인과 외국인이 결혼한 건데, 불쌍한 이미지를 방송에서 심어주고, 순박하고 착한 이미지를 심어주고, 정치인들은 또 그에 동조하여 그들을 챙긴다. 


한국인을 챙겨도 시원찮을 판에, 한국 정치인은 왜 이렇게 외국인을 챙길까. 

한국은 외국인에게 지방선거권을 주고 있다. OMG.




불법체류자 → 미등록 이주민


이거는 정말 심각하다.

대한민국 법이 정해놓은 체류기간을 어긴 외국인이 계속 한국에 사는 거야. 그걸 불법체류자라고 하지.


근데, 불법체류자라고 표기하는 뉴스가 있고, 미등록 이주민이라고 표기하는 뉴스가 있더라.

방송사의 이념에 따라, 단어를 달리 표기하는 것같다.


불법이라고 하면 심각한 것 같지만, 미등록이라고 하니까 단어가 주는 느낌이 매우 약해진다.


나는 감성팔이를 아주 싫어한다.

법치국가에서 인권이 상위에 있을 수 없다. 이런 식으로 인권을 우선시하게 되면, 법이 무슨 소용 있나. 

피해자 대신, 범죄자 인권이나 챙기게 되는 기이한 형태가 나오는 것 아닌가.



한국 불법체류자 1위는 태국. 2위는 중국이다.

한국 정치인이 태국인을 위해 이런 일을 했을까. 중국인을 위해 이런 일을 했을까.


한국의 외국인 지방 선거권 유권자 78.9%가 중국인이란다.

외국인 혜택이 좋아질수록 중국인이 받는 거 아닌가?

왜 외국인에게 호의적으로 단어가 세탁되고, 한국인 모르게 법과 제도가 바뀌고 있는 한국 사회 시스템이 이해가 되지 않나?


한국인이 한국 지역 일을 결정하는 게 아니라. 중국인 입김이 점점 세지고 있다.

한국인은 이것을 매우 경계해야한다.


https://www.chosun.com/politics/politics_general/2022/04/11/JGOUOGWTTJFZ3CDG4ON4MACADA/


나라 파는 매국노는 일제강점기에만 있었던 게 아니다.

현재에도 존재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에이즈의 위험을 국민에게 계속 알리는 일본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