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거들떠보자 Jun 28. 2021

로블록스(Roblox)라는 단어, 무슨 뜻일까?

아이가 어린이날 선물로 로벅스(Robux) 현질을 요구했다.

우리 초등학생 아이가 얼마 전 어린이날 선물로 매년 받아왔던 장난감이 아닌 로블록스(Roblox)라는 게임의 게임머니인 로벅스(Robux)를 현질로 해달라는 요구를 했다.


일단, 어른인 내 눈으로 언뜻 보기에는 로블록스라는 게임은 그래픽도 별로이고, 세상 단순한 게임 같아 보이는데 어떤 히스토리로 메타버스(Metaverse)라는 테마에 올라타 강력한 이슈를 만들게 되었을까?


나 역시 모바일 게임을 즐기곤 하는데 원칙적으로 무과금 주의자인 터라 도대체 로블록스라는 전형적인  미국 감성으로 보이는 이 게임이 어떤 매력으로 한국의 젊은(어린) 세대에까지 전파(Networking) 돼서 이렇게 열광하게 했는지, 그리고 나아가 현질까지 하고 싶게 만드는 이유가 궁금해서 한번 거들떠보게 되었다.


로블록스라는 게임과 게임을 직접 개발, 배급을 하고 있는 로블록스 코퍼레이션(Roblox Corporation)이라는 회사를 대하면서 가장 먼저  궁금했던 건 ‘Roblox’라는 단어의 의미였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어떤 기업이 자신들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세상에 내놓을 때 브랜드 아이덴티티 (Brand Identity) 또는 회사명(Company Identity)은 해당 사업을 소비자들에게 명확히 전달하고 사업을 전개함에 있어 그 본질을 담고 있기 때문에 네이밍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ROBLOX = RObot (로봇) + BLOck (블록)


로봇 + 블록 이라는 의미의 합성어로, 내 생각보다 심플한 네이밍이었긴 했지만...

'이 게임이, 이 회사가 지향하는 바를 명확하게 잘 나타냈다'는 생각이 드는 네이밍이었다.


네이밍의 뜻을 알게 되고 나서

이 로블록스라는 회사가 표면적으로 내세우고 있는 가치(Value) 들에 대해서 살펴보게 되었고,

그 중에 사업적으로 중요해 보이는 포인트들을 한번 정리해 보았다.

인포그래픽 by 거들떠보자

이 회사가 내세우는 가장 큰 핵심 경쟁력은 크게 아래의 3가지로 보이는데,

1. 참여형 게임 개발자들 (Creators)

2. 하루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접속해서, 게임을 즐기고 있나를 나타내는 DAU(Daily Active Users) 및 사용자 사용 시간.

3. 시장 사이즈를 키워나가는 지표인 서비스의 월드 와이드로 확장 (Worldwide Service)


위의 3가지 요소 중 로블록스 코퍼레이션에서 어필하고 있는 핵심 성공 요소는

크리에이터가 만들어가는 세상
(Powered by Creators)


이라고 한다.


다음 콘텐츠에서는 이 게임의 매출&수익 수단인 로벅스(Robux)에 대해서,


그 다음 콘텐츠에서는 이 회사가 제시한 핵심 경쟁력이라는 개발자들 (Creators)과 회사와 관련된 부분을 조금 더 거들떠 보고자 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