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소영 Dec 08. 2022

나는 너를 위한 자원봉사자다.

2022년 12월 8일 수요일


"너는 그러면 상윤이한테 화가 안나?"

"그럴 리가요."


6살 무렵 상윤이가 음악치료를 다니던 센터에서

오다가다 맺게 된 인연이 이어져

어느덧 3년 넘게 알고 지낸 사이가 된 언니와 처음으로 브런치를 먹었다.


당연히 자식 이야기로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수다를 떨어도 다 못한 이야기가 생기는 자폐 아이의 육아 세계.


누가 누가 더 엄마를 힘들게 하는지 마치 배틀하고 있는 것처럼 아이들의 행동들에 대해 나열하다 보면,

속이 터지면서도

'그래. 우리 애만 그런 건 아니야.'

위안이 되고 그런 애들을 보면서 엄마가 느끼는 감정들에 대해 공감도 하게 된다.


요즘 아이 때문에 속이 상한다는 언니에게


"저는 상윤이를 대할 때 내 자식이 아니라고 생각하려고 노력해요. 저를 '이 아이 전용으로 내려보낸 자원봉사자다.'라고 생각하고 살아요. 그럼 화가 덜 나요."


얘기했더니

어떻게 그러냐며

"아이 컨디션이 오르락내리락할 때 네 기분도 오르락내리락하지 않아?"

"아이한테 소리를 지르진 않지?"

질문을 했다.


"오르락내리락합니다."

"소리 지릅니다. 사거리에서 신호 기다리던 남편이 제가 소리 지르는 거 다 들렸대요."


화가 덜 난다고 했지.

안 나진 않습니다.

저도 그러니깐...

노력 중이란 말이에요.


너와 나는 이어져있지 않고

서로 다른 사람이라는 것.

너의 장애 유무를 떠나 너는 독립적 개체라는 것.

그러므로 앞으로 나는 나의 시간을,

너는 너의 시간을 각자 보낼 수 있어야 한다는 것.


그 사실을 잊지 않으려고 매일 생각하고,

화가 났을 땐 날숨이 아닌 들숨 한 번 마시고,

그렇게 너에게 무심해지려 노력하고 있다.


너는 내 자식이 아니라 '김상윤 씨'니깐 함부로 할 수 없고,

나는 자원봉사자이기 때문에 이 일이 힘들다고 누구를 탓할 수 없다.

너의 성장과 발달에 나의 노력이 들어갔다고 생색낼 수도 없지만, 뿌듯함과 성취감은 크게 느낄 수 있다.


잘 안되지만,

노력은 하고 있다.


그러니 앞으로도

나는 나의 삶을 살 테니

너는 너의 삶을 살아줘.

그렇게 될 수 있도록 도와줄게.

매거진의 이전글 첫눈이 기쁨 되던 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