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율 May 25. 2024

당뇨병 직전, 마지막 경고



당뇨병을 의심할 수 있는 몇 가지 경우는 다음과 같다.


01. 높은 혈당 수치

공복 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당식 후 2시간 후 혈당이 200mg/dL 이상인 경우 당뇨병이 의심다.


02. 자주 배뇨하고 갈증을 느끼는 경우

공복 상태에서도 자주 배뇨하고, 갈증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당뇨병 환자는 신체에서 과다한 급여 액체를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자주 배뇨할 수 있다. 과다한 배뇨로 인해 수분 소실이 생기면 갈증을 유발할 수 있다.


03. 체중 감량

갑작스럽게 체중이 감소하는 경우 당뇨병의 가능성이 있다. 당뇨병은 몸의 세포에 영양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게 하므로 체중 감량이 발생할 수 있다.


04. 피로감

지속적인 피로감을 느낄 수 있다. 세포에서 영양분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면 피로감이 나타날 수 있다.


05. 모호한 시력

시력이 갑자기 변화하거나 흐릿한 경우 당뇨병의 가능성이 있다. 고혈당은 눈의 렌즈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어 시력이 변할 수 있다.


06. 상처의 치유가 느리거나 감각 이상

당뇨병은 신경 손상을 일으킬 수 있어 손이나 발에 저림 감을 유발할 수 있다. 당뇨병은 피부가 건조하고 가렵거나 발열할 수 있으며, 상처가 느리게 낫는 경향이 있다.


07. 가족력

가족 중에서 당뇨병 환자가 있는 경우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08. 다른 질환과 동반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심장병, 비만 등 다른 대사성 질환과 함께 발생할 수 있다.


09. 생리의 변화

여성의 경우 생리 주기나 흐름에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나 상황이 있을 경우 의료 전문가의 상담을 받아 검사를 통해 당뇨병의 진단을 받아야 다.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가 중요하며, 당뇨병이 의심되는 경우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검사를 받아야 다.




당뇨병 전단계는 당뇨병이 발병하기 전에 발견되는 상태로, 당뇨병의 위험 요소가 있는 사람들에게 해당된다. 당뇨 전단계에 해당하는 상태는 다음과 같다.


01. 공복혈당 임상 전단계 (IFG)

공복 상태에서 혈당 수치가 정상 수치보다 높지만 당뇨병 수치에는 도달하지 않는 상태다. 공복 혈당이 100mg/dL에서 125mg/dL 사이인 경우 IFG로 분류다.


02. 경구 포도당 내 길어짐 전단계 (IGT)

당식 후 혈당 수치가 정상 수치보다 높지만 당뇨병 수치에는 도달하지 않는 상태다. 당식 후 2시간 후 혈당이 140mg/dL에서 199mg/dL 사이인 경우 IGT로 분류다.


03. 당뇨병 전단계 식단 및 운동요법 (DPP)

당뇨병의 위험 요소를 가진 사람들에게 식단 및 운동요법을 시행하여 당뇨병의 발병을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다.


04. 당뇨병 예방 프로그램 (DPP)

당뇨병 전단계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으로, 건강한 식습관과 운동습관을 실천하여 당뇨병 발병을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다.


당뇨 전단계에 해당하는 상태라면 건강 전문가와 상담하여 당뇨병 발병을 예방하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다. 생활습관의 변화와 건강한 식습관을 통해 당뇨병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대사증후군은 대사 활동이 이상하게 조절되는 질환의 집합체를 가리킨다. 이에는 여러 가지 증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01. 비만

특히 복부 비만이 심하게 나타다.


02. 인슐린 저항성

세포가 인슐린에 반응하지 않아 혈당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지 못하는 상태다.


03. 고혈압

혈압이 정상 수치를 초과합니다.


04. 이상지질혈증

혈중 지질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거나 낮다.


05. 당뇨병

혈당 수치가 정상 수준을 초과하거나 당뇨병 진단을 받은 경우도 있다.


06. 동맥 경화

관 벽이 경화되어 혈액 흐름이 저하될 수 있다.


07. 수면무호흡증

수면 중에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현상이 나타다.


08. 간질환

방간, 단순지방간, 알코올성 간질환 등의 간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대사증후군은 위와 같은 여러 가지 증상을 포함하며, 이러한 증상들이 함께 발생할 때 대사증후군이 의심다. 대사증후군은 생활습관 개선, 식습관 개선, 운동, 체중 감량 등을 통해 관리될 수 있다. 그러나 각 증상에 따라서는 별도의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다.



이전 02화 당뇨병에 좋은 음식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