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콩사탕 Oct 25. 2022

절박하고도 유쾌한 생물 다양성 보고서를 읽고

('모기가 우리한테 해 준 게 뭔데?’를 읽고)



책 제목을 보면서 모기가 우리한테 해줄 수 있는 것이 있던가? 라는 생각을 가장 먼저 떠올렸다. 여름이 되면 방충망을 치고, 모기 잡는 스프레이를 열심히 뿌려대는 것을 생각하면 모기가 이로운 점이 있을거라고 생각한 적이 없었다. 



일단 생각을 바꾸기 시작하면 이 유토피아 세상이 생각보다 빨리 오는 것을 보고 놀라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세상에서는 더 이상 모기가 “인간이 우리한테 해 준 게 뭔데?”라고 묻지 않을 것이다. 



작가가 말하는 이런 유토피아 같은 세상은 프리피야트라고 하는 우크라이나의 작은 자치시 같은 곳이다. 갑자기 인구가 줄어들면서 텅 빈 도시가 된 이 곳은 동식물로 조금씩 정복당하며 유럽 최대 ‘생태 복원’ 프로젝트 지역이 되었다고 한다. 늑대, 살쾡이, 곰, 들소 같은 동물 뿐 아니라 희귀종들까지 모여들었다. 신기한 것은 이 도시가 바로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에서 4km 떨어진 곳이라고 한다. 방사능에 노출된 것보다, 인간이 없는 것이 더 번성할 수 있었던 이유가 된 것이다. 



작가의 말처럼 인간이 자폭하면 아마도 지구는 원상복귀될 지도 모른다. 하지만 쉽지 않을 거라는 짐작을 할 수 밖에 없다. 작가의 말처럼 인간이 정신을 차려서 생물 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를 보호하며 살안간다면 2100년의 세상은 훨씬 나을 거라고 이야기 하고 있었다. 



생물 다양성에 대해 이야기 할 때, 종개념에 대한 것은 우리가 생물 시간에 배웠던 것과 많이 달랐다. 맞다. 어떻게 자연에 있는 그 많은 생물을 인간이 제대로 분류해 낼 수 있겠는가? 생물학적으로 종을 분류할 것인지, 형태학적으로 종을 분류할 것인지도 인간들은 정확히 알 수 없다. 현재는 이러한 한계를 고려하는 통합분류법이라는 것을 사용한다고 한다. 이렇게 인간이 동물을 분류하기 위해 애쓰는 것보다 더 급한 문제는 종이 사라지고 있는 문제일 것이다. 인간으로 인해서든, 지구의 환경에 의해서든 말이다.


다양한 동물들이 멸종되고, 그로 인해 지구가 위기에 처한 것을 책 속에서는 다양한 과학적 데이터로 접근하고 있다. 그 중에 가장 놀라웠던 항목은 바로 모든 곤충류의 40%나 멸종 위기에 처해져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지구의 위기는 “그리하여 언젠가는 터질 것이다-티핑 포인트”로 설명할 수 있다. 


생물 다양성은 급격한 변화에 완강히 저항하지만, 때로는 멸종하는 종이 한 종만 더 추가되어도 생태계가 순식간에 극적으로 무너지기도 한다. 이럴 때 티핑포인트에 도달했다고 말한다고 한다. 어쩌면 우리는 이러한 티핑포인트가 우리 세대에는 오지 않을거라고 생각하면서, 많은 동물들을 없애고, 바다에 사는 물고기들이 급격하게 감소하는데도 외면하는 것이 아닐까? 


인간은 늘 중심에 서고 싶어 한다. 개인으로서는 아니더라도 지구 행성의 한 종으로서는 분명히 그렇다. 하지만 “어디든 자리만 있으면 내가 간다”라는 자세는 이제 절대 좋은 생존전략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 인간도 지구라는 자연 네트워크에 의존하며 살 수 밖에 없기 떄문이다. 



음식에 대한 이야기는 조금 더 충격적이었다. 


100칼로리의 식물로 단지 40칼로리의 우유, 혹은 22칼로리의 달걀, 혹은 12칼로리의 닭, 혹은 10칼로리의 돼지고기, 혹은 3칼로리의 소고기만을 만들 수 있다. 이 말은 우리가 동물성 음식을 삼가고 식물성 음식을 더 많이 섭취하는 쪽으로, 혹은 곤충들을 더 많이 섭취하는 쪽으로라도 식습관을 바꾼다면 훨씬 더 많은 사람을 먹여 살릴 수 있고, 그럼 경작지도 덜 필요할 것이며, 곧 생물 다양성도 좋아질 것이라는 뜻이다.



당장 우리 가족만 해도 고기를 내놓지 않으면 젓가락을 휘적이며, 먹을 게 없다고 투정을 하지 않는가? 매 끼니, 우리가 먹는 고기만 생각해도 책에서의 음식에 대한 이야기에 저절로 고개가 끄덕여진다.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는 식생활은 사실 간단하고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지역에서 나는 제철 식재료를 산다. 고기와 유제품은 덜 먹는다. 냉동식품을 쟁여 놓기보다 그때그때 신선한 재료로 요리한다. 먹을 수 있을 만큼 사서 먹고 버리지 않는다.


음식 뿐이 아니다. 생물 다양성과 건강, 안전, 도시, 여행, 에너지, 기술 같은 다양한 분야에도 인간에게는 생태계라는 종합돌봄서비스가 반드시, 아니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앞으로 얼마나 더 지구가 버틸 수 있을까? 


2100년에 지구에게, 동식물들에게 “인간이 우리한테 해 준 게 뭔데?”라는 말을 듣지 않으려면 정말 조금이라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에 강하게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우리가 너희들을 살리려고 노력했잖아.”이렇게 말할 수는 있었으면 좋겠다.



작가의 이전글 나의 아버지를 마주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