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롭고 싶어서 고등학교를 때려쳤다. 기형도를 좋아한다던 문학 선생이 야구빠따로 애들을 때린다거나, 수학선생이 목을 조르며 싸다구를 날린다거나 하는 것들이 있었는데 사실 부차적인 것이었다. 모범생인 나는 그 폭력들을 요리조리 비껴나갔다. 그러나 선생들은 언제든지 내 삶을 간섭할 수 있었으므로 내가 가질 수 있는 외로움에는 한계가 있었다. 나와야했다.
학교를 관두겠다고 했더니 엄마는 같이 태화강물에 빠져죽자며 울었다. 아니 학교 좀 안 간다기로서니 죽긴 왜 죽어. 이제는 모두 농담처럼 느껴지는 그 지랄들의 우여곡절을 거치고서야 학교를 때려칠 수 있었다. 자퇴 전날까지 야자를 했다. 모범생으로 남겠다는 오기였는지 뭔지. 다음 날 점심께에 갑자기 가방을 메고 학교를 빠져나올 때, 집에 가는 나를 보고 부러워하던 친구들의 표정이 생각난다. 아마 조퇴한다고 말했었던 것 같다. 그 후로 그들을 만난 적 없다. 10년도 훨씬 지난 일이다.
외롭고 싶어서 학교를 때려쳤는데, 때려치고보니 너무 외로웠다. 열일곱이었다. 나는 어쩌다 이 지경이 되었나. 가장 먼저, 내가 읽은 책들을 원망했다. 김승옥, 헤르만 헤세, 샐린저, 진중권, 홍세화, 박노자, 김규항 뭐 이런 이름들이 분별없이 머릿속에 왔다가 사라졌다. 죽은 자들에게 내 인생을 이리 만든 책임을 물을 수는 없었다. 살아있는 자들을 묶어보니 그것이 ‘진보신당’이었다. 2008년은 민주노동당 분당과 창당, FTA 반대, 촛불, 명박산성 같은 단어들로 채워졌다. 거기에 살짝이 나의 자퇴와 진보신당 입당도 적어두었다.
빛나는 사람들을 많이 만났고 그들을 선망했다. 그들을 닮고자 열망했고 그럴 수 있었으므로 내게도 빛나는 시간이었다. 이렇게 말하면 쪽팔리지만, 내게 추억할 만한 성장의 시간이 있었다면 그 때뿐이다. 진보신당 울산시당에서 보낸 시간은 10대의 마지막 3년이었지만, 내게는 조선왕조 500년이었다. 그 이후의 망함의 역사를 이제와 굳이 복기하고 싶진 않다.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진보정당의 몰락을 말했으므로, 나는 나의 빛나는 시기를 부정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진보정당원으로 계속 남아있고 싶었다. 아직도.
그 때의 내 설레발들을 모두 긍정하고 싶지는 않다. 죄다 우스꽝스러울 뿐이다. 진보신당 울산시당 청소년위원장, 편집위원 같은 그럴 듯한 타이틀을 단 채 청소년의 인권과 진보정당의 독자 생존과 노동해방과 사회주의와 어쨌든 온갖 장엄한 것들을 외쳤었고, 또 그 당시에는 진심이었겠지만, 마치 그때부터 지금의 나를 연마해온 수련의 시기를 보낸 것인양 얘기하는 것은 여물지 못한 내 청소년기에 대한 기만이 될 것이다. 어른이나 되어서. 하지만 또한 그 때의 좌충우돌이 있었으므로 그나마 이정도로라도 살 수 있었음을 전부 부정할 수도 없다. 아뿔싸, 이미 그렇게 살아버리고 말았으니.
그러나 난 그 이후로 사람을 믿지 않게 되었다. 아니, 정확히 말해서 더 이상 ‘빛나는 개인’을 믿지 않게 되었다. 그 때의 빛나던 사람들은 약삭빠르고도 알차게 자신의 정치적 행보들을 챙겼다. 그리고 빛나는 사람들이 빠져나간 이 조직에서 나는 더 외로워졌다. 오해는 말 것. 나는 그들의 정치적 행보와 성과가 대한민국 정치의 평균치 이상임을 확신한다. 그러나 그들의 ‘정치적 역량’이 마치 개인의 피땀으로만 쌓아올린 성채인양 얘기되는 것이 마뜩찮다. 나 같은 미약한 자들의 보탬까지도 모두 모두어 당신들의 정치를 만들었을 텐데, 당신들의 정치는 이제 더 이상 우리의 정치가 아니게 되었다.
그래서 좋은 조직 없는 개인을 믿지 않는다. 당신을 성장시킨 동지들을 잊지 않도록 당신을 제어하는 그 조직적 힘이 없다면, 언제나 당신은 당신을 배신한다. 사람은 늘 망가진다. 그러지 않기 위해 애쓸 따름이다. 주변에 동지들이 있다면 조금 수월할 것이다. 동지들과 함께 하기 위해 만드는 것이 조직이다. 같은 길을 지치지 않고 함께 걸어가기 위한 조직이 정파이다. 정파 없이 정치가 가능할 거라고 믿는 순박함과 정파를 탈출하여 홀로 빛나겠다는 그 영악함 모두를 나는 비웃는다.
좋은 조직을 갖지 못해서 나는 한동안 외로웠었다. 고등학교로부터 시작해 진보신당과 노동당을 거쳐 정의당으로 온 이 탈주극은 결국 좋은 사람들과 조직에서 함께 성장하고 싶다는 욕망과 다름 없었다. 이 글을 쓰게 된 계기가 있었으나 그 기억만으로 쓰진 않았다. 그냥 좋은 조직에 대한 욕심을 여전히 버리지 않았다,는 정도로만 받아들여진다면 좋을 것이다.
빛나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 사람처럼. 다들 가버리고 말았다. 말도 없이. 나는 내가 그 때를 이리 애처롭게 추억할 거라고 정말이지 생각지 않았다. 그러나 그리 되어버리고 말았다.
그럼에도 계속 욕망해야겠지, 좋은 조직을, 당신이 그랬던 것처럼.
*
좋은 조직을 만든다는 것도 이리 지난한 일인데 좋은 세상을 만든다는 것은 얼마나 망연한 일일까요. 그런 세상이 쉬이 오지 않을 거라는 걸 알기에 낙담하지만 그럼에도 그 일을 포기하지 않는 사람들이 우리의 역사를 이어왔기에 미래를 낙관합니다.
어제 정의당에서 일어난 소식을 듣고는, 괜히 내가 사랑했던 사람들과 당에 대해 오래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해서 오늘과 비슷한 마음이 들었던 예전의 글을 다시 가져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