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공영인 Aug 10. 2022

한낮의 우울

자신 없으면 자신 없다고 말하고 가끔 넘어지면서 살고 싶다. 넘어지지 않으려고 긴장하는 것이 싫다.

무리해서 뭔가를 해내야만 할 것 같은 삶에 지쳐가는 중이었다.


좋으면 좋다고 말하는 게 좋은 거다.

마찬가지로 힘들면 힘들다고 말하는 게 좋은 거였다.


힘들다고 얘기하니 힘든 나를 알았고

많이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많이 생각하는 시간에

많이 생각하는 것이 버거워지면

다른 사람의 생각을 빌려보는 것이 좋다.


책은 많이 생각해야 할 만큼 힘든 사람에게,

그리고 너무 힘들어서 생각할 힘조차 없는 사람에게

위로와 변화를 가져다주는 마법이 있다.



'나는 송이가 엄마 품에 안겨 있는 것을 보고나 내 품에 안겨 잘 때 슬프면서도 행복하다. 해줄 수 있는 게 없어서 슬프고 해 줄 수 있는 게 있어서 행복하다. 그러니까 내가 송이를 바라볼 땐 언제나 슬픔이 먼저고 그다음이 행복인데 송이도 그랬으면 하는 것, 송이가 자신을 바라볼 때 처음엔 좀 슬프더라도 마지막은 좋았으면 하는 것... 그게 내 유일한 바람이다. '

- 이주란, 『한 사람을 위한 마음』 中



'내 마음 한가운데는 텅 비어 있었다. 지금까지 나는 그 텅 빈 부분을 채우기 위해 살아왔다. 사랑할 만한 것이라면 무엇에든 빠져 들었고 아파야만 한다면 기꺼이 아파했으며 이 생에서 다 배우지 못하면 다음 생에서 배 우겠다고 결심했다. 하지만 아무리 해도 그 텅 빈 부분은 채워지지 않았다. 아무리 해도. 그건 슬픈 말이다. 그리고 서른 살이 되면서 나는 내가 도넛과 같은 존재라는 걸 깨닫게 됐다. 빵집 아들로서 얻을 수 있는 최대한의 깨달음이었다. 나는 도넛으로 태어났다. 그 가운데가 채워지면 나는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이 되는 것이다.'

-김연수, 『청춘의 문장』 中



인생에 슬픔이 없을 수 없다. 슬픔 또한 소중한 내 인생의 일부이다. 그저 그 사이에 행복 또한 함께 스며들어있다면 그것도 괜찮은 삶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삶 가운데 행복이 있다면 행복한 삶일 수 있는 것이다.

행복한 삶은 삶의 모든 순간순간이 전부 행복만 있어야 한다는 의미가 아니었던 것이다.


내 안에는 여러 모습들이 존재한다.

설사 그 모습들이,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모습들이 아닐지라도 그것 역시 나의 일부분임을 알아야 한다.

그 부분을 소중히 인정해야 한다.


그리고 깨달아야 한다.

나는 도넛으로 태어났다는 것을.

구멍이 '뚫려버린' 것이 아니라

날 때부터 가운데에 예쁘고 동그란 구멍이 있는

이 모양의 이 도넛이 바로 나라는 존재 그 자체라는 것을.




내가 열심히 산 이유는 내가 그냥 열심히 하는 멋지고 대단한 사람이기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안다.

나의 '열심', 그 바탕에는 나를 사랑하지 않음에서 따라오는 낮은 자존감과 자기부정이 있었다.

내 삶에 대한 의심과 회의에서 도망치려 했던 것이다.


잘못 꿰어진 시작단추는 힘들게 힘들게

끝 매듭을 잘 지어도 예쁠 수 없다.


여러 모습 중 행복만을 잡아야 한다는 욕심과 조바심.

구멍을 메워야만 한다는 집착과 강박.


그것을 버리고 자유로워지면,

나를 나 자체로 인정하고 사랑하여

진정 여유로워지면


작은 행복을 크게 느끼며 웃을 수 있는

행복한 사람이 되지 않을까.

가끔 행복해도 행복한 것 아닐까.


때로는 너무 열심이지 않아도 괜찮지 않을까.

가끔 넘어져도, 그리고 애써 바로 일어나지 않아도 괜찮지 않을까.

작가의 이전글 김홍도- 마상청앵 다시 보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