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거들떠보자 Aug 05. 2021

메타버스 테마. 대포를 쏘아올린 로블록스(Roblox)

회사의 CEO, 주주 구성 및 대주주 지분율

최근 우리나라에서 메타버스 테마의 관심으로 덱스터, 자이언트 스텝, 맥스트 같은 회사들이 어떠한 뚜렷한 매출 실체 보다는 기대치로 인해 연일 급등 하고 있다.


주변에서 주식 투자를 하고 있는 지인들을 보면 (거의 대부분) 삼성전자 같은 초 우량주가 아닌 바이오, 벤쳐, 각종 테마주 등 장기적인 사업 운영에 대한 실체의 검증을 필요로 하는 회사들에 대해서도

무슨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는지, 심지어는 그 회사 홈페이지도 들어가보지 않은체 주변인들의

'너한테만 주는 정보'라는 추천을 받고 불나방 처럼 달려들었다가 큰 내상을 입곤 한다.


나 같은 경우도 묻지마 투자를 했었던 2개 회사의 상장폐지 경험과, 관리종목에 지정된 회사에 투자한 사례도 있어 막대한 금전적 손실을 수업료로 낸 경험이 있다.


최근 공모주의 따상상 퍼레이드, 각종 테마주가 넘치는 요즘

투자 하고자 하는 회사와 주식 관련 정보는 각종 포털 사이트에 차고 넘치니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예전 보다 많은 정보를 가지고 투자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사실 메타버스라는 개념은 1992년 SF 소설 스노우 크래시Snow Crash에서 처음 등장 했다고 하는데,

솔직히 지금까지 로블록스에 대한 콘텐츠를 몇차례 다루면서도 아직까지 명확한 개념 그리고 메타버스를 어디에 적용해야 하는지 아직 머릿속에 구체화해서 떠올리기엔 어려운것이 사실이다.  


나 같은 경우 내가 잘 아는 분야의 회사에 대한 투자 확신이 들거나,

로블록스 처럼 우연한 기회에 알게 되어 관심이 생긴 회사에 대해 투자자로서 기본 지식을 쌓는 공부를 한다는 건 새로운 즐거움이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최근 대포 같은 메타버스의 테마를 쏘아올린 로블록스 코퍼레이션에 대해

최소한 주식 투자자로서 알아보고 싶었던 몇 가지를 거들떠 보고자 한다.  


미국 기업들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SEC.gov)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ion 을 통해 기업의 모든 공시 내용들을 찾아 볼 수 있다.


여기서 Form S-1 기업 공개 신고Securities Registration Statement로블록스 코퍼레이션의 상장에 앞서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에 제출된 공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1. 회사의 창업자, CEO

지난번 발행물에 언급 했었던 것 처럼 이 로블록스 코퍼레이션의 창업자이자 CEO인 데이빗 바스주키

개발자이자, 투자자이자, 전문 경영인의 모든 역할을 직접 체득한 멀티형 CEO의 경험과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보여진다.

https://brunch.co.kr/@digdeeper/7

 

2. 회사의 주주 구성 및 대주주 지분율
로블록스 코퍼레이션 주주현황 갈무리 by 거들떠보자

로블록스 코퍼레이션 Class A 지분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알토스 벤쳐스Altos Ventures는 로블록스 코퍼레이션 뿐 아니라 우리나라 기업인 크래프톤, 지그재그 등 다양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있는 투자사다.

 

로블록스 코퍼레이션 투자사 알토스 벤쳐스

알토스 벤쳐스의 포트폴리오를 살펴 보니 이 투자의 전문가들의 투자 행보와 로블록스 코퍼레이션에 투자한 비중을 봤을 때 어느 정도 믿음은 생기긴 한다.  


이 주주 현황에 있어 눈에 띄는 점은 로블록스 코퍼레이션 Class A주주 구성을 보면 창업자이자, CEO인 데이빗 바스주키David Baszucki의 지분률이 고작 0.315%로 너무 낮아 혹시라도 경영권 분쟁이나 CEO로서 의사 결정에 대한 입지가 위협받지 않을까하는 우려도 할 수 있겠다.

하지만 멀티형 CEO의 경험과 역량을 갖추고 있는 데이빗 바스주키David Baszucki는 한주당 20표의 의결권을 행사 할 수 있는 Class B로 철옹성을 구축해 놓아 앞으로도 안정적으로 CEO로서 로블록스 코퍼레이션의 계획된 사업을 이끌어 나갈 수 있을 것이라 보여진다.


각종 주식 관련 지표와 PER,PBR, BPS, EBITDA 등의 전문적인 주식 용어들이 있긴 하지만

그 용어와 지표가 주가에 반영되어 해석되는 기준도 모르겠고, 또한 그러한 전문적인 기술적인 용어들이 얼마나 회사와 주가에 잘 들어 맞는지는 더더욱 모르겠다.


어차피 결국 투자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므로,


개인적인 투자자 입장에서 내가 투자할 회사에 가장 근본이 되는 포인트는

회사가 어떤 제품(서비스)을 얼마나 팔아서 매출을 했고, 얼마나 이익을 얻었는가?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다음 콘텐츠에서는 로블록스 코퍼레이션이 전개하고 있는 사업 내용들 대해 거들떠 보고자 한다

작가의 이전글 우리집에 로봇이 산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