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인드립 Apr 07. 2023

초과민인(HSP)와 ADHD는 어떤 관계인가요? (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직접 경험하고 쓴 성인 ADHD이야기

이전 글이 궁금하시다면 눌러주세요!


요즘은  심리적 개념이라도 그 이론이 인정받기 위해서는 뇌과학적 개념을 토대로 실험이나 뇌영상학적 검사 등을 통해 입증이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애론박사가 개념화를 시도한 '과도하게 예민한 사람'은 너무나 추상적이고 다양한 맥락에서 여러 뜻을 내포하고 있어 학계의 지지를 받기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애론은 HSP(highly sensitive person)를 "감각처리 과민성"이라는 생물학적 경향을 주된 특성으로 규정하면서 신경 영상학 및 생리학적 연구를 통한 결과가 점차 축적되고 있습니다.


aron에 따르면  HSP에서는 자극에 대한 임계값이 낮고 환경의 미묘한 자극에 의해 더 많은 자극을 받는 것으로 보이고 이러한 개인 차이는 유전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한편, ADHD도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감각 및 인지 자극을 필터링하는데 문제가 생기는 감각 처리 이상이 중요한 특징으로 밝혀지고 있습니다.


감각 처리의 이상은 부정적인 감정을 초래합니다. HSP와 ADHD 모두에서 정서 조절의 곤란을 겪는 것도 감각 조절의 문제가 있기에 연관되어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서로가 관련이 크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연구한 자료가 있는지 검색하여 HSP를 뜻하는 감각처리 민감도와 ADHD의 증상과 연관성을 조사한 최근 연구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Psychiatry Research라는 저널 2020년 11월 호에 실린 연구입니다.


저자들은 감각 민감도를 평가하는 27문항으로 이루어진 스케일과 ADHD의 진단기준인 ASRS의 점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는 다음 그래프와 같습니다.




그래프에서 보이듯, ADHD 자가보고 점수와 감각 민감도 점수는 뚜렷한 양의 연관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감각민감도는 나이가 어린 정도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렇듯 HSP와 ADHD는 서로 관련성이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시간에 ADHD가 HSP와 구분되는 몇 가지 특징을 아래와 같이 설명드렸는데요.

1. HSP에서는 과도한 자극을 피하려는 반면 ADHD에서는 고자극 감각을 추구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2. HSP는 사람들 많은 곳을 가능한 피하거나 낯설고 복잡한 장소는 안 가려고 하지만 ADHD인은 낯설고 새로운 곳, 사람들이 많은 곳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HSP는 조심성이 많고 과감하게 행동하기 어렵지만 ADHD인은 충동적인 돌발행동을 하기 쉽습니다.


실제로 이런 특징으로 둘을 구분하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ADHD인들도 '케바케' '사바사' 이기 때문입니다.


쓰릴 넘치는 놀이기구는 잘 타는 등 위험한 유희를 즐기면서 벌레나 먼지 등 특정 자극에 대해서는 공포 수준으로 굉장히 민감하고 회피적일 수 있습니다.

어떤 때는 사람들 만나는 것을 좋아하다가 어떤 때는 낯선 환경과 사람들을 극도로 피하기도 합니다.

평소에 정말 조심스러워 보였던 사람이 예상치 않게 과감하고 충동적으로 결정하기도 합니다.

성인기에는 불안이 많고 걱정스러운 성격으로 보이지만 양육자를 통해 정보를 얻다 보면 어릴 때는 굉장히 충동적이고 조심성 없는 아이였던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HSP의 정확한 임상적 경계가 규정이 되지 않았기에 어떤 학자들은 HSP를 ADHD에 포함이 되는 개념으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실제 가족력을 보면 ADHD로 치료받고 있는 분의 가족이 ADHD 전형적인 증상은 없으나 HSP 경향이 있어 우울이나 불안 등의 신경증으로 치료받고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HSP가 있는 신경증 환자분들을 쭉 지켜보다 보니 HSP가 ADHD에 속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HSP는 어릴 때부터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일관되게 고자극과 낯선 환경을 회피하고 ADHD 가능성 하에 자극제를 적용했을 때 민감한 부작용 반응을 보이는 차이가 있다는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아마 ADHD 증상에는 해당이 안 되는 순수히 HSP로 평가되는 일정 비중의 집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입니다.


1. HSP와 ADHD의 증상학과 생물학적 표현형은 매우 유사하다.

2. 그렇지만 ADHD 증상에는 부합하지 않은 PURE HSP 집단도 있는 것 같다.

3. HSP가 ADHD의 하위 유형인지 혹은 독립된 증상군으로 볼 수 있는지는 더 연구가 필요하다.



이전 글이 궁금하시다면 눌러주세요!



매거진의 이전글 초과민인(HSP)와 ADHD는 어떤 관계인가요? (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